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17세기 초 영국의 “여성논쟁”과 여성의 다른 목소리 -스웨트남 논쟁(Swetnam Controversy)을 중심으로-

        배혜정 ( Hye Jeong Bae ) 영국사학회 2013 영국연구 Vol.29 No.-

        근대 초 ‘여성논쟁’은 영국 페미니즘 역사의 시발점이었다. 1610년대 ‘스웨트남 논쟁’(Swetnam Controversy)에서는 여성혐오사상에 대한 여성의 항의가 최고조에 달했다. 논쟁 촉발자 스웨트남이 강도 높게 여성을 비난했기 때문이다. 그는 중산층 독자를 겨냥하여 여성혐오사상을 더 아래로 확산시켰다. 이에 반발하며 등장한 스페이트(Rachel Speght)와 소워남(Ester Sowernam), 문다(Constantia Munda)는 여성의 자질과 가치를 재평가했다. 스웨트남주장의 오류를 지적하기도 하고 성서를 재해석하여 여성의 존엄성을 입증할 뿐 아니라 여성의 우월성까지 시사했다. 하지만 남녀의 본성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구성된 성이라는 젠더의식이 약했고 여성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부족했다. 그렇지만 페미니즘의 발전에서 여성옹호론자의 기여는 적지 않다. ‘스웨트남 논쟁’이 오늘날에도 의미 있는 이유는 이전과 다른 여성의 목소리를 우리에게 들려주기 때문이다. 이들은 여성을 차별받는 하나의 집단으로 인식하고 여성혐오사상에 맞서 여성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 이런 점에서 ‘스웨트남 논쟁’에 참여한 여성옹호론자들은 페미니즘을 향한 첫걸음을 내딛었다고 볼 수 있다. The querelle des femmes from which the voices for women raised for the first time in public was a starting point of the feminist history in England. The noticeable counterattack of women against the traditional misogynist viewpoints was started in the so-called ``Swetnam Controversy`` in the 1610s. Because Swetnam blamed and denigrated women intensely. He spreaded misogynist thoughts widely, mainly targeting at the middle class. The defenders of women such as Rachel Speght, Ester Sowernam, and Constantia Munda refuted his misogynist arguments and defended the value of women. They tried not only to recover the dignity of women, but also to suggest the superiority of women, pointing out mistakes in his text and reinterpreting scriptural phrase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ir voices due to their earliest activities to announce feminine responses over the debate, however, they lacked critical perspective of the states of women in their time, while still remaining in adopting the natural differences between man and woman. However, we can`t underestimate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 feminism. In these days, ``Swetnam Controversy`` is important in that they defended themselves and other women by woman voice. They reevaluated the nature and capacity of women and raised women`s pride, perceiving women as a disadvantaged group. The advocates for woman in ``Swetnam Controversy`` thus took the first step toward feminism.

