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서의 액션러닝 운영효과

        백명(Baek, Myeong),최온(Choi, On),김은아(Kim, Eun 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액션러닝을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성향, 대인관계의 이해, 문제해결의 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수업운영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한 S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중 실험군, 38명, 대조군 42명으로 총 80명이었다. 2014년 1학기에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교과명으로 액션 러닝기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하여 2학점, 주2시간으로 15주간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2014년 3월 3~5일 수업실시 전과 15주 수업 완료 후인 6월 11~13일에 창의적 문제해결성향, 대인관계의 이해와 문제해결의 적극성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2-test와 Fisher s exact test,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운영의 효과검증은 paired t-tes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액션러닝을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 운영 후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성향(t=4.56, p<.001), 대인관계의 이해(t=6.65, p<.001)와 문제해결의 적극성(t=3.1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에서 액션러닝 교수방법 적용이 간호학과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 주도적 중심의 교수법의 도입에 근거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추후연구에서는 액션러닝 수업운영에서 팀 학습의 효과, 질적 사례연구와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ubject o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pensity,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ositiveness in problem solving for nursing student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is applied for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The number of subjects were 80 among sophomore nursing students (38 in experimental group and 42 in control group), located in G city, South Korea from March to June 2014. The data was analyzed by χ2-test, Fisher s exact tes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propensity (t=4.56, p<.001),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6.65, p<.001), and positiveness in problem solving ((t=3.13, p<.001) in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cours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action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application of action learning is effective in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curriculum, and providing data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learner-directed learning method. In Future research, it seems that team efficiency with project outcome, qualitative case study, and longitudinal study are needed in the course of action learning class.

      • KCI등재

        간호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백명 ( Myeong Baek ),장금성 ( Keum Seong Jang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16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1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aching program for nurses and verify its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coaching skill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apply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Sixty staff nurses with three years to ten years career were recruited, 30 nur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nurses for the control group. The coaching program was composed of coaching education step and coaching application step with lecture, practice used role-playing and fishbowls discussions with team-based learning, and it was implemen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ver 8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March 31th, 2010, and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ratio,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Kolmogorov-Smirnov test, t-test and ANCOVA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coach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emotional intelligence (p=0.001), coaching skills (p<0.001), self-efficacy (p<0.001), and job satisfaction (p<0.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t was supported for all hypothesi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foundation assuming the systematic introduction of nursing education and coaching program development.

      • 대학생활 비전 설계 윤영 사례 [SJC Leader’s AL-Program]

        변황우(Hwang-Woo Byun),백명(Baek Myeong) 대한전기학회 2015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The operating practices “target freshman team group lectures designed College Life Vision [SJC Leader’s AL-Program] my choice, my dream! Dream(?) of the Jeil College Student.” It was conducted for new students 80 people with the title.

      • KCI등재

        노인건강 증진을 위한 노인교육 프로그램 실제

        민순(Soon Min),주애란(Ae Ran Joo),백명(Myung Baek),박상화(Sang Ha Park),신인용(In Yong Sin) 한국노인복지학회 2002 노인복지연구 Vol.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적인 건강유지, 증진뿐만 아니라 심리적·정신적, 사회적, 영적 접근을 통한 총체적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G시의 있는 교회의 노인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삼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교회에서 노인교육프로그램 운영 모형을 구성요소인 조직관리, 재정, 인력, 프로그램과 서비스, 모니터링 및 평가를 중심으로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노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모형을 제시하면서 세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달체계와 실천흐름도를 개발하였다.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 진행기간은 2001년 3월 13일부터 11월 27일까지였고, 프로그램 내용은 1) 강의 2) 문화마당 3) 복리 후생사업 4) 사회봉사활동 5) 신앙생활 6)이·미용, 목욕서비스 7) 사랑의 식당 8) 건강행위, 건강·간호상담, 영적 간호 등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없는 일 교회 노인교육프로그램을 참여하는 70여명의 노인에게 제공되었고, 이중 22명을 편의 표집하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질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을 이용하였고 자료분석방법은 SPSS/PC를 이용하여 Frequency, X2-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교육프로그램에 알게 된 경로는 교회광고가 대부분으로 76,2%였고 참석이유는 배움이 즐거워서라는 이유가 65%로 나타났다. 결석빈도는 무결석 노인이 14명, 1-2회 결석한 노인이 5명이었다. 2. 남녀에 따른 노인교육프로그램 출석여부를 확인한 편과 여자노인(75%)이 남자노인(71.4%)보다 출석율이 높았다. 3. 전반적인 노인교육프로그램 주요내용(강의, 문화, 사회봉사활동 및 건강행위, 건강·간호상담, 영적 간호)에 대한 만족은 90%가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하부내용으로 식사는 100%가 매우 만족, 미용은 86.7%가 매우 만족, 목욕은 88.9%가 매우 만족, 야유회는 88.2%가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4. 남녀에 따른 노인교육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신체적인 건강유지, 증진뿐만 아니라 심리적·정신적, 사회적, 영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교회의 노인교육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매우 긍정적으로 지각된 것으로 사료된다. The elderly educational program help the elderly to keep healthy and improve their health from view of holistic health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developing the elderly educational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on program elderly educational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3 to November 27, 2001 by using questionnaire method. The subjects were 22 of 70 elderly, who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G-elderly educational program program in G-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x^2-test using SPSS/PC program. This elderly educational program were consisted of 1) Lecture 2) Culture program 3) Welfare service 4) Social service 5) Christianity life 6) Hair stylist-bath service 7) Cafeteria of love 8) Health behavior, Health-Nursing counseling, Spiritual nur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lderly educational program recommended to elderly and the reason of taking elderly educational program is to enjoy study time. Most attend club. 2. The analysis of attendance rate shows that the female group is higher than the male group. 3. The survey of satisfaction level shows main-program 90% in the elderly. In sub-program satisfaction level shows lunch service 100%, Hair stylist service 86.7%, bath service 88.9%, picnic 88.2%. 4. The elderly educational program was satisfied by the all. After elderly educational program, it was shown that the program wa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실천학습 적용에 따른 간호관리자의 공통 기본역량 변화와 반응 분석

        장금성,백명,최영자,안순희,이숙자,심재연,임정옥,정경희,양진주,오숙희,김윤민,김은아,봉현철 대한간호행정학회 2006 간호행정학회지 Vol.12 No.3

        Purpose: This study is analyzing nurse managers's common fundamental competencies changes and responses to the application of the action learning, and promoting introduction and revitalization of action learning. Method: The research design i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are 40 nurse managers. The program was performed for 5 weeks. Data were collected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5 weeks program and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Result: Action learning w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 individual and team and to solve the problem of organization. There were more significant increases after the program than before the program on common fundamental competencies(p<.05). Conclusion: This study has us confirm that action learning i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organization members on the spot to recognize their problem and study by themselves and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with various solu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