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장건비탕(補腸健脾湯)으로 증상 호전 보인 크론병 의증 1례(例)

        서수현,정재욱,이은형,최인선,박상은,김원일,김우환,Seo, Soo-Hyun,Jeong, Jae-Ook,Lee, Eun-Hyung,Choi, In-Seon,Park, Sang-Eun,Kim, Won-Il,Kim, Woo-Hwan 대한한방내과학회 200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5 No.3

        The following case study illustrates the administration of Bojanggunbi-tang in the treatment of a man diagnosed as having Crohu's disease. The usual gastrointestinal symptoms of Crohu's disease are diarrhea, abdominal pain and weight loss, in addition to anemia and rectal bleeding. A l6-year-old man diagnosed with Crohn's disease, who was treated at our clinic, had symptoms such as diarrhea, abdominal pain, weight loss, anemia and rectal bleeding. He was treated with Bojanggunbi-tang. For the two months the symptoms were considerably reduced. The result supports the clinical efficacy of Bojanggunbi-tang for the treatment of the symptoms of suspected Crohn's diseas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서수현 ( Soo Hyun Seo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9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을 구성하는 구인을 탐색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 초등학생 필자 정체성의 구인은 무엇인가, 2) 초등학생의 필자정체성을 측정하는 도구의 특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이론적 탐색을 통해 필자 정체성을 ‘필자가 자신의 쓰기 행위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과 내재적인 경향성’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구성하는 하위 요인으로 ‘필자로서의 자율성’, ‘필자로서의 자기 효능감’, ‘쓰기 흥미’, ‘의미 있는 타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잠정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탐색을 토대로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초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거쳐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타당화하기 위해 초등학생 1,868명의 응답을 토대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검증 결과,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은 ‘필자로서의 자기 효능감과 쓰기 흥미’, ‘필자의 쓰기 행위에 대한 의미 있는 타자의 인식’, ‘필자의 자율성’, ‘의미 있는 타자와의 소통 욕구’, ‘교실 밖 쓰기의 경험’이라는 다섯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다섯 요인에 대한 전체설명 분산의 누적계수는 65.611%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 요인은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문항들의 전체 신뢰도 또한 .941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검사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미숙한 필자로서의 학생 필자의 모습이 아닌 자신의 쓰기에 대해 자율성과 효능감, 흥미를 가지고 쓰기를 수행하는 학생 필자의 모습으로 학생 필자를 재개념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는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을 고려한 작문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적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truct compo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and to develop scale to measure the ``identity as a writ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t as follows: 1)What is the constru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2)What is the character of scale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In the study, identity as a writer was defined by ``writer``s awareness of his/her writing and intrinsic proneness`` by investigating it in theory, and sub-factors composing the identity as a writer were tentatively set as follows: ``autonomy as a writer``, ``self-efficacy as a writer``, ``interest in writing``, and ``interaction between writer and meaningful others``. Based on theoretical investigation as the above, the draft of items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was developed, and the items were confirmed under the expert``s review. To validate assessment tool measu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1,8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statistical verifi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was composed of five factors as follows: ``self-efficacy as a writer and interest in writing``, ``meaningful others`` awareness of writer``s writing``, ``writer``s autonomy``, ``writer``s desire for communication with meaningful others``, and ``writer``s experience in out-of-school writing``. The accumulation factor of variance in the whole explanation on the above five factors was 65.611%, so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could explain muc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In addition, the whole reliability of items also showed comparatively high value .941, therefore they could be utilized as a stable assessment tool. This study had a meaningful significance in such a fact that student writer could be redefined by not unskilled writer but writer who had autonomy,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his/her writing. Furthermore, asse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practical value in a contribution toward planning and progressing the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 KCI등재

        ECD 기반 평가 문항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

        서수현 ( Seo¸ Soo-hyu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증거 중심 설계 원리에 기반을 두어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문항을 활용하여 실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 속하는 구인을 도출하고 해당 구인을 평가할 수 있는 8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문항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상·중·하 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동일한 학년의 초등학생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필요하다는 점, 디지털 원주민라고 불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evidence-centered design(ECD) were used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8 items were developed to derive constructs belonging to the digital literacy understanding domain and expression domain and to evaluate the constructs. Evaluation was conducted on 54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ch item were varied, and ite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were also identified. This aspect primarily implies that the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reasonably evaluate the digi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shows that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me grade show differences in their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tool that can determin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ed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lled digital natives.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구인 타당도 개념을 중심으로-

        서수현 ( Soo Hyun Se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1

        This conceptual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essay item in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for assessing the proficiency of the Korean learners. I synthesize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assessment validity in both educational measurement and writing. So I suggest the assessment triangle model by new validity theory that is made up cognition,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Within the assessment triangle model, I critically review on design and practice of essay item in TOPIK and I suggest an elaborate construct validation to enhanc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essay item in TOPIK. I am confident that this paper will bring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the essay item in TOPIK.

