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배의 역설・광기의 식민지 -나카시마 아쓰시 「순사가 있는 풍경」에서의 제국・천황・타자-

        서동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2 No.-

        The picture of Korea in the colonial period drawn by Nakajima Atsushi in his 'Junsa no iru fukei' is not just an embodiment of his own experience of Korea, or the harsh reality of a colony overflowing with discrimination at the hands of the Japanese. Rather, as is shown by analyzing the setting of a 'Korean policeman' and '1923', it at once preserves the structure of discrimination, while presenting the assimilationism that function together with this. Again, it presents the ambivalence surrounding Imperial Japan's discrimination which, while rejecting discrimination, could not in fact cease discriminating. As we see from scenes where Koreans are arrested and oppressed by Koreans, a feature shared by the characters 'Cho Kyo Young' and 'Kim Dong Ryen' in the story, the upshot of this is that we find inscribed in the narrative the process whereby the relations of domination in the colony are replaced by divisions among the colonized, and in the end this stimulates a sense of their own ethnicity, leading to the breakdown of assimilationism itself. At this point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the repugnance that Nakajima himself felt fot assimilationism.

      • KCI등재

        핵전쟁 시대의 전향소설 -나카노 시게하루의 「프로크라스티네이션」(1963)을 중심으로-

        서동주 한일민족문제학회 2023 한일민족문제연구 Vol.44 No.-

        近代日本で社会主義文学を牽引した中野重治は、一生を通じて「転向」を みずからの文学的課題と考えていた。特に中野重治の転向に関する認識を考 える際、「プロクラスティネーション」(1963)という小説は興味深い論点を示してい る。 第一に、この小説は転向という出来事を当事者の視点ではなく、「第三者の 視点」から扱っている。小説は、安田という人物が「転向する者」を見つめる構 造を取っている。そして、こうした小説内の構造は、読者に「誰がなぜ転向した のか」という問いよりも、「転向がなぜ続いているのか」という問いに関心を持たせ るようになっている。小説の中で安田は野上という友人と日本共産党の転向に 対して長い間沈黙し続けていた。これは安田が転向の問題が継続するのに一 種の「共犯」として関与していたことを示している。 第二に、この小説は転向を戦前にあった過去の出来事ではなく、戦後にも続 いている現在の問題として扱っています。共産党は戦後になっても大衆の動向に 無関心な態度を見せており、野上は自身の研究活動を支援するアメリカの冷戦戦 略を見ようとしていない。しかし、この小説が戦後の転向だけを扱っているとは言 いがたい。共産党の転向は戦前と戦後が変わっていない点において問題になっ ており、安田の転向は戦前から戦後へというかたちで行われているからである。 第三に、安田が転向の問題を思い起こす背景に核戦争の危機が設定され ている点も、この小説の特徴として挙げられる。小説では核戦争の危機が安田 に人類の滅亡への不安を抱かせる原因となっており、結局はや転向の問題に沈 黙しないという覚悟を引き出している。その点で核戦争の危機はこの小説におい て決定的なコンテキストとなっている。 戦後日本の精神史という観点から見ると、この小説は1960年代の前半にあっ た「短かい戦後の危機」を記録しているテキストとして評価することができる。1962 年のいわゆる「キューバ危機」によって煽られた米ソの対立は、当時新たな世界 大戦の前兆と見なされた。そして、その影響により、日本人たちは戦後が終わる かもしれないという不安を覚えていた。しかし、核戦争の脅威は米ソ間の妥協と 同時に瞬時に現実感を失った。それに伴い、日本でも戦後が終わるかもしれな いという危機感も消えてしまった。現在、1960年代前半の時期は豊かさと繁栄 への一方的な道程として記憶されている。しかし、そのような記憶は戦後が核戦 争の危機によって危機に陥った事件に対する忘却の上に構築されたものです。 したがって、核戦争時代の転向を扱っている「プロクラスティネーション」は忘れ去 られた歴史を記録しているという点において、独自の歴史的意義を持つテキストと 言える。

