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방 잠금형 금속판을 이용한 요골 원위부 골절수술 후 요골구 접선방향 촬영법의 임상적 유용성

        서선열(Seo, Sun-Youl),조정희(Cho, Jeong-Hee),한만석(Han, Man-Seok),김태형(Kim, Tae-Hyung),유세종(Yoo, Se-Jong),김용균(Kim, Yong-Kyun),한동균(Han, Dong-K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서론 : 본 논문은 전방 잠금형 금속판을 이용한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후 나사못(screw)의 요골구 관통 유 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사선 요골구 접선방향촬영법의 새로운 검사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요골구 접선방향 촬영 시 요골 원위부 거상 각도는 2.5, 5, 7.5, 10도와 전완골과 방사선 검출기와의 각도를 60, 70, 80도로 각각 변화시켜 촬영한 방사선영상에서 나사못의 요골구 관통유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요골구 접선방향 영상에서는 요골구를 관통하지 않은 경우와 요골구 내관통, 요골구 외관통인 경우가 각각 55명(63.95%), 9명(10.47%), 22명(25.58%)으로 분석 되었고, 요골구를 관통한 나사못의 길이는 0.43∼2.72mm의 범위 로 평균 1.06mm이었다. 요골구가 잘 묘사되는 방사선 촬영법은 요골 거상각도 2.5~7.5도에서 90%이상, 전완골과 방 사선 검출기의 각도 70도에서 요골구가 80%이상 잘 묘사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 : 요골구 접선방향 촬영법은 요골 원위부 거상 각도 5도, 전완골과 검출기의 각도는 70도를 추천 한다. Introduction : The projection method to check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adius groove penetration of screw after distal radius fracture operation clinical using the T-type plate and the radiation of radial groove tangential is to propose a new test. Material and Methods : On the tangential projection view of radius groove, elevation angle of distal radius is 2.5, 5, 7.5, 10 degree. and forearm and radiation detector of angle is 60, 70, 80, degree each changed. that analyzed check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adius groove penetration of screw. Results : For the image of Radial groove tangential. the case of not radius groove penetration of screw(63.95%, n=55), medial penetration of radius groove(10.47%, n=9) or lateral penetration of radius groove(25.58%, n=22) was analysis. The radius groove penetrating of screw length was a range of 0.43 ∼ 2.72mm, the average was 1.06mm. the check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adius groove penetration of medial or lateral was analysis that it accurate for the image of Radial groove tangential. the radiography of radial groove is well described elevation angle of distal radius 2.5 to 7.5 degree(90% over), forearm and radiation detector of angle 70degree(80%over) Conclusion : It is elevation angle of distal radius is 5degree, forearm and radiation detector of angle 70degree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만석(Man Seok Han),전민철(Chul Min Jeon),김종진(Jong Jin Kim),서선열(Seon Youl Seo),김용균(Yong-Ky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1

        본 연구는 원위요골의 회전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원위요골 골밀도와 요추 골밀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골밀도 측정시 정확한 측정 자세를 알아보고자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기형이나 외상력이 없는 20, 30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digital diagnostic IR-1100-150 ; Philips)로 촬영하였고 남 성 21명을 DXA(QDR 4500W ; HOLOGIC, USA)로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로 수행하였다. 첫째,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로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3, 6, 9도에서 촬영하였고 둘째, 요추 및 전완부(Forearm)의 골밀도를 21명을 대상으로 DXA 장비를 이용해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5, 10도에서 측정하였고 통계 프로그램 SPSS 12.0v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R로 촬영한 1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82%(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도였다. 외회전 6도와 중립위(0도)에서도 1명(9%)씩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5.1도였다. DXA로 측정한 2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43%(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2도였다. 외회전은 24%(n = 5)이고 평균 외회전 각은 6도이며 중립위(0도)은 33%(n = 7)로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4.1도였다. 요추와 원위요골의 상관 계수는 r = 0.30, p = 0.18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요추의 골밀도가 원위요골의 골밀도를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위요골 골밀도의 평가는 원위요골에서 측정해야 한다. 전완부 골밀도 측정시 중립위는 원위요골이 외회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최저 골밀도의 회전각에서 일정하게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립위 보다 내회전이 필요하며 내회전 각은 약 5도가 추천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distal radius rotation and the correlations of the lowest BMD measured by DXA at the lumba versus distal radius. The eleven males were projected distal radius by DR X-ray and the measurement of BMD by DXA of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orearm were performed on 21 males. The healthy 11 and 21 volunteers without any history of operations, anomalies, or trauma were enroll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wo methods. First, The DR X-ray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1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three, six and nine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he ROI was measured by the m-view program on the PACS monitor. Second, The DXA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2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five and ten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o evaluate the changes of BMD according to the rotation. A correlation of the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BMD that lumbar spine was performed, along with analysis of the data by SPSS 12.0v. The mean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eleven males DR X-ray measured 7° of pronation (82%, n = 9), 6° of supination and 0° of neutral of (9%, n = 1),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11 male was 5.1° of prona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twenty one males on DXA measured 7.2° of pronation (43%, n = 9), 7° of supination (24%, n = 5), and 0° of neutral (33%, n = 7),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21 people was 4.1° of pronation. The correlation of the analysis of lumba and distal radius were r = 3.0, p = 0.18.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ce. Because BMD of lumba was not coverd for BMD of the distal radius, with a neutral position, Pronation is needed for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the rotation angle measuring at the lowest BMD. the rotation angle about five degrees of pronation of the distal radius is recommended.