      • KCI등재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대한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 :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서수현 ( Seo Soo-hyun ),조병영 ( Cho Byeong-yo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부모, 교사, 친구, 누리꾼과 같은 문식성 후원자들이 자신들의 디지털 기반 활동과 관련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전국의 초등 3~6학년 학생 10,11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로, 문식성 후원자들의 `가치 부여`, `모델링`, `통제`에 관한 인식을 묻는 문항과 디지털 기반 활동 참여 시간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부모의 통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디지털 기반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인터넷에 대한 친구들의 가치 부여를 중요한 문식성 후원 양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 부모와 교사라는 전통적 문식성 후원자 이외에 또래 집단에서 공유되는 디지털 문식 경험에 대한 가치 부여가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문식성 인식과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문식성 후원자가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영향의 정도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변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different literacy sponsors such as parents, teachers, peers, and internet users would influence elementary-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Grades 3~6 students (n=10,111) in Korea, using the items about literacy sponsor activities (i.e., valuing, modeling, control) and the amount of time that the students spend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ree pattern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is study perceived that parental control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However, parental control did not predict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by the students. Second,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peer value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This perception tended to increase as they go up to higher school grades. Last,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anonymous online us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and that the online user factor did not predict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by the respondents. The results imply that in addition to traditional literacy sponsors such as parents and peer groups their valu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ctivities.

      • KCI우수등재

        아동의 그림일기에 나타난 글과 그림 간의 의미 구성 방식

        서수현(Soo Hyun Seo),옥현진(Hyoun Jin Ok)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4

        Digital technology has advanced rapidly and it is anticipated that multimodal ways of meaning-making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Consequently,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is becoming a major issue i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picture diaries as a means of teaching multimodal literacies. Picture diaries are one of the basic and unique multimodal texts used in lower elementary level classes in Korea. A further advantage is that it is a promising text model which can be taught in unplugged ways.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sing such picture diarie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wenty four 1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constructed meaning with written language and pictures in composing picture diaries. 251 picture diaries composed during several months of their 1st grade period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utilized both written language and pictures in diverse and creative ways to provide their audience with more comprehensive mean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ir students as active multimodal meaning-makers and provide their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multimodal meaning-making and share their experiences.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한 분석

        서수현 ( Soo Hyun Seo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대학생이 대학에서 수행하는 글쓰기의 어려움과 그 원인을 특성을 분석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5개 교육대학교 1~3학년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대부분은 대학 글쓰기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교수자의 의도와 성향 파악하기’를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계획하기, 내용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고쳐 쓰기 등 글을 쓰는 과정 전반에 걸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어려움을 겪는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에 대해서는 글쓰기 경험 부족과 함께 체계적인 글쓰기 교육의 부족을 들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y of college writing among the students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analyze relevant characteristics, and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88 freshme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ed that most students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some difficulty in writing courses, and the difficulty over a certain level was found in all writing courses. In particular, students perceived that “determining the instructor’s intentions and inclinations” was most difficult, and listed the lack of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as well as the lack of writing experience, as the causes of difficulty in writing.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