      • KCI등재

        한국정치학에서 '사이버 공간·안보' 연구동향과 정책적 함의

        서동주 세종연구소 2008 국가전략 Vol.14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academic research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ies on the cyberspace and security in Korean Political Science. According to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and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cyberspace studies revealed very active trends and research achievements also are plentifully accumulated. On the other hand, `cyber security' section is evaluated to be in the phase which is insufficient from the scientific and theoretical side. Also,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re were great leaps in the field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security strategy, national security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cyber national security system etc. Integrated viewpoint and approach to the political, military, and technological aspect is needed. As a result, it is important for us to activa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studies in the future.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make strenuous efforts among government, industries, universities and military in order to establish the preventive national security system. 이 글의 연구목적은 두 가지로, 첫째는 정치학 부문에서의 사이버 공간·안보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는 사이버 안보연구에 담긴 정치·정책적 함의를 살펴보고, 국가안보체계 확립에 도움이 될 학제간 연구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정치학회보>와 <국제정치논총> 등 정치학 부문에서의 사이버 공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연구업적 또한 많이 축적되어 있다. 반면 ‘사이버 안보’ 부문은 학술적, 이론적 측면에서 미흡한 단계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국방, 안보, 위기관리, 정보기술 등 여타 학문과 연계된 부문 및 정책적 대안 마련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안보전략, 국가위기관리체계, 사이버국가안보체계 구축 등 정치-군사-기술적 측면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시각과 접근 역시 아직 본 궤도에 이르렀다고 평가하기 힘들다. 앞으로 예방적 국가안보체계를 확립해 나가기 위해 관·산·학·군을 아우르는 학제간 네트워크 형성과 공동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1938년 일본어연극 <춘향전>의 조선 ‘귀환’과 제국일본의 조선 붐

        서동주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0

        1938년 10월 무라야마 도모요시(村山知義)가 연출한 일본어연극 <춘향전>이 현해탄을 건너 식민지 조선에 나타났다. 이렇게 일본어로 다시 태어난 <춘향전>은 식민지 조선의 문화계에 일종의 ‘붐’과 같은 현상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춘향전>에 쏠린 관심과는 대조적으로 공연 자체에 대한 식민지 지식인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인색했다. 무엇보다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은 일본어와 일본인 배우에 의해 재현된 <춘향전>이 기존의 <춘향전>이 담고 있었던 ‘조선적인 것’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고 한 목소리로 불만을 표출했다. 이러한 불만에는 무라야마가 야심차게 시도한 가부키적 연출법도 한 몫을 했다. 즉, 가부키의 도입이 <춘향전>을 조선적 전통에서 이탈시켰다고 보았다. 그리고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춘향전>의 경성 공연 직후 열린 좌담회에서는 조선의 문화를 일본어로 표현가능한가를 둘러싸고 일본인 문학자와 조선 측 참석자 간의 날선 대립이 벌어졌다. 일본어연극 <춘향전>은 이렇게 전례 없는 관심과 더불어, 일본인 제작자와 조선인 수용자, 그리고 수용자로서의 일본의 문학자와 식민지 문학자 사이의 메우기 힘든 균열을 드러냈다. 이처럼 <춘향전>을 둘러싼 갈등=균열은 <식민제국=일본>과 <식민지=조선>이라는 경계선을 따라 표출되었다. 하지만 이것을 문화제국주의와 문화민족주의 사이에 일어난 ‘침략’과 ‘저항’의 구도로 이해하는 것은 성급하다. 왜냐하면 표면적으로 일본 측 지식인들은 식민지 조선 민족문화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 않았으며, 문화적 저항의 태도를 고수하면서도 일부 식민지의 지식인은 중국에서의 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행보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식민지 문화의 표상공간에서 제국의 언어인 일본어의 독점적 지위를 주장했던 일본인 측의 논리는 현실적으로 문화제국주의처럼 기능하지 않을 수 없었다. 민족어로 표현할 권리를 박탈당한 민족문화는 자율적인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어연극 <춘향전>에서 비롯되어 1940년 전후에 정점에 달한 제국일본의 ‘조선 붐’은 식민제국에 의한 식민지 문화의 ‘재발견’이기보다는 식민지 민족문화의 소멸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 러시아 푸틴정부의 대미관계 : 특징, 전망, 정책적 함의

        서동주 제주평화연구원 2014 JPI 정책포럼 Vol.131 No.-

        푸틴 집권 3기 출범 이후 러미관계는 푸틴과 오바마 대통령 간 리더십 앙금, 푸틴의 對美 부정적 인식, 에드워드 스노든의 임시망명 허용, 유럽 MD 구축, 미국의 러시아 내 인권 상 황에 대한 문제 제기 등으로 갈등 양상이 증폭되고 있다. 러시아의 대미관계는 푸틴이 추구 해왔던 ‘실용적 신전방위 강대국 노선’이 견지되는 가운데 메드베데프 집권기 보였던 재설 정을 완전히 파기하는 상태로 가지는 않겠지만, 기존의 재설정 단계보다는 갈등 양상이 심 화되는 ‘재설정의 재설정(re-reset)’ 모습을 띠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러·미 간 갈등 심화는 역내 안정과 평화에 부정적인 파급영향을 끼칠 것이며, 주요국 간 역내 질서 재편을 둘러싼 전략적 합종연횡도 활발해지게 만들 것이다. 러시아의 역내 전략 적 균형추 및 중재자 역할이 강화되고 주요 현안에의 개입과 영향력 역시 확대되어 나갈 것에 주목하고, 푸틴정부의 ‘신동방정책’ 등 동아시아·한반도정책에 대해 조응하면서 한· 러 간 양자, 지역적, 글로벌 부문에서의 협력을 강화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