      • KCI등재

        논문(論文) : 결혼에 대한 메리 아스텔(1666-1731)의 비판적 고찰

        배혜정 ( Hye Jeong Bae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19 No.-

        오늘날 메리 아스텔(Mary Astell)은 여성의 열악한 현실을 비판하고 여성대학을 주창한 선구적인 페미니스트로 유명하지만, 당시에는 국교회와 토리파를 지지하는 인물로도 잘 알려져 있었다. 이런 아스텔 사상의 상충되고 모순된 성격이 담긴 책이 바로 『결혼에 관한 고찰』(1700)이다. 이에 최근 연구자들은 이 책이 페미니즘 저작이라기보다는 휘그파와 계약론을 비판한 정치저작에 가깝다고 본다. 그러나 이 책을 정치서로 한정지어 평가하는 연구는 17세기 영국에서 정치와 종교 논쟁만큼이나 ‘여성논쟁’이 치열하게 벌어진 역사적 맥락을 놓침으로써, 아스텔이 남녀의 위계질서를 옹호한 보수주의자일 수밖에 없다고 단정 짓는다. 본고의 목적은 17세기 말 영국의 정치논쟁과 여성논쟁 속에서 『결혼에 관한 고찰』을 면밀히 검토하여 페미니즘 의식의 발전에서 아스텔의 기여를 재평가하는 것이다. 『결혼에 관한 고찰』에서 아스텔은 아내의 처지를 노예상태로 규정하고 남성과 여성의 지배종속 관계를 신랄히 비판한다. 이런 비판은 이중효과를 낳았는데, 하나는 계약론의 위선을 폭로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결혼의 실상을 고발한 것이다. 아스텔의 눈에는 계약론이건 결혼제도이건 남성에게는 자유와 절대 권력을, 여성에게는 억압과 절대 복종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동전의 양면에 불과했다. 나아가 아스텔은 여성에게 불행한 결혼을 피하는 지혜를 알려 준다. 결혼을 신중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교육을 받으라고 조언하는 한편, 고등교육을 받아 결혼 말고 자립할 수 있는 더 높은 이상을 꿈꾸라고 넌지시 제안한다. 이처럼 아스텔의 결혼 비판은 여성옹호의 차원을 넘어 여성이 처한 현실을 문제 삼고, 내처 개선하려는 노력으로 나갔다는 점에서 근대 초 페미니즘의 진전된 면모를 보여준다. At the beginning of eighteenth century, Astell asked, ``If all Men are born Free, how is it that all Women are born Slaves?`` While she is a famous proto-feminist today, Astell was well-known as a pamphleteer for the Anglican Church and Tory in her time. It is her Reflections on marriage(1700) that contains her contradictory thoughts. The recent scholars have claimed that Astell``s Reflections is a political work criticizing Whig contractrianism rather than a feminist work criticizing traditional marriage. But I think they failed to note that marriage and family were hotly disputed topics of public debate in Astell``s time. My purpose is to revaluate Astell``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m, situating her Reflections in the contexts of the querelle de femmes and the political debate in her time. Astell regarded a marriage as a form of slavery in the Lockean sense. Her criticism is like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 One is to undermine contract theories of political right. The other is to expose the real condition of a marriage. Furthermore, Astell told women the wisdom of avoiding an unhappy marriage. Reading her message literally, she advises women to receive a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choice a marriage seriously. Reading it deeply, she encourages women to receive a higher education and to have a higher purpose in life than to marry. Astell contributed to the advance of the proto-feminism, not merely by refuting misogynist points at their time, but also by recognising the inferior situation of women and arguing for the elevation of their status. (Pusan National University / imbaessi@daum.net)

      • KCI등재

        코르셋을 입은 ‘집안의 천사’: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과 여성담론

        배혜정 ( Bae¸ Hye-jeong )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을 통해 당대 여성(성)을 상징하는 ‘집안의 천사’와 코르셋의 관련성을 찾는 것이다. 이 논쟁은 건강과 미학, 도덕과 섹슈얼리티, 전통과 개혁 등 여러 상반된 주장들이 얽히고설켜, 19세기 여성성과 여성 몸 담론의 복잡한 양상 및 지형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는 크게 볼 때 코르셋이 ‘여성 억압의 기제’라는 주장과 ‘해방의 의미’를 내포했다는 주장으로 대립되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양비론적 해석을 넘어 빅토리아 시기 주류의 여성 이데올로기 속에서 코르셋 논쟁을 재구성한다. 그 가운데 당대 여성성과 여성 몸 담론의 구성에 기여한 코르셋의 상충적인 역할을 밝히는 동시에, 그것이 ‘집안의 천사’라는 여성(성) 신화로 수렴되는 지점을 밝힌다. 수많은 공격에도 빅토리아 시기 코르셋 논쟁의 승자는 ‘코르셋’이었다. 코르셋의 승리는 한편으로는 미학적·도덕적·성적 측면에서 여성성과 여성 섹슈얼리티를 다채롭게 (재)구성하는 코르셋의 능력 때문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코르셋 비판의 논리가 왜곡되거나 허약했던 탓도 있다. 특히 코르셋의 폐기가 곧 여성해방의 길이라고 보았던 페미니스트 의복개혁론을 제외한다면, 건강론이든 도덕론이든 ‘반 코르셋 논의’의 상당수는 지배적인 여성 이데올로기 편에 서서, 도리어 주류의 여성성을 강화하는 코르셋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측면이 적지 않았다. 이에 지배적인 여성 섹슈얼리티 담론을 거스르는 코르셋의 전복성도 크게 약화되거나 주류 담론에 포섭되는 것 역시 불가피했다. 이렇게 빅토리아기 코르셋은 ‘집안의 천사’를 미덕에서뿐 아니라 ‘미모’에서까지 완성하는 힘을 발휘했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rrelation of corsetry and “the angel in the house” in the Victorian “corset controversy.” This controversy covered a number of conflicting arguments, showing the complexity of discourses on Victorian female body and sexuality. Previous researches were largely divided into claims that corsetry was the “instrument of oppression of women” and that it implied the sexual liberation. This paper revaluated the corset controversy, revealing the ambivalent role of corset in constructing Victorian femininity and female sexuality. Despite numerous attacks against corset made by doctors and feminists, the winner of the controversy was corsetry. On the one hand, the triumph of corsetry may have been due to its ability to reconstruct femininity and sexuality in aesthetic, moral and sexual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s of corset criticism were distorted or weak. In particular, excluding arguments of feminist dress reformers, many of the anti-corset arguments, whether health or moral, stood on the side of the dominant gender ideology, supporting the role of corset in strengthening an appropriate Victorian femininity. It was also inevitable that the subversive character of corsets against the dominant female sexuality discourse would be greatly weakened. In short, the Victorian corset displayed its ability to complete the beauty as well as the virtue of “the angel in the house.”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바지를 입다: 빅토리아기 합리주의 복식개혁운동

