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백다인,김옥수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전문직 삶의 질의 정도를 확인하고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간호사 176명으로, 2020년 3월 3일에서 16일까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501, p<.001)이었고, 설명력은 24.8%였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35, p<.001),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27, p<.001), 학력(학사)(β=.188, p=.046)이었으며, 설명력은 36.8%였다.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502,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24.4%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습득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덜 사용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76 staff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from March 3 to 16, 202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hospital nurses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501,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nts' compassion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4.8%. The variables affecting burnout wer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435, p<.001),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427, p<.001), and educational level (β=.188, p=.046),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6.8%. In addition,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502,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condary traumatic stres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4.4%.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hospital nurses, focusing on acquir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using less maladaptive strategies.

      • KCI등재

        클라이언트중심 가정방문 작업치료가 치매특별등급 대상자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효과 : 사례연구

        백다,정혜림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2

        목적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 적용이 치매특별등급 대상자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치매특별등급 대상자를 위한 활동 중심형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치매특별등급을 받은 3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측정(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여 일상생활 및 활동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통해 활동 및 중재 목표를 설정하였다. 중재로 선택한 활동을 관찰 후 20단계로 단계화하고 대상자가 단계를 따라 수행하도록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중재 전․ 후의 대상자의 활동참여 수준, 중재 목표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였으며 중재 기간 동안 활동 수행률의 변화는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활동 수준 점수가 증가되었으며 중재 활동의 과제수행률과 수행도 및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를 적용한 활동 중심 프로그램은 치매 특별등급 대상자를 위한 작업치료의 실제적 모델을 제공하여 치매서비스 영역에서 작업치료 분야의 전문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lient-centric occupational therapy on the activity participation in subjects with a special dementia ratings, and to provide a model of an activity-centric program for such subjects. Methods: Thre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aving a special dementia ratings. Their ADL and levels of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a Modified Barthel Index, the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 The goals of their interventions were established using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The activities selected were classified into 20 steps. The changes in activity implementation (correct response to the step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were presented visually through a graph. Results: Their activity level scores were increased, and the task implementation rate, implementation level,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intervention activity were improved. Conclusion: The activity centric program used to apply client-centric occupational therapy suggested in this study can provide a practical mode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ubjects with a special grade of dementia, and can contribute to securing the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field of dementia services.

      • KCI등재

        전연(前燕) 속의 ‘고구려계(高句麗系) 류민(流民)’

        백다해 ( Baik Dahae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21 梨花史學硏究 Vol.- No.63

        The period from the 4th to 6th centuries in East Asian society was ‘the age of migration’. The migration of nomads from the north to the south triggered a series of migrations of other groups. This paper explored the migration of Goguryeo(高句麗) in relation to the neighboring powers of East Asia by expanding the issue of ‘migration’, which has been discussed only in the relationship of ‘China’ or ‘center and periphery’. In particular, using the cases of the Goun(高雲), Gorim (高琳), and Go Youngsuk(高英淑) families foun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d the Goguryeo migrants and their society that left Goguryeo in the 4th century and settled and resided in the Former Yan(前燕). To be specific, this study identified the ‘border’ formed between the two forces of Goguryeo and the Former Yan, and identified the aspects of the migration of the Goguryeo people, which were the prerequisites for the Goguryeo migrant society within the Former Yan. Goguryeo people went into the Former Yan as prisoners of war, diaspora, and hostages. Furthermore, it explained that Former Yan’s governance served as a background of maintenance of Goguryeo migrant society. Within the Former Yan, the Goguryeo migrant society of more than 50,000 people was formed, and they continued to sustain the society by following the changes of the Former Yan's center. Even after the Former Yan collapsed, they maintained an independent migrant society with the identity of ‘the Goguryeo people’. Focusing on the Goguryeo migrants and their society that existed in the Former Yan,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at Goguryeo was a member of East Asian society from the 4th to 6th centuries, ‘the age of migration’, and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shed light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deviating the research trend that has emphasized the one-sided flow of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 KCI등재

