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정책이 기업의 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서진선,이정섭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3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8 No.-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ME) co-operatives’ joint businesses. Institutions and policies can decrease the transaction costs of business activities, and reducing transaction costs can improve a business’s performance. It can increase business activities by converting previously unprofitable projects into profitable ones. The results show that, while policy satisfaction has no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SME cooperatives’ joint businesses, policy sensitivity has a weak but positive effect, suggesting that the higher the policy quality,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joint businesses. Second, policy satisfaction and sensitivity positiv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joint businesses, demonstrating that policy quality influences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government policies that SME co-operatives satisfy or experience can decrease joint business transaction costs, thereby promoting joint business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the effects of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enterprises from an institutional standpoint. It has empirical tests on SME co-operatives, which have not been well studied. 본 연구는 정책과 제도가 기업의 활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는 질문을 가지고, 정부정책이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실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도와 정책에 따라 사업과 관련된 거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거래비용 감소는 직접적으로 사업성과를 높일 수 있고, 이전에 수익성이 없던 사업을 수익성 있는 것으로 만들면서 기업 활동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도와 정책은 개별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결과, 첫째, 정책만족도는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정책체감도는 공동사업 실행과 약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결과가 나와 정책의 품질은 공동사업 실행에 약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책만족도와 정책체감도는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와 정책 품질이 공동사업 성과에 강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만족하거나 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정부정책은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과 관련된 거래비용이 감소시켜 공동사업을 실행하도록 유인하거나 공동사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제도와 정책이 기업의 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도적 접근법 관점에서 논의하고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과 그동안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중소기업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협동조합의 체계적 위험 추정에 관한 연구: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서진선,최우석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19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1 No.-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systematic risk of equity in co-operatives. A major theory for the estimation of costs of capital is a capital asset pricing model where systematic risk (beta)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Member shares of co-operatives cannot be listed in markets, and thus betas of their shares cannot be estimated by using stock price data. This study uses an alternative method. According to prior studies, a beta is related to financial leverage, firm size, growth, liquidity and earnings variabilit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beta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to financial leverage, growth and earnings variability, and negative relation to firm size in listed firms. By applying the coefficients from regression analyses to financial variables of consumer co-operatives, their betas can be estimated. This study presents that their betas are between 1.19-1.40 during sample periods, which results from the facts that they have higher financial leverage, growth and earnings variability, and the smaller firm size compared to listed compani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systematic risk is applied to co-operatives. Also, estimated betas can be used to estimate costs of capital, which are criteria of capital budget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 본 연구는 협동조합 자기자본의 체계적 위험을 추정하고자 한다. 자기자본비용 추정과 관련한 주요한 이론은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으로, 자기자본비용 추정에 있어 중요한 변수는 체계적 위험(베타)이다. 협동조합의 출자증권은 상장될 수 없기 때문에 주가자료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상장기업의 재무변수와 베타의 관계를 사용하여 협동조합의 베타를 추정한다. 상장기업 분석결과, 베타는 재무레버리지, 성장성, 이익변동성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기업규모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도출된 회귀계수를 표본생협의 재무변수에 적용하여 표본생협의 베타를 추정한다. 추정결과, 표본생협의 베타는 1.19-1.40으로, 표본기업의 베타와 시장포트폴리오의 베타 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본생협은 상장기업에 비해 더 높은 재무레버리지, 성장성과 이익변동성, 그리고 더 작은 기업규모를 가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협동조합의 체계적 위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 것에 의의가 있다.

      • 국제회계기준 도입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서진선,최은주,최우석 한국재무학회 2019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5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다. IFRS는 원칙 중심의 기준체계, 공정가치 평가, 그에 따른 주석의 양적 증가 등을 특징 으로 하고 있으며, 선행연구는 IFRS의 도입으로 이익유연화와 이익조정의 감소, 가치관련성 증가 등 회계정보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본시장에서는 정보비대칭과 자기자본비용 감소 등의 경제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IFRS 도입 전후로 자본시장에서 관측되는 체계적 위험과 체계적 위험 변동성을 분석함으로써 IFRS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한다. 그리고 표본기업을 대기업, 중견기업, 그리고 중소기업으로 분류하여 IFRS 도입 효과 가 기업규모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IFRS 도입 후 베타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자본시 장은 IFRS 도입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원칙 중심의 기준체계, 공정가치 평가, 증가된 주석의 양 등 IFRS 도입으로 기업의 경제적 상태가 더 정확히 드러 남에 따라 투자자와의 정보비대칭을 감소시키고 국제적인 비교가능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으 로 보인다. 둘째, 표본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든 모형에서 베타변동성은 증가하였다. IFRS 도입이 사업의 변화와 사업 관련 위험의 변화를 적시에 베타에 반영하고 이익유연화 같은 이익조정이 감소하여 기업의 경제적 상태를 적시에 공개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다. 셋째, 기업규모에 따른 IFRS 도입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베타감소에 대한 IFRS 도입효과는 대기업에서 가장 크고, 중견기업이 그 다음이며, 중소기업에는 효과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베타변동성은 대기업에서 변화가 없는 반면에, 중견기업과 중소 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IFRS 도입에 따라 정보비대칭 감소 및 국 제적인 비교가능성의 향상과 같은 경제적 효과가 대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나면서 자본시장 은 대기업의 체계적 위험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기업의 경제적 실상에 대한 적시성 있는 정보공개의 효과는 중소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나 자본시장은 중소기업의 체계 적 위험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 중견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 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IFRS 도입 이후 체계적 위험 감소와 체계적 위험 변동성 증 가라는 자본시장의 반응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Estimation of the Costs of Capital in Social Economy Enterprises