      • KCI등재

        뇌 동맥류 진단에 있어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의 유용성 비교

        강현수,서선열,한동균,권수일,심수정,조삼주,Khang, Hyun-Soo,Seo, Sun-Youl,Han, Dong-Kyoon,Kwon, Soo-Il,Shim, Su-Jung,Cho, Sam-Ju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4

        본 연구는 뇌동맥류로 진단받은 환자 중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과 다중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MDCT Angiography)의 영상을 비교하여 MDCT 혈관조영술에 대한 뇌동맥류의 선별검사로써 그 유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병원에서 DSA을 시행한 후 뇌동맥류로 진단 받은 환자 중 MDCT 혈관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1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DSA과 MDCT 혈관조영 장치의 영상에서 뇌동맥류의 유무를 분석하였고, 동맥류의 길이를 경부의 크기로 나누어 1보다 크면 경부가 좁은 협경 동맥류, 1보다 작으면 경부가 넓은 광경 동맥류로 분류하여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인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DSA과 비교한 MDCT 혈관조영술의 뇌동맥류에 대한 민감도는 97.4%로 분석되었고, 협경 혹은 광경 동맥류의 일치도는 90.2%, MDCT 혈관조영술에서 뇌동맥류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가 2.5%로 경부의 평균 크기는 2.4 mm였다. 이를 통해 뇌동맥류 선별검사를 위하여 비침습적인 MDCT 혈관조영술은 침습적인 DSA에 비하여 높은 민감도를 보여 매우 유용한 검사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age between DSA and MDCT Angiography and to examine whether MDCT Angiography could be useful as a screening test for the diagnosis of cerebral aneurysm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aneurysm on DSA.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erebral aneurysm DSA at University Hospital, 194 patients who concomitantly underwent MDCT Angiography were enrolled in the current retrospective study. The methods for analyzing cerebral aneurysm were to analyze the presence of cerebral aneurysm on DSA and MDCT Angiography. In cases in which it exceeded 1, the corresponding cases were classified as narrow-neck aneurysms. In otherwise cases, they were classified as wide-neck aneurysms. Thus, a comparative analysis could be performed to ascertain if cases were narrow-neck or wide-neck aneurysms. As compared with DSA, the sensitivity of MDCT Angiography for cerebral aneurysm was measured to be 97.4%.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narrow-neck and wide-neck aneurysms was 90.2% and the proportion of undetectable an at MDCT Angiography was 2.54%. mean size was 2.4 mm. It is expected that a non-invasive diagnostic modality for a screening test for cerebral aneurysm, MDCT Angiography might be a very useful regimen as compared with an invasive one, DSA.