        5세기 국제정세와 장수왕대 대송관계(對宋關係)의 성격

        백다해(Baik Da-hae) 한국역사연구회 2016 역사와 현실 Vol.- No.102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nature of a relationship cultivated between Goguryeo(高句麗) and Song during the days of Goguryeo king Jangsu’s reign. Also noticed is the situation in the Shandong(山東) peninsula and nearby countries’ claim on the region being a huge issue between the two countries. Generally, it has been believed that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Jangsu, communicated with Song in an effort to put Northern Wei(北魏) under constant check. As the Northern Wei was sharing a border with Goguryeo, it was a major security concern for Goguryeo and a cause to seek out foreign cooperations to be sure. Yet King Jangsu was already quite interested in cultivating a relationship with Song even before the year 436, when conflicts with Northern Wei actually broke out. So, the nature of his such interest should be explained. We can consider the situations that were forming in the Shandong region as one of the culprits. At the time, Goguryeo was increasing its maritime activities,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Goguryeo was able to advance its territory to the Liaodong region. Suddenly the Shandong region, which could be connec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on sea, indeed became a tempting object of communication. And such interest also led to other communications with factions like Southern Yan(南燕) and Eastern Jin(東晉) on Shandong. The relationship with Song was the same. Goguryeo continued its relationship with Song, by dispatching emissaries more than 20 times during a 60-year-plus period since the foundation of Song (and before it was replaced by Southern Je[南齊]). Then, a turning point came in 438 when a large envoy dispatched by Song arrived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clashed with the Goguryeo authorities. This incident prompted the Goguryeo government to realiz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closely monitoring Song and the Shandong region, in terms of defending the Liaodong region. Added to this, the war between Song and Northern Wei which broke out in 422∼423 and later in the 450s over control of the Shandong region, as well as Baekje’s intention to put Goguryeo in check using its own relationship with Song, affected the Goguryeo-Sung relationship.