        서수현 ( Soo Hyun Seo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와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계와 정치계를 막론하고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표절이 문제가 되어, 쓰기 윤리와 관련된 교육적 담론이 활성화,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 교사인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5개 교육대학교 1학년~3학년 588명 학생들에게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경험은 거의 전무하며,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표절하지 않고 올바른 인용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절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음에도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준수하는 것에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제 파악의 어려움, 글을 쓰기 위한 자료 찾기의 문제, 전공 지식 부족과 같은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대체로 자신은 쓰기 윤리를 고려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에 비해 자신의 쓰기 윤리 실천 수준은 낮은 편이라고 평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인식이나 실천수준이 높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는 그들이 미래의 우리나라 초등 교육을 담당할 예비 교사라는 점에서 더욱 엄격한수준에서 요구될 필요가 있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을 위하여 쓰기 윤리를 위반하지 않게 하는 행동의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지도하는 명시적인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쓰기 윤리를 교육하는 것과 함께 과제 구성 등의 측면에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학생들의 쓰기에 대하여 쓰기 윤리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필자로서의 쓰기 윤리와 쓰기 지도 교사로의 쓰기 윤리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교육대학교 학생을 위한 맞춤식 쓰기윤리 지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related to writing ethics, discover any issues, and make pedagogical suggestions. It is meaningful to determine the status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s, at this time of active development of pedagogical discourse related to writing ethics as plagiarism becomes a problem throughout society, let alone academia and politic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588 students between freshmen and juniors in five teachers colleges in Korea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writing ethic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little systematic education on writing ethics among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nd the students think writing ethics means writing by using correct quoting methods without plagiarizing. Despite having perception of plagiarism, students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complying with writing ethics, due to the reasons including the difficulty with understanding the assignment, the problem with finding materials for writing, and the lack of knowledge in their majors. In addition, teachers college students thought they were mostly writ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writing ethics, but, in contrast, evaluated the level of their practice of writing ethics was 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re not high. More stringent requirements are needed for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at they are pre-service teachers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our country`s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education in writing ethics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e propose the following: (1) to prepare a list of behaviors to avoid violating writing ethics and providing explicit education of them, (2) instructors` efforts in terms of creating assignment for as well as teaching writing ethics, (3) to provide more active feedback on students` writing o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and (4)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writing ethics that is tailored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both as a writer and as a writing teacher.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과 쓰기 활동과의 관계 연구

        서수현 ( Seo Soohyu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의 양상과 실제 쓰기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필자 정체성은 자신의 글을 쓰는 행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그로 인해 형성된 경향성을 의미하며, 이 연구에서는 필자 정체성을 필자로서의 자기 효능감과 쓰기 흥미, 필자의 쓰기 행위에 대한 의미 있는 타자의 인식, 필자의 자율성, 의미 있는 타자와의 소통 욕구, 교실 밖 쓰기의 경험의 다섯 요인으로 설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929명의 대도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은 125점을 만점으로 할 때에 72.29점으로 나타났으며, 쓰기 활동에서는 일기 쓰기를 가장 빈번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 필자 정체성은 실제 쓰기 활동의 27.1% 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필자 정체성과 그들의 쓰기 활동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일정 부분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학생 필자에게 의미 있는 작문 교육을 구성하는 데에 토대를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rban elementary students`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practices. In this study, identity as a writer was defined by `writer`s awareness of his/her writing and intrinsic proneness`, and sub-factors composing the identity as a writer were set as follows: `autonomy as a writer`, `self-efficacy as a writer`, `interest in writing`, and `interaction between writer and meaningful others`. 929 urban elementary students at 2, 4, 6 gra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dentity as a writer scores was 72.29 and diary writing was most frequent writing practices, finally 27.1% of the writing practices was explained by the identity as a writer. This study had a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for improving writing educ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 교사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서수현 ( Seo Soo Hyu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 교사들은 독자로서 자신의 모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읽기 능력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독서교육과 관련해서는 ‘읽기’를 ‘의미를 창조하기 위한, 독자와 텍 스트의 교섭 활동’으로 개념 규정하고 있었으며, 독서가 필요한 까닭에 대해 서는 지식과 정보의 습득, 사고력 계발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들 은 독서교육에 있어 독서의 생활화와 즐거운 독서를 가장 강조하면서, 인쇄 매체 읽기를 독서 활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텍스트로 여기고 있었다. 초등 교사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은 자신의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이라 하겠다. 초등 교사 스스로가 좋은 독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독서교육에 임하는 것이 야말로 양질의 독서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reader self-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erception of their teaching of read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247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had positive self-perception as reader. Related to teaching of reading, the teachers mainly defined reading as transactions between reader and text to create meaning. The teachers thought importance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they was aware of the necessity of reading practice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for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think. The teachers emphasized making reading a way of life and they had a strong preference for reading printed text and put high value on it.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own reading impacts their teaching of reading. Therefore, teachers must be cognizant of their self-perception of reading and how reading instruction is manifested in their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