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CL-R 기반 사이코패스 비교문화연구

        김나애,이수정,서종한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1

        The study had been conducted analyzing cross-cultural differences of PCL-R between Korea and Canada through using Item Response Theory(IRT). Convicted prisoners in Korea and Canada were individually evaluated, and their PCL-R scores were used to identify if there were Differential Item Functions(DIFs) showing some items may have effected culturally. The result showed 8 DIFs had significant cross-cultural differences. Among 3 factors of PCL-R, factor 3 showed lesser cultural differences than factor 2, and factor 1(relationship factor) showed significant cross-cultural differences. Through the study, researchers implied the existence of measurable cross-cultural difference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외 대표적 사이코패시 평가도구인 PCL-R의 타당화를 목적으로 비교문화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과 캐나다의 재소자들의 PCL-R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적 특성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이 있는지, 기존 연구들과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문화 간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8개의 차별기능문항을 확인하였다. PCL-R의 3요인 중, 요인1에서 가장 큰 문화 간 차이를 보였고, 상대적으로 요인3이 요인2보다 두 집단 간 차이가 없는 부분에서 기존 연구들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계량적 수준의 문화적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등의 추가 논의를 서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지적장애유아의 자발적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

        김나애,임경원 公州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17 특수교육논집 Vol.22 No.1

        이 연구에서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지적장애유아의 자발적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설계를 이용하여 지적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는 대상유아들이 속한 학급에서 1회기에 각 대상유아에게 10분간 제공되었고 이를 비디오 녹화하여 관찰, 기록하였다. 일반화 측정을 위하여 놀이 대상자를 바꾸어 놀이 상황을 관찰하였고, 중재 효과의 유지를 측정하기 위해 중재 종결 후 2주 뒤 연속 3회기 동안 유지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통하여 지적장애유아의 자발적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효과가 다른 대상으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효과가 중재가 종료된 후 2주 뒤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지적장애유아의 자발적 요구하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EMT) on spontaneous request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assess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requesting, generalized use of spontaneous requesting and the maintenance of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during the free choice time at a special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spontaneous request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increased through EMT. Second, the effects of EMT on spontaneous requesting were generalized to other person. Third, the effects of EMT on spontaneous requesting were maintained after two weeks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MT has positive effects on spontaneous request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사망유형 분석을 위한 자살위험요인 탐색 :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중심으로

        서종한,김나애,김경일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can classify the cause of different types of deaths, including suicide, through case-controlled psychological autopsy study. The criteria for judging suicide patterns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important areas, referring to prior study results from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Sneedman, 1976; Litman, 1968; Seo Jong Han et al., 2012; Seo Jong Han et al., 2018). Four areas were divided into: problems in life or adaption, suicide/death attempts in the past, physic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al deaths such as family, friends or other acquaintances. We looked the differences between 122 cases of suicide and 40 cases in the control group. The suicide cases group was divided by generations to see if there were any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suicide between generati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job, education and economic conditions, social network, past self-suicidal attemp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surrounding factors were highly related to suicides. Each factor was compared to a national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 overseas study, and additional specif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 related to each factor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통해 자살을 포함한 사망 유형의 구분 및 자살의 원인 분석을 용이하게 할 위험요인을 찾아보았다. 국내외의 심리부검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하여 자살 유형 판단 기준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Shneidman, 1969; Litman, 1968; 서종한 등, 2012; 서종한 등, 2018) 그 안에서 자살사 사례군 122건과 대조군 40건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자살 사례군을 세대별로 나누어 각 세대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는 자살 요인의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살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로 1) 직업, 교육, 경제적 상태, 2) 사회적 관계망, 3) 과거 자해 및 자살시 도, 4)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5) 주변인 등의 요인들이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요인은 해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상황과 비교되었으며, 구체적 정보 및 시사점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사의 특성변인 탐색

        이혜전,임경원,백종남,김경옥,김나현,김이열,김나애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 related variables for further research of good instruction in future speci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teacher related variables(gender, teaching experience, level of education, working place, level of school). For this 634 questionnaires that has been conduc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f mental retardation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female teachers have mor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of good instruction, second, teachers who have below five-year experiences have less importance and practice.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the areas of work places, and last, in case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much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in overall areas. But in case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goals, conveying expectation and motiv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more differences, while middle school teachers have more differences in using various materials, physical environment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 methods to implement good instruction in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특성 변인(성별, 경력, 근무지역, 학력, 배치형태)에 따라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관한 영역별(관점, 내용, 방법, 환경, 평가)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차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좋은 수업 관련 연구를 위한 변인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등 특수학급과 정신지체 학교를 표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한 63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 있어서 여교사가 더 그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넷째, 석사과정 이상의 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적었다, 다섯째, 특수학교의 경우, 전반적인 영역에서 초등 특수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의 경우, ‘목표 기대전달’, ‘흥미․동기유발’ 부분에서는 초등교사가 ‘다양한 수업자료 활용’, ‘물리적 환경’과 ‘수행평가’ 측면에서는 중등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