      • KCI등재

        ‘북연 집단’의 이동을 통해 본 430년대 고구려 외교정책

        백다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3

        430년대는 북위의 화북 통일로 국제정세가 요동치는 시기였다. 당시 고구려는 변화하는 국제정세에 대응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외교정책을 추진해나갔다. 이 글은 430년대 고구려가 추진하였던 외교정책의 흐름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별히 436년 확보한 ‘북연 집단’의 고구려 내 이동 및 안치를 통해 해당 시기 고구려 외교정책의 한 단면을 탐색하였다. 430년대 고구려가 먼저 주목한 국가는 북위였다. 고구려는 435년 사신을 파견하였으며, 북위와 국제관계를 맺었다. 하지만 북연의 멸망이 가까워지면서 동방 지역에 대한 북위의 압박은 커져갔다. 고구려는 북위와의 관계를 통해 자국이 원하는 바를 보장받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북연과의 연합을 선택하였다. 436년 2월 북위가 보낸 告諭使의 방문이 결정적 계기였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북연 집단’이 고구려로 유입되었다. 이 글에서는 ‘북연 집단’의 고구려 내에서의 이동과 안치 공간에 중점을 두었다. 수도 和龍을 떠난 ‘북연 집단’이 처음 이른 곳은 요동, 구체적으로 양평이었다. 이후 고구려는 이들을 평곽에 안치시켰으며, 재차 북풍으로 이동시켰다. 평곽은 오늘날의 遼寧省 蓋州市 일대로 비정된다. 한편 북풍은 그 위치를 두고 다양한 논의가 있는데, 이 글에서는 요동반도 해안가 일대로 간주하였다. 주목되는 것은 ‘북연 집단’을 안치한 공간으로 요동, 특히 평곽과 북풍이 선택된 배경이다. 이는 평곽, 북풍이 가진 지리적 이점과 함께 북연 멸망 이후 고구려가 구상하였던 외교정책이 반영된 결과였다. 즉, 고구려는 북위의 위협이 가시화된 상황에서 宋‧柔然 등 주변 세력과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때 북위의 무도한 무력팽창으로 유랑하였던 ‘북연 집단’은 북위에 반대하는 세력이 연대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였다. 북연이 가지고 있었던 송‧유연과의 관계도 고구려가 이들과 교섭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되었던 듯하다. 이처럼 고구려는 송‧유연과 연계하기 용이한 교통로상의 거점인 북풍에 ‘북연 집단’을 안치하고, 새로운 대외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The 430s was a turbulent period in East Asia. The Northern Wei led multiple wars to unify the northern territories, and various nations engaged in diplomatic efforts to avoid wars. It was a time when both physical warfare and intense diplomatic struggles were preval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plomatic policy of Goguryeo in the 430s. Goguryeo's main objective during this period was to secure its own safety, including the newly acquired territories like Liaodong. However, the specific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manifested in various forms. Goguryeo's first focus was on the Northern Wei. In 435, Goguryeo dispatched envoys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Northern Wei. However, as the downfall of the Northern Yan became imminent, the pressure from the Northern Wei increased. The envoys dispatched in February 436 was a decisive event that confirmed the Northern Wei's pressure. Subsequently, Goguryeo adjusted its foreign policy towards forming an alliance with the Northern Yan.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an alliance with the Northern Yan, a group of the Northern Yan including Feng Hong(馮弘), the ruler of the Northern Yan, entered Goguryeo. They initially settled in Liaodong(Xiangping, 襄平), but soon moved to Pingguo(平郭) and later to Beifeng(北豊). The selection of Pingguo initially, and the subsequent move to Beifengg, had implications on Goguryeo's diplomatic policy. Exspecally, Beifeng(北豊) had the potential to be used in coordination with other neighboring powers like Liu Song(劉宋) or Rouran(柔然). That is, Goguryeo intended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Northern Wei while strengthening ties with surrounding powers like Liu Song and Rouran to ensure the safety of Liaodong.

      • KCI등재후보

        조현병 클라이언트의 시간사용과 작업참여에 관한 연구

        백다래(Baek, Da-Rae)박명옥(Park, Myoung-Ok)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조현병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시간 사용과 작업 균형의 상태를 알아보고, 작업수행과 참여의 관계를 사례를 통해 알아봄으로서, 작업참여에 대한 중재를 마련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는 2020년 9월 1일부터 주 1회 40분씩 10주간 일대일로 클라이언트가 방문하는 사설센터에서 진행하였으며, 작업설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와 통계청에서 시행한 2019년 생활시간조사표를 활용하여 시간사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여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중심 작업치료중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클라이언트의 하루 일과 시간 사용은 개인유지가 48.3%, 일 29.2%, 가정관리와 가족 및 가구원 돌보기가 각각 8.3%였으며,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 중재 후 COPM의 통한 수행도와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결론 : 조현병 클라이언트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에 대하여 더 면밀히 파악하고, 작업적 목표에 기반한 참여형 중재가 조현병 클라이언트에게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on Il-Hyun Center for Children and Youth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interventions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by examining the degree of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for the schizophrenic client, and by grasping the work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level.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private center visited by clients one-on-one for 10 weeks for 40 minutes once a week from September 1, 2020. Analyzed for use. In addition, data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re collected using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nd based on this, a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was conducted. Results : As for the client s daily work and time use, personal retention was 48.3%, daily 29.2%, and family management and family and household member care were 8.3%, respectively, an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hrough COPM improved after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Conclusion : It is thought that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more closely grasp the time use and work balance of schizophrenia clients, and to actively utilize participatory interventions based on work goals for schizophrenia clients.