      • KCI등재

        Invivo Dosimetry for Mammography with and without Lead Apron Using the Glass Dosimeters

        유수정,임상욱,마선영,서선열,김영재,강영남,금기창,조삼주,Yu, Su-Jeong,Lim, Sangwook,Ma, Sun Young,Seo, Sun-Youl,Kim, Young-Jae,Kang, Young-Nam,Keum, Ki Chang,Cho, Samju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5 의학물리 Vol.26 No.2

        본 연구는 유방촬영술을 시행할 때 유방인접조직의 생체내선량 측정을 통해 방호복 착용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방검진을 받는 일반 여성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시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 하였다. 유리선량계의 교정값을 구하기 위하여 팬텀(ACR phantom)을 이용하여 촬영 변수중 각각 관전압과 관전류의 중간값(27 kVp, 120 mAs)고정 시 mAs와 kVp를 변화시켜 장치에서 계산된 선량을 얻어 유리선량계 소자의 교정값을 구하였다. 측정 그룹은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는 A 그룹과 착용하지 않은 B 그룹으로 나누었다. 생체내 선량측정 특성상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 촬영을 할 수 없음으로 A 그룹은 좌 우 유방촬영에 따라 인접 정상조직의 선량이 차이가 없을 보고자 하였다. B 그룹은 한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고 다른 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지 않음으로 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인접 정상조직 측정에는 갑상선, 검사반대측 유방, 하복부로 각각의 부위에 유리선량계를 위치시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방촬영 시 입사표면선량은 A그룹의 경우,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은 0.0692 mGy, 오른쪽 유방은 0.6790 mGy, 하복부의 선량은 0.0122 mGy로 나타났고,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 시에는 각각 0.0607 mGy, 0.4062 mGy 그리고 0.0166 mGy로 측정되었다. B그룹의 입사표면선량은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 오른쪽 유방, 하복부의 선량이 각각 0.0922 mGy, 0.8575 mGy, 0.0150 mGy로 나타났다. 방호복을 착용한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는 갑상선이 0.0158 mGy, 왼쪽유방은 0.0286 mGy, 하복부가 0.0173 mGy의 선량을 보여 갑상선과 유방의 선량이 대폭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모니터의 유선선량을 관찰해 보면 A, B그룹 모두 권고값인 3 mGy 이하의 선량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유방촬영시 환자의 결정장기가 받는 표면선량은 모두 기준치 이하의 선량을 보였으나 방호복 착용에 따른 선량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어 방호복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usefulness of lead apron for critical organs near the breast under examining. For clinical experiment, 30 female volunteers who agreed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s,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15 in group A and 15 in group B respectively. group A is to see whether each side of breast under mammography affects to other side glandular on the critical organs is same, because it is not allowed to scan the both breast for same person or to scan repeatedly. Group B 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lead apron during the mammography of right breast. Glass dosimeters were placed on the thyroid, the contralateral breast, and lower abdomen where near the breast during examining. The average glandular doses on the surface in mammography of the thyroid gland,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lower abdomen were 0.0692 mGy, 0.6790 mGy, and 0.0122 mGy, respectively, which was an extremely low level of glandular dose. In group B, as to the thyroid gland, average dose was decreased from 0.0922 mGy to 0.0158 mGy. The average dose of contralateral breast was decreased from 0.8575 mGy to 0.0286 mGy. The average doses of lower abdomen was decrease 0.0150 mGy to 0.0173 mGy. As to the lower abdomen, dose decreased from 0.0150 mGy before the use of an apron down to 0.0173 mGy after the use. As p-value was under 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Wearing an apron can have the protective effects on the thyroid gland up to 20 times lower than not wearing one. Besides, it is also necessary to protect the other breast during the examination by wearing one.

      • KCI등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Dust According to The 3D Print Open Shape