        배혜정(Bae, Hye-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7 No.-

        본 논문의 목적은 빅토리아기 합리주의 복식개혁운동 중에서도 가장 큰 논란과 반향을 일으킨 ‘여성바지 캠페인’을 당대의 맥락 속에 위치시켜 페미니즘 역사속에서 재평가하는 것이다. 그간 합리주의 복식개혁운동은 상반된 평가를 받아왔다. 한편에서는, 여성 예속의 상징인 코르셋을 폐기하고 바지 같은 실용적인 여성복을 대안으로 제시함으로써 당대 여성 패션의 문제, 나아가 여성 전반의 문제를 과감히 지적한 점에서 페미니즘 운동으로서의 가치를 상당히 인정받았다. 다른 한편에서는 순결과 정숙, 모성을 대의로 내세움으로써 여성성 및 여성 섹슈얼리티를 억압한 ‘반페미니즘 운동’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공히 복식개혁가들의 다면적인 지향성을 크게 구별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젠더와 계급 둘 다를 아우르는 맥락 속에서 복식개혁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미권에서 합리주의 복식개혁을 상징했던 블루머(bloomers)와 치마바지(divided skirts)를 중심으로 복식개혁 과정을 꼼꼼히 추적하는 한편, 이런 개혁의상에 대한 반응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페미니스트 복식개혁가들이 기반한 (도)덕성은 빅토리아기 중상류계급의 젠더규범이 투영된 결과인 동시에 운동의 원동력이기도 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주요한 공격 지점은 순결과 정숙을 강조한 도덕성이 아니라, 남성의 권력을 넘본다는 ‘비도덕성’이었다. 곧 ‘바지’에 담긴 강력한 젠더적 함의로 인해 ‘여성바지 캠페인’은 ‘페미니즘’과 ‘남성성’ 둘 다를 추구하는 것으로 비치며 신랄한 조롱과 공격을 받았다. 이런 연유로 유행패션 그 자체를 대체하려는 운동의 주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몸의 움직임을 극대화한 바지를 통해 여성의 자유 및 권리 향상을 시도한 점에서, ‘바지 캠페인’을 펼친 복식개혁가들은 남성의 권리, 곧 ‘인간의 권리’를 선구적으로 추구한 ‘빅토리아기 페미니스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valuate historically the dress reform movement for women’s trousers, which caused many controversies and responses in the Victorian era. While some historians argue that dress reform was a feminist movement for women’s rights advocates, others argue that dress reform used traditional gender norms to oppress women and was ‘anti-feminist movement.’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not only put aside differences among dress reformers, but also failed to properly evaluate the dress reform in the context of both gender and class. Therefore, this study traced the process of dress reform and closely analyzed backlash against it, centering on campaign for bloomers and divided skirts which symbolized rational dress reform in the British and American world. The morality which feminist dress reformers emphasized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movement as well as the gender norms of the Victorian middle and upper classes. They were censured not for ‘morality’ emphasizing purity and chastity of women, but for ‘immorality’ that tried to seize man’s power. The dress reform movement for women’s trousers was seen as pursuing both ‘feminism’ and ‘masculinity’. Although they failed to achieve their main goal to replace fashion itself, feminist dress reformers deserve to be deemed as ‘Victorian feminists’ who recognized trousers as means to improve women’s health, freedom, and rights and pursued the ‘men’s rights’ or ‘human rights’.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 한나 아렌트의 관점에서 본 정치의 중요성