      • KCI등재

        6세기 前半 高句麗와 梁 교섭의 實狀

        백다 부경역사연구소 2020 지역과 역사 Vol.-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fluctuations of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on the negotiation patterns between Goguryeo and Yang Dynasty(梁). In Precedent Stud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has been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5th century. In other words, while Northern Dynasties(北朝), Southern Dynasties(南朝), Goguryeo(高句麗), Róurán(柔然) with similar power achieved 'power balance', the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the 'interoperability' influenced by each other's actions continued, and three forces(南朝, 柔然, 高句麗) had an alliance to contain Beiwei(北魏), a military power. Although Goguryeo(高句麗) and Yang Dynasty(梁) started exchanges from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ir exchanges were not substantial. Dispatching an envoy was not frequent, and the reason for the dispatch was also a follow-up measure against the threat of trading routes. However, it expanded rapidly since 520.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emphasized the influence of the agitation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Unlike the Precedent Study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East Asia showed international fluctuations. The beginning was Róurán(柔然)’s attitude change. Róurán(柔然), which had a favorable relationship with Southern Dynasties(南朝) and , Goguryeo(高句麗), sought an alliance with Beiwei(北魏), and in 520, Beiwei(北魏) accepted it and established an amicable relation between Beiwei(北魏) and Róurán(柔然). Therefore, Goguryeo(高句麗) had to watch out for the linkage between the two forces in the west and in the north. Moreover, Róurán(柔然) implied its intention to subdue Goguryeo(高句麗), which had carried out military action in the 營州 province, and thus Goguryeo(高句麗) needed to further contain Róurán(柔然). The exchanges between Goguryeo(高句麗) and Yang Dynasty(梁), which had been expanded since the 520s, were closely related to such international situation and fluctuations. In short, Goguryeo(高句麗) tried to keep Róurán(柔然) in check by negotiating with Yang Dynasty(梁), and at the same time respond to the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However, Yang Dynasty(梁)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Goguryeo(高句麗). Furthermore, in 534 when Beiwei(北魏) was divided into east and west, the turbulent international situation was reorganized. In particular, the amicable relation between Dongwei(東魏) and Yang Dynasty(梁) that shared a border with Goguryeo(高句麗) emerged. In this context, Goguryeo(高句麗) seemed to lose its motivation to negotiate with Yang Dynasty(梁) and gradually revised its foreign policy toward placing importance on bargaining with Dongwei(東魏). 본 글은 6세기 前半 확인되는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동요가 고구려와 梁의 교섭 양상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6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는 5세기의 연장선으로 이해되었다. 즉, 비등한 힘을 가진 北朝系, 南朝系, 高句麗, 柔然이 ‘세력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서로의 행동이 영향을 주는 ‘연동성’에 기반한 질서가 계속 유지되었으며, 남조계, 유연, 고구려는 상대적 군사 강국인 북위를 견제하기 위해 연대하였다고 이해한 것이다. 고구려와 양은 6세기 초부터 교섭하였지만, 그 양상은 미미하였다. 사신 파견도 저조하였으며, 파견의 이유도 교통로 위협에 대한 사후 대책의 차원이었다. 하지만 양국의 교섭이 520년대부터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여기에 국제정세의 동요가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실제 기존의 이해와 달리 6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가 동요하는 현상이 포착된다. 발단은 유연의 태세 전환이었다. 남조계 및 고구려와 친선관계를 맺었던 유연은 북위와의 화친[通和]을 모색하였는데, 520년 북위가 이를 수용하면서 유연-북위 간 친선관계가 성립되었다. 게다가 유연은 營州 일대로의 군사행동을 감행했던 고구려에 대한 토벌[東討]을 주장하는 상황이었다. 520년대 이후 확대되는 고구려와 양의 교섭은 이러한 국제정세 변동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534년 북위가 東‧西魏로 분할되면서 요동치던 국제정세가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와 접경하였던 동위와 양의 친선관계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구려는 양과의 교섭 動因을 상실한 듯하며, 동위와의 교섭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대외정책을 점차 수정해 갔다.

