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망유형 분석을 위한 자살위험요인 탐색 :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중심으로

        서종한,김나애,김경일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can classify the cause of different types of deaths, including suicide, through case-controlled psychological autopsy study. The criteria for judging suicide patterns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important areas, referring to prior study results from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Sneedman, 1976; Litman, 1968; Seo Jong Han et al., 2012; Seo Jong Han et al., 2018). Four areas were divided into: problems in life or adaption, suicide/death attempts in the past, physic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al deaths such as family, friends or other acquaintances. We looked the differences between 122 cases of suicide and 40 cases in the control group. The suicide cases group was divided by generations to see if there were any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suicide between generati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job, education and economic conditions, social network, past self-suicidal attemp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urrounding factors were highly related to suicides. Each factor was compared to a national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 overseas study, and additional specif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 related to each factor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통해 자살을 포함한 사망 유형의 구분 및 자살의 원인 분석을 용이하게 할 위험요인을 찾아보았다. 국내외의 심리부검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하여 자살 유형 판단 기준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Shneidman, 1969; Litman, 1968; 서종한 등, 2012; 서종한 등, 2018) 그 안에서 자살사 사례군 122건과 대조군 40건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자살 사례군을 세대별로 나누어 각 세대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는 자살 요인의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살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로 1) 직업, 교육, 경제적 상태, 2) 사회적 관계망, 3) 과거 자해 및 자살시 도, 4)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5) 주변인 등의 요인들이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은 해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상황과 비교되었으며, 구체적 정보 및 시사점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한국형 사이코패스 원형성과 일반인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종한,김경일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adjusted psychopathic symptoms in terms of prototypicality analysis(Kreis et al., 2012) based on CAPP Model(Cooke et al., 2004). Moreover, we also explored the associations between psychopathic symptoms and general perception/attitude in lay people through the questionnaire(i.e., Universal Protocol) developed by Kreis (2008). This protocol consists 29 questions based on five factors such as criminality, rehabilitation potential, ethological underpinnings, moral judgement, and legal sanctions. As a result, lay people(n=1724) rated 27 items of the 33 CAPP symptoms as more than moderately prototypical, whereas foils were rated as less prototypical, which is accordance with previous literatures. Also, the associations between general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CAPP symptoms were interestingly identified. Commonly, several symptoms such as aggression, detached, callous, entitlement in self-conception contributed to lay people’s perception in terms of criminality, legal perception, and rehabilitation. These perceptions and attitude may be correlated with excessive anxiety of psychopathic crime.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re added for later research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사이코패스성격장애 증상 원형성(prototypicality; Rosch, 1978)을 찾고 이런 증상들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사이코패스에 대한 관점과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 탐색적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이코패스 증상을 가장 포괄적으로 수렴해 내고 있는 CAPP 모델(Cooke, Hart, Logan, & Michie, 2004; 한국판 서종한 등, 2018)을 활용하였고 일반인의 관점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일반화된 프로토콜(Kreis, 2008)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33개의 사이코패스 증상 중 27개의 증상이 보통 이상 수준의 원형성을 보였고 기존 국내외 연구 결과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사이코패스 증상이 어떻게 일반인의 관점에 영향을 주는 살펴보기 위해 크게 5가지 영역의 관점과 태도 살펴보았다. 공격성, 무정함, 자기와 관련된 특별 혹은 특권의식, 즐거움이 결여된, 무모함 등의 다양한 수준의 사이코패스 증상이 차별적으로 일반인의 관점과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사이코패스 증상을 인식하는 정도가 어떻게 관점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수 있었고 불필요한 혹은 과도한 경계/불안 등에 대한 대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와 시사점을 함께 논의에 기술하였다.

      • KCI등재

        살인범의 글에 나타난 언어ㆍ심리적 특성과 성격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서종한,김경일,이창환,김근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3