        서진선 한국협동조합학회 2022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0 No.2

        This study estimates the costs of equity, the cost of debt, and the weighted average costs of capital (WACC)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which are importa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estimates the systematic risk of enterprises using fundamental betas, which utilize the 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risk and financial variables of listed companies. As a result, the average of their estimated betas is 1.79, which means that their systematic risk is 1.79 times higher than the market portfolio because the enterprises have higher financial leverage, growth rate, earnings variability, and smaller firm size. Their costs of equity, those of debt, and WACC are 11.54%, 3.14%, and 7.67% respectively. The implications are that their costs of capital can be employed as social investment criteria reflecting their risk and can be used as tools to evaluate if social economy enterprises achieve the expected social performance or social values.

      • KCI등재

        사회적 경제 전공 학부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진선,박하윤,박임수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undergraduate programs of social economy. In South Korea, the education of social economy at the undergraduate level has a rather short history, so studies on the curriculum of social economy are rare. [Methodology]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to extract the keywords related to social economy attributes, categorizes these keywords, and then uses them to analyze the curricula of undergraduate programs of social economy. [Findings]As a result, there are 22 keywords extracted for the education of social economy. There are six categories: social economy organizational type; social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etc. The study compares the curriculum of two undergraduate departments of social economy. It shows that the subjects in the social economy field as well as economy and management field are composed similarly, while the social science subjects in one department are relatively many, and the another has the subjects of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Implications]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situation in which each department exists and the strategy suitable for it. It also shows how to structure the content of each subject using 22 keywo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undergraduate programs of social economy.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 수준의 사회적 경제 교과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어떤 주제와 내용이 필요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 교육, 특히 대학 학부수준의 교육의 역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의 개념을 분석하여 사회적 경제 속성에 관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이 주제어를 범주화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사회적 경제 학부 과정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사회적 경제 교육에 필요한 주제어는 ‘법적․제도적 유형으로서 협동조합 등’, ‘사회적 목적의 사회적 기업’ 등 22개로 확인되었고, 이 주제어들은 ‘조직 유형’, ‘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 등 6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두 대학의 사회적 경제 학부 교과과정 비교결과, 사회적 경제와 경제경영 영역의 교과목은 비슷하게 구성된 반면, 한 곳은 사회과학영역에서, 다른 학과는 종합적 사고역량에서 과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이 현재 각 대학과 학과가 있는 상황과 그에 맞는 전략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것과 22개 주제어를 사용하여 각 교과목의 교육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학부수준의 사회적 경제 교과과정의 구성에서 필요한 주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역기반 박물관에서의 참여적 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서진선,강인애,최지혜 한국박물관학회 2019 博物館學報 Vol.- No.37

        Currently museum is required to advance a step further from visitor-centered museum based upon constructivist emphasis on individual visitors of 90s, toward ‘participatory museum.’ in which museum, visitors, and communities are connected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partnership.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oncrete example of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 in which a community based museum is closely collaborated with community as co-creators. For this program, Simon’s theory on participatory museum(5 stages and 4 categories of participatory museum) has been used as the program’s design principles, along with PBL as a specific learning model of the program. The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t Hoeamsaji Museum of Yangju City as a community-based museum wh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participated during 4 sessions (9 hours total) of the program. The study, as the results, purposed to examine any changes in terms of attitude toward and perception about the community from the participant students. Diverse qualitative data (mind-map,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survey)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Whereas participatory museum in reality has been rarely practiced or understood among museums and the public yet, this case study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participatory museum, in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ive acknowledgement and practice of the participatory museum as a way to reflect and accept current social needs and trends in the participatory age. 오늘날 정치, 사회, 문화예술 분야는 참여라는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직면하여 이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 역시 학습자의 참여를 넘어서 지역 연계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박물관 역시 구성주의에 기반하여 ‘개별’ 관람객에 초점을 둔 관람객 중심 박물관을 넘어, 관람객, 박물관, 지역사회가 상호 연결⋅소통하는 ‘참여적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그곳 커뮤니티와의 연계가 용이한 지역기반 박물관을 활용하여, 참여적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사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ina Simon(2015)이 제안한 참여적 박물관의 5단계(From me to we)와 4가지 참여적 박물관 유형 중 공동제작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설계원칙을 수립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설계는 구성주의 학습모형으로서 지역과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으로 적합한 Buck Institute의 지역기반의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기반 박물관인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서, 중⋅고등학생들을 적용 대상으로 하여 4차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양한 질적 자료(마인드맵, 대면 인터뷰, 성찰일지, 설문지)를 수집, 분석하여 PBL에 따른 학습 역량과 지역사회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인식, 태도의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지역기반 박물관을 활용한 구체적인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비록 아직은 참여적 박물관으로서의 전환을 위한 인식과 환경이 미약하지만, 참여적 문화가 사회적, 시대적 요구인 만큼 박물관에서의 적극적 수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LMS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온라인 학업성취 예측모형에 관한 사례 연구