      • KCI등재

        高句麗와 宋 교섭의 의미 - 459년 사행을 중심으로 -

        백다해(Dahae, BAIK)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6 No.-

        459년 고구려는 肅愼의 사신을 대동하여 송에 입조하였다. 본 글에서는 459년이라는 시점에 고구려가 숙신의 사신과 함께 송에 입조한 배경과 이유를 살펴보았다. 이는 고구려와 송, 양국 교섭이 가지는 의미를 새로운 각도에서 밝혀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숙신은 聖德天子가 출현해 중원을 다스리면 그 덕에 감화되어 楛矢 · 石砮를 가지고 조공해 오는 遠夷 朝貢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236년을 기점으로 한동안 보이지 않던 중원왕조에 대한 숙신의 조공이 재확인된다. 이때 숙신은 挹婁와 동일한 종족집단이다. 다만 동시에 여러 왕조가 공존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숙신의 조공이 가지는 상징은 국가의 정통성 확보와 결부되어 중시되었다. 자연히 읍루를 숙신이라 여기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리고 <광개토왕비>, 『삼국사기』에서도 숙신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도 이러한 인식을 공유한 듯하다. 459년 고구려가 대동한 숙신 역시 이와 관련된 집단으로 여겨진다. 459년 고구려가 원이 조공의 상징인 숙신을 대동한 것은 송과 고구려 양측의 이해관계가 합치된 결과였다. 북벌 실패와 내란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즉위한 孝武帝는 내부 질서 및 대외 위상을 회복할 필요가 있었다. 효무제는 王畿 제정, 五輅 제작, 明堂 건립을 추진하며, 建康 중심의 천하관을 수립, 자국의 대내외 질서를 회복하려 하였다. 459년은 일련의 일들이 본격화되는 때였다. 같은 해 숙신의 입조는 송의 건강 중심 천하관 정립과 무관하지 않다. 한편 숙신을 동원한 것은 고구려에게도 두 가지 효용이 있었다. 첫째, 서북방의 동요를 막는 동시에 域內 세력에 대한 영향력 재확인이다. 5세기 중반 서북방지역의 정세변화로 고구려 영향력 아래에 있던 세력의 이탈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고구려는 이들의 이탈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역내 세력에게 자국의 영향력을 강조하고자 숙신을 동원하였다. 둘째, 중원왕조 간의 긴장 관계를 활용한 외교 책략이었다는 점이다. 이질적인 왕조가 남북에 공존하는 상황에서 숙신의 조공은 각 왕조의 정통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중요한 척도였다. 당시 고구려는 숙신을 이용, 胡族이지만 중원의 진정한 지배자가 되길 갈구했던 북위를 자극하였다. 다른 한편 동아시아 내에서 고구려의 위상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Goguryeo attended the royal court of Song dynasty accompanied by the envoy of Sushen(肅愼) in 459.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the Goguryeo’s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attendance at the time of 459. It is also an attempt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negotiations between Goguryeo and Song dynasty from a new perspective. Sush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the symbol of tribute from outlander barbarians(遠夷), which pay Hushi(楛矢, bush clover arrow) and Shinu(石砮, stone arrowhead) as a tribute influenced by the virtue of an emperor of saint virtues(聖德天子) when he emerges and governs Zhongyuan(中原, central plain). However, the tribute of Suksin to the Zhongyuan dynasty, which was suspended for a while after 236, is reaffirmed; Sushen is the same ethnic group as Yilou(挹婁) at this point. The symbol of Sushen"s tribute was emphasized in connection with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stat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several dynasties coexist. Naturally, the perception that Yilou considered to be Sushen was widespread. Furthermore, it seems that Goguryeo shared this perception as the term “Sushen" is confirmed in Gwanggaeto Stele and Samguk 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ushen, that Goguryeo accompanied in 459, is also considered as the group related to this perception. Goguryeo was accompanied by Sushen, the symbol of outlander barbarians’ tribute, as a result of the coincidence of interests between Song dynasty and Goguryeo in 459. Emperor Xiaowu(孝武帝), who acceded to the throne at a time of crisis of failure in northern expedition and rebellion, needed to restore internal order and external status. Emperor Xiaowu attempted to restore domestic and foreign order by establishing worldview centered on Jiankang(建康) while proceeding designation of Wanggi(王畿), production of Oro(五輅), and establishment of Myeongdang(明堂). In 459, a series of things began to start in earnest. The attendance of Sushen at the royal court i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Jiankang-centered worldview of Song dynasty. Accompanying Sushen was also effective in two ways for Goguryeo. The first is the reaffirmation of the influence on the powers inside the domains(域內) and was prevent unrest in the northwest. As is generally known, Goguryeo had its own worldview since the 5th century. However, the breakaway movement of Silla and Buyeo, which were the part of this worldview, was captured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Goguryeo mobilized Sushen to emphasize the influence of the state while minimizing the aftermath of the breakaway. The second is that it was a diplomatic strategy that utilized the tension between Zhongyuan dynasties. Sushen’s tribute was an important measure of ensuring the legitimacy of each dynasty under the situation where disparate dynasties coexisting in the North and South. At that time, Goguryeo made use of Sushen to provoke Beiwei(北魏), which was Hojok(胡族) but longed to become a true ruler of the Zhongyuan; also,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mean to enhance the status of Goguryeo in East Asia.