        Jeong-Ho Kim(김정호),Seon-Youl Seo(서선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우리에게 친숙한 3D프린터는 미세입자 방출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에 위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3D 프린터 개방 형태 및 작업 과정에 따른 미세입자의 수농도 측정을 평가하였다. 개방형, 밀폐형, 배기형으로 구분하여 미세입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총 미세먼지는 개방형이 밀폐형의 2배로 가장 높았으며, 출력물 제거 시 측정값은 밀폐형의 83% 수준이었다. 배기형은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낸 시간은 출력물 제거 직후로 밀폐형의 53% 수준이었다. 따라서 개방형이 미세입자에 의한 건강상 위해 위험성이 높으며, 밀폐형 및 배기형은 출력물 제거 이후부터 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농도 기준의 권고안 개발이 필요하며 3D프린터 작업 시 작업자는 충분한 환기와 일정시간 이상의 방호구 착용이 필요할 것이다. Commonly used 3D printers are known to harm the health of users due to the emission of fine particl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 by evaluating the open form and work process of 3D printers. The 3D printers were classified into open type, closed type, and exhaust type, and the total fine dust emissions were measured using a fine particle meter. Compared to the closed type, the open type had twice the amount of total fine dust, and the measured value when the output was removed was 83% of the closed type. The exhaust type showed the highest measured value immediately after the removal of the output, and was determined to be 53% of the closed typ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open type has a high risk of health hazards caused by fine particles, whereas the closed type and the exhaust type require management after the output is removed. We propose the necessity to develop recommendations based on number concentration standards for safety evaluation. Furthermore, workers require sufficient ventilation and need to wear protective gear for a certain period when working with 3D printers.

      • KCI등재

        <sup>18</sup>F-FDG PET/CT검사에서 지연영상을 이용한 갑상선암 진단의 유용성 평가

        이현국(Lee, Hyeon-Guck),한만석(Han, Man-Seok),김용균(Kim, Yong-Kyun),서선열(Seo, Sun-Youl),전민철(Jeon, Min-Cheol),김태형(Kim, Tae-Hyung),홍성종(Hong, Seong-J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목적: 본 연구는 <sup>18</sup>F-FDG PET/CT검사 시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병변의 악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양성 으로 판독되어지는 양성종양이나 염증질환과 악성 종양의 감별이 가능한 검사법으로 지연영상(Delay scan)을 적용하 고 결과 값(SUV)의 기준안을 마련하며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검사법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 까지 E대학병원에 내원하여 <sup>18</sup>F-FDG PET/CT를 시행한 환자 25명(1명 제 외)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18F-FDG PET/CT영상 촬영은 SIEMENS사에서 만든 Biograph-Duo에서 시행 하였으며, <sup>18</sup>F-FDG PET/CT 정상영상(1hr)을 취득한 후 갑상선이상섭취가 있고 SUV 2.0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1시간 후에 갑상선부위를 1bed 지연영상을 촬영하였고, 한 bed에 2분 동안 영상을 얻었다. 갑상선이상섭취가 있고 SUV 2.0이 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상섭취가 있는 부위의 1시간영상과 2시간지연영상의 maxSUV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sup>18</sup>F-FDG PET/CT 검사 시 우연히 갑상선에 <sup>18</sup>F-FDG 섭취를 보인 환자 24명중 갑상선 암(Thyroid cancer)이 5 명으로 20.8%로 나타났으며 모두 양성병변을 시사하는 소견을 나타냈다. 갑상선기능이상이나 갑상선염 등 단순 갑상 선 이상섭취로 판독된 19명의 1시간영상과 2시간 영상의 표준섭취계수(SUV)값은 나타낸 표로 1시간영상의 18F-FDG 표준섭취 평균값은 5.06maxSUV이었고, 2시간 평균값은 5.23maxSUV였다. 측정된 두 값의 차이는 0.19maxSUV이었 다. 갑상선암으로 판독된 5명의 1시간 PET/CT검사에서 갑상선국소부위의 <sup>18</sup>F-FDG 표준섭취 평균값은 9.63maxSUV 이었고 2시간 평균값은 10.65maxSUV이였다. 두 값의 차이는 1.02maxSUV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 국소부위에 5.0이상 maxSUV의 이상섭취병변이 발견된 경우에는 <sup>18</sup>F-FDG PET/CT 지연영상을 추가로 검사한다면 병소의 악성 여부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촬영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degree of malignancy of incident thyroid lesion found in <sup>18</sup>F-FDG PET/CT findings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e applicate the Delay Scan Method that differentiate a false positive benign tumor, inflammation and malignancy, as well as make the criteria of SUV.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grade study was conducted of 25 patients(1 exception) who were admitted in E hospital to receive <sup>18</sup>F-FDG PET/CT examination until Janaary and April of 2008. <sup>18</sup>F-FDG PET/CT image photographing was taken in Biograph-Duo made by SIEMENS, after taking normal <sup>18</sup>F-FDG PET/CT image(1hr) and then 1hr later we took the thyroid 1 bed-delayed image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18F-FDG uptake and above 2.0 SUV for 2 minutes every 1 bed.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uptake and above 2.0 SUV, 1hr later, we took a 1 bed-delayed image and then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easured maxSUV of 1hr-abnormal uptake image and that of 2hr-delayed image. Results : In this <sup>18</sup>F-FDG PET/CT study among the patients who showed incidental 18F-FDG thyroidal uptake the number of thyroid cancer was 5(20.8%), all of then showed benign findings. a comparison of results for <sup>18</sup>F-FDG PET/CT. the benign patient measured maxSUV in the PET/CT. image(1hr) mean value 5.06maxSUV and delay image(2hr) mean value 5.23maxSUV differences of two value is 0.19maxSUV and the malignantIt patient measured maxSUV in the PET/CT. image(1hr) mean value 9.63maxSUV and delay image(2hr) mean value 10.65maxSUV differences of two value is 10.65maxSUV in Thyroid abnormal uptake patients. Conclusion : in the case of incidental 18F-FDG uptake in thyroid, max SUV of focal thyroid lesion is above 5.0 if <sup>18</sup>F-FDG PET/CT examine the delayed images to add, You could see that reasonable diagnostic method useful. to differentiate whether lesions of malignant