        본 연구는 살인범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단어기반 글분석 프로그램(KLIWC)을 사용하여 살인범과 일반인 간의 성격차이와 언어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어절, 형태소에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관찰되었고 무엇보다도 지시대명사, 1인칭단수와 조사 등에서 살인범 집단이 일반인 집단보다 빈번한 사용을 보였고 일반부사와 선어말 어미, 3인칭 등은 일반인 집단이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단어에서는 살인범 집단은 부정적인 정서, 화. 제한, 가족, 성취에서 일반인 집단보다 빈번한 사용을 보였고 불안, 원인, 기대, 추측, 감각지각과정, 또래친구, 학교 등은 일반인 집단이 더 높게 사용하였다. 개인성격평가 척도와 언어적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살인범 집단인 경우 불안, 불안관련장애, 조증, 정신분열병, 반사회적특성, 알코올문제, 자살관념, 스트레스, 비지지 척도가 억제, 친구, 인간, 비속어, 맹세어절, 양수사, 인용조사, 수관형사와 관련성을 보였고 일반인 집단의 경우 불안, 불안 관련 장애, 조증, 정신분열병, 반사회적특성, 약물문제, 자살관념, 스트레스, 비지지, 치료거부 척도가 화, 집, 친구, 접미사, 형용사에서 관련성을 보여 집단 간 이질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관찰된 주요 결과들을 기술한 후, 이에 기초한 탐색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범죄자의 언어적분석이 매우 구체적이고 유형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범죄자의 성격유형과 심리적 상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writing characteristics of murderers to those of common people using the Korean-Linguistic Inquiry Word (KLIWC). Sixty-one murderers and one hundred fifty-nine college students (comparing group) wrote a self-introductory essay for an imaginary person. The KLIWC yielded counts and percentage of word categories using the parts of the Korean language and psychological criteria. Furthermore, the PAI scores, and their correlational patterns of murderer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comparing group. Results indicated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clause, sentence, morpheme were observed, as the homicide group used them more frequently than the comparing group. While homicide group used demonstrative pronouns, the first person plurals, and ida-postpositions more frequently than the comparing people, the comparing group used more general adverbs, the seonemal-endings, and the third pronouns than the homicide group. In addition, the two groups also differed i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s and the fourteen of twenty-two PAI sub scale scores. Finally, the pattern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LIWC criteria and the PAI scores revealed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성폭력 가해자의 글에 나타난 언어ㆍ심리적 특성 분석

        서종한,김경일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This Study compared the writing of sexual criminals to common people by using Korean-Linguistic Inquiry Word Count (KLIWC). Twenty sexual criminals and forty college students (comparison group) wrote a self introductory essay for imaginary person. KLIWC yielded counts and percentage of word categories using the parts of speech of the Korean language and psychological (emotional, cognitive, sensory/perceptual, social, physical/ functional and metaphysical processes) criteria. Results revealed that common people use more sentence, clause, and morpheme than sexual criminals and the use of pre-noun and present tense correlated with negative mood of the subjects. The Writing of sexual criminals using more pre-noun and present tense than common people, showed more negative emotion than common the group. Also sexual criminals expressed less psychological content than common people. Further, the two groups were different in the aspect of individual correlations between KLIWC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ta of language analysis from criminals can be used as quantitative guidelines for crime research. 본 연구는 성폭력 범죄자의 인지 및 성격적 특성을 보다 탐색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KLIWC (Korean Linguistic Inquiry & Word Count)를 사용해 그들의 언어를 분석하고 이를 일반인들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KLIWC는 한 개인으로부터 획득된 글을 언어적 변인들과 심리적 변인들로 세분하여 해당 변인에 해당하는 단어들의 상대적 사용 빈도를 수량화하는 프로그램이다. 분석 결과, 인칭대명사의 사용과 시제관련 기능어의 상대적 빈도에 있어서 성범죄자 집단은 일반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행동적 분석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성범죄자 집단은 일반인 집단에 비해 정서 혹은 인지적 측면 등과 같은 심리적 차원에 있어서도 다수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KLIWC 개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형태에 있어서도 매우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범죄자의 언어적 행위 분석이 매우 구체적이고 유형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범죄자의 심리적 상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종합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적 부검 연구