        서진선,이재경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online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through the data log of LMS through a learning analytical approach and to find out which variables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After transforming the data left by the learner into a form that can be properly analyzed, the behavior data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develop a model for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subjects were conducted for 55 students who took a course in Educational Technology, a department of education at S Women’s University in Seoul, independent variable data was collected through LMS’s learner log analysis, and the dependent variable, academic achievement, is the final exam sco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rend of online activity data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result, the type, frequency, and average of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behaviors were foun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the number of course accesses, the number of clicks on learning materials, and the reading of posts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online behavior in the LMS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showed 13.0%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t was within the scope of predictive explanatory power.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본 연구는 학습분석학적 관점에서 LMS의 로그 데이터를 통해 학습자들의 온라인 학습활동 및 학습행동을 분석한 후, 어떤 변인이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LMS의 온라인 강의실에 남겨놓은 로그 데이터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분석 가능한 학습데이터로 변환한 뒤, 이 학습데이터를 독립변수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학업성취 예측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대학교의 온라인 강좌 수강생 55명이었으며, 독립변수 데이터는 LMS의 학습자 로그분석을 통해 수집되었고, 종속변수인 학업성취도는 기말고사 점수로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행동 중에서 강좌접속 수, 학습자료 클릭 수, 게시물 열람이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LMS 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행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해당 모형은 학업성취도의 13.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라인 로그변인을 사용하여 학업성취 예측을 연구한 선행연구의 예측 설명력 범위 안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분석학적 관점에서 온라인 학습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 및 활용의 중요성, 학사관리시스템 혹은 교육 플랫폼의 기능과 인터페이스의 고도화, 적응적 학습지원을 위한 대시보드 개발, 교수자 대상의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및 운영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사례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설계 및 운영 전략을 도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성으로 제시되는 감정 맥락이 서열 위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진선,오은미,한광희 한국감성과학회 2024 감성과학 Vol.27 No.2

        감정적 맥락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주로 시각적 자극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관계를 탐구했다면, 본 연구는 음성으로 제시되는 감정맥락으로 탐구의 영역을 확장하여 언어적 맥락의 각성도와 정서가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특히 서열 위치효과를 완화하는지에 주목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어 목록의 중반부에 제시되는 음성 감정 맥락의 각성도가 단어음성 기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각성도가 낮은 맥락에 노출되었을 때 목록 후반부의 기억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각성도 수준을 통제했을 때 목록의 중반부에 제시되는 음성 감정 맥락의 정서가가 단어 음성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실험 결과, 부정적 맥락은 함께 제시되는 단어의 기억력을저하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음성을 통해 제시되는 감정 맥락이 음성 자극의 기억 처리를 촉진하지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부정적 정서 맥락은 서열 위치 효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맥락과 기억자극이 음성으로 동일할 경우 부정적 감정 맥락은 과제 수행에 간섭으로 작용하여 감정 맥락의 기억 향상 효과를 유발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청각적으로 전달되는 감정 맥락이 언어 기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An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emotional context on memory retrieval is crucial to ou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uman cognition. While previous research focused primarily on visual stimuli to address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ventures into the realm of speech-based emotional contexts. Building on previous findings, we examine the effects of arousal and the valence of verbal contexts on memory, with particular focus on mitigating the serial position effect. In Study 1, we investigated how the arousal level of verbal context in the middle of a word list affects memory retention. Our results demonstrated detriment to the memory of later parts of the word list when exposed to low-arousal contexts. In Study 2, we controlled for arousal levels and examined the impact of valence on memory. We found that negative verbal contexts impair the memory of the word when presented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speech-based emotional contexts do not facilitate verbal memory processing. In particular, negative emotional contexts were found to reinforce the serial position effect. Negative emotional contexts tend to disrupt task performance and fail to elicit memory-enhancing effects, especially when both the context and memory stimulus are verbal. These insights offer a valuable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the nuances of auditorily delivered emotional context in verbal memory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