      • KCI등재후보

        영상변조 프로그램을 이용한 호흡 위상 간 종양의 움직임 특성 분석

        조정희(Jeong-Hee Cho),김주호(Joo-Hoo Kim),서선열(Sun-Youl Seo),한동균(Dong-Kyoon Ha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2 방사선기술과학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호흡 위상을 고려한 4DCT 자료를 토대로 자동영상변조등록 프로그램인 MIMVista에서 계산한 최대강도투영 영상에서 폐종양의 발생위치와 유착여부에 따른 종양의 움직임 특성을 분석하고 3DCT 결과 값과 비교하였으며 호흡 위상 간 종양의 도심변화 등 기하학적 변형 특성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폐하부에 위치한 종양에서 Y축으로의 평균 도심 변화가 7.32±6.88 ㎜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HU값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평균 7.7±4.97 %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유착성 종양보다는 비유착성 종양에서 호흡 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3DCT 영상과 MIP 영상간에 종양 용적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9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종양의 기하학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결과 종양의 위치와 유착여부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횡격막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환자 간 호흡 위상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종양의 움직임과 관련한 특정 경향성을 파악할 수는 없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lung tumor, such as tumor centroid, HU change relative to breath phase, depending on tumor location and adhesion using 4DCT and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program (MIMVista). The Y axis change was most significant and the mean Y axis centroid fluctuation was 7.32±6.88 ㎜ in lower lung tumor. The mean HU variation in lower lung mass has changed more than other locations, and its mean HU variation was 7.7±4.97 % and non-adhered mass was more changed. Correlation for the mass volume between 3DCT and MIP was very high and its coefficient was 0.998. The effect of tumor location, adhesion and diaphragm excursion to geometric uncertainties was analyzed by linear regression model, it was influenced to mass deformation and geometrical variation so much except diaphragm excursion. but intra-fractional and inter-patient’s uncertainties were great, so it couldn’t find any exact deformation trend.

      • KCI등재

        방사선치료의 최근 기술 동향

        장재욱(Jae-Uk Jang),한만석(Man-Seok Han),김갑중(Gab-Jung Kim),서선열(Sun-Youl Seo),유세종(Se-Jong Yoo),전민철(Min-Cheol Jeon) 한국자기학회 2019 韓國磁氣學會誌 Vol.29 No.5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rapy is a typical treatment method for treating human body cancer. During the past 100 years, there has been a rapid change in the progress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re have been many developments in the last ten years. Computed tomography was introduced for radiation therapy, and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was started through image reconstruction techniques. Through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which examines the radiation intensity from the same plane in another way, more complex and detailed treatment became possible. In addition, accurate treatment became possible via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which increases the reproducibility of the patients position by using images acquired with the treatment equipment. Recently, with the advent of new equipment through the fusio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equipment and therapy equipment, it will give much help to radiation therapy. Such changes are expected to have many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radiation therap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