        서종한,이창환,김경일,김성혜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2

        본 연구는 자살자의 포괄적인 후향적 정보를 중심으로 자살 원인과 행동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사망의 종류를 결정하는데 즉 자살 사건이 자연사인지, 사고사인지, 자살인지, 타살인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가장 유용한 도구 중에 하나로 평가받는 심리적 부검은 먼저 자살사망자의 가족 구성원, 친척, 친구 등 지인들에 대해 반구조화된 면접을 통해서 자살사망자에 대한 이용 가능한 모든 자료를 수렴하여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정신과적 치료, 병원 진료 기록, 치료 기록, 심리상담 기록, 검시 및 부검 기록, 유가족 진술 등도 포괄적으로 참조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나 직장에서의 적응 정도가 가장 중요한 자살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자살 전 주변에 걱정이나 문제를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신뢰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 과거 동거인 혹은 동거인과의 심각한 문제, 어린 시절에 대한 불행감도 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가장 중요한 점은 끈 등으로 목매달기,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한 과거 자살 혹은 자해 시도가 있는 경우 자살과 주요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과적 장애와 관련 된 특성에서는, 사망 4주 전 정신과 의사를 만난 경우, 의사를 만난 이유가 정신·심리적인 이유일 경우, 질병의 기간이 만성인 경우, 정신과적 약물처방 경험, 우울장애 등 정신질환 진단 경험, 정신질환 중 우울장애 진단 경험, 정신치료 경험이 자살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전 생애사건으로 인해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은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여 자살과 관련성이 있었다. 사망 직전 갖는 생애 어려움인 경우 두 집단 모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정도는 자살집단이 대조군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심리적 부검에 있어서 면담을 하고 계획하고 수행할 때에 발생되는 면접방법 및 시기선정, 비밀과 익명성 보장, 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 상호존중과 신뢰 구축 등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였다

      • KCI등재

        성범죄자 군집유형분석과 프로파일링 연구

        서종한,김경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1

        본 연구는 111명의 성범죄자들을 대상으로 비교적 다른 범죄행동 변인보다 지속적이면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16개의 행동특성 변인들을 준거로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군집분석 결과, 대표적으로 설명력이 가장 높은 6가지 군집 유형을 추출할 수 있었다. 16개의 범죄행동 변인의 특성을 포함하는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군집의 특성을 정리 하였다. 군집 1을 성인대상 연쇄성 성적특이침입 강도 접근형, 군집 2를 성인대상 비연쇄성 단순침입 강도 접근형, 군집 3을 성인대상 연쇄성 단순비침입 비강도 접근형. 군집 4를 성인대상 연쇄성 단순비침입 접근형, 군집 5를 성인대상 비연쇄성 단순침입 비강도 접근형, 군집 6을 아동청소년대상 비연쇄성 단순비침입 비강도 접근형으로 세분화 하여 설명하였다. 이 후 각 군집별 피의자 관련변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최종학력, 체격상태, 결혼 상태, 동거인, 직업유형, 총전과 횟수, 주요전과, 유사전과, 양육형태, 양육특징, 피학대경험, 학대경험, 개인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범행동기, 강간장소와 피의자주거지간 거리, 음주횟수, 음주 후 행동, 성적습관, 성 관련 수집은 군집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군집별 평소생각, 콤플렉스, PAI 척도, 정신과이력 등에 대해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istinctive sixteen crime methods rapists left in the crime scene. As results of cluster analysis produces six clusters that cans represent individual rapist. Specifically,each cluster of rapists appropriat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rape as well as demographic and criminogenic variables. The first cluster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serial pattern, adults as victims, invasion, unique sex attempts and robbery in crime stage. The second cluster is revealed that the rapists are not serial, choose adults as victims, invade into the place of residence,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and robber from victims. The third cluster appears to be serial, choose adults as victims, occur without invasion,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run away without robbery. The fourth cluster is exposed to be serial, for adults as victims, occur without invasion and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The fifth cluster is reveal to be not be serial, offend adults as victims,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and robber from victims. The sixth cluster is exposed to be serial, choose the young or juvenile as victims, occur without invasion, rape without unique sex attempts and run away without robbery. The six clusters also differ from various criminogenic variables such as crime motive, criminal record, age, the place residence, frequency of alcoholic drink, marriage, sexual habit, complex, thoughts and so on.

      • KCI등재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onstruct of Psychopathy between UK and Korea

        서종한,김은하,김경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5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expression of psychopathic personality disorde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culture has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ortance in practice. Do our measures of psychopathy work in non-Western counties? Do the processes of enculturation and socialization affect how symptoms of the disorder displayed? Comparisons across distinct cultures using the same measures can inform both these practical and theoretical questions. Data from the psychopath checklist-revised (PCL-R; Hare, 2001) collect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were compared. As a result, PCL-R scores were not metrically equivalent across the two cultures. These differences may be linked to prevail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onclusion, scores on the PCL-R obtained in Korea are not directly comparable with UK. The critical cautions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clinical decision-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