      • KCI등재

        주거공간의 부엌 환경 특성에 대한 뇌졸중 환자의 선호

        백다,정연진,이춘엽,강석구,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부엌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도, 부엌 디자인 선호도, 부엌에 필요한 물품 선 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 지역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결론 : 부엌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에서 작업할 수 있는 의자 사용, 미끄럼방지 타일의 설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엌 디자인 선호 조사에서는 미끄럼방지 매트, 난방설비의 보일러, 서랍식 수납, L자형 안전손잡 이, 높낮이 조절이 되는 싱크대, 가스누출 자동차단기, 터치식 수도꼭지, ㄷ자형 주방, 환기시설은 천장형 후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에 필요한 물품 선호에서는 내려오는 싱크대 선반, 채 썰기 가위, 손 다침 방지 칼을 선호하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부엌환경에 대한 선호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뇌졸중 환자의 부엌 사용의 자립 도, 낙상 예방 및 주방용품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부엌 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of kitchen environment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who have experience in rehabilitation therapy at hospitals in Busan.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February 24th to March 13th, 2014. Descriptive statistics of frequency Study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 First, the subjects demand for improvement that use a chair for work and install non-slip tiles. Second, they preferred the non-slip mat, boilers in heating equipment, drawer storage, L-shaped safety handle, adjustable sink of the height, automatic cutout of gas leak, faucet of touch-sensitive type, ㄷ-shaped kitchen and the ceiling-type hood in ventilation system. Third, they need kitchen items such as the sink self coming down, scissors for slices and knife to avoid hand injury. Conclusion :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kitchen environment for fall prevention and ease in use.

      • 글리세롤의 숨겨진 성질과 상온 중성조건에서 은 나노입자의 합성

        임종국,백다,( Tianhao Liu ),박진성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바이오디젤의 사용량 증가와 더불어 부산물로 나오는 글리세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리세롤의 활용 가능한 분야 중 하나는 글리세롤을 화학반응의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다. 글리세롤은 인체에 무해하고 물보다 높은 증기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기압에서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유기물에서 무기물에 걸쳐 여러 가지 물질들을 용해시키는 능력도 탁월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물이나 석유로부터 만들어지는 유기용매를 대신할 수 있으며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선상에서 금속 나노입자를 글리세롤에서 합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으며 고온과 염기성 조건에서 쉽게 만들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자세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과 염기성 조건과 같은 기존 실험조건이 아니라 상온과 중성인 상태에서도 은 나노입자가 형성됨을 발견하였으며 새로운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토의를 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