        배혜정 ( Hea Jung Ba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0 No.-

        본 논문은 한나 아렌트를 통해 정치의 중요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치에 대한 불합리한 이해는 플라톤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영향을 받은 기독교는 정치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여 왔다. 하지만 정치는 인간 삶에서 뗄 수 없는 중요한 것이며, 정치의 영역에서 배제된다는 것은 자유를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적 영역에 배제된다는 것은 단순히 무관심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정치적 공간을 잃는다는 것은 자유를 잃는다는 의미를 함축한다. 따라서 인간다운 삶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동세계를 고려하며 공적영역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하나님은 말씀으로 세상을 창조하셨고, 말씀이 육신이 되어 오신 예수님은 행동으로 그 사랑을 보이셨다. 이러한 맥락에서 말과 행위를 수반하는 정치는 기독교인에게 가장 부합한다. 사적영역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공동세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공적영역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아렌트의 지적은 오늘날 기독교인에게 많은 가치를 던져주고 있다. In this paper, there is a purpose to trace the political importance through Hannah Arendt. Unreasonable understanding of politics began from Plato and Christianity which was influenced by him has been shown indifference attitude of the political. But politics is inseparable from human life and to be excluded in the realm of politics means to lose freedom. To be excluded in the public bond simply don`t end with just indifference and it`s the problem. Losing a political space implies to lose the freedom. Therefore, in order to build human life, we should consider the joint worl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ublic bond. God created the world as the Word Himself, Jesus who the Word became flesh has appeared love with action. In this vein, politics which accompanies words and action exactly accords with Christians. Today the point of Arendt that rather than concentrate only on the private realm, moving to the public realm with the interest in the public world has made a lot of value to Christians.

      • KCI등재

        집단적 기억 개념을 통한 동시대 한국 미술 사례 분석 - ‘만들어진 전통’의 전복과 비물질적 기념비 -

        배혜정 ( Bae Hyejeong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피에르 노라(Pierre Nora)는 『기억의 장소(Les Lieux de Memoire)』의 서두에서 “요즘 우리가 기억에 대해 그토록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기억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언급하며 망각에 저항하는 기억에의 요청을 주지하였다. 기억에의 요청은 세월호 사고 이후 상황들과 위안부와 관련된 논쟁 등 근래 한국 사회에서도 공명한다. 이는 기억이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에서는 집단적 기억 연구의 선구자라 할 수 있을 모리스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논의를 필두로 기억의 사회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알박스에 따르면 공동의 기억은 공동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나아가 근대 이후 위로부터의 정체성 만들기는 도구적 사용으로 ‘만들어진 전통’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에릭 홉스봄(Eric Hobsba um)의 ‘만들어진 전통’ 논의를 통해 전반부에서는 최정화(1961-)와 함경아(1966-) 작가의 몇몇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이들 작가들은 위로부터의 기억 만들기를 통찰하고 이에 대하여 전복을 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후반부는 기념비라는 집단적 기억의 표상 형식을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역사와 함께해 온 기념비 문화는 20세기 초반 사회·역사적 상황과 예술에서의 재현의 문제로 인하여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기억에의 요청은 이러저러한 사회적·자연적 재난의 현장에서 여전히 공명한다. 정연두(1969-)와 백현주(1983-) 작가는 각각 동일본 해일과 세월호 사고를 작품 속에서 다루었다. 이러한 트라우마의 기억은 이들 작업의 기념비적 성격을 통하여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성찰로 나아가는 것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작가의 작업을 ‘비물질적 기념비’로 정의하고 비경험자의 트라우마와 성찰을 고찰한 도미닉 라카프라의 역사적 트라우마 논의를 통해 이 과정을 살펴보았다. Pierre Nora notes in Realms of Memory that “we speak so much of memory because there is so little of it left.” Such a request for memory is also raised in Korean society, apropo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debates of Japanese sex slaves in Korea. For this reason, memory is an issue not at an individual level but at a social one. I want to demostrate a few art works of Korea contemporary art related collective memory and trauma of community. It begins with a discussion raised by Maurice Halbwachs, a progenitor of researching collective memory. He argues that collective memory is essential to maintaining a community’s identity. Also, according to Eric Hobsbaum, since modern times, forging identity from above has had instrumental use as ‘Invention of tradition.’ The artists to be reviewed in the first half of this thesis in regards to this discussion by Hobsbaum are Choi Jeonghwa(1961-) and Ham Kyungah(1966-). These artists seem to have insight into making memory from above and intend to overturn it.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starts from a consideration of ‘monuments’ as a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memory. Monuments has taken on a different form due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early 20thcentury and the problem of representation in art. However, our request for memory echoes at the scenes of diverse social and natural disasters. Jung Yoendoo(1969-) and Heaven Baek(1983-) re-spectively dealt with the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and the Sewol ferry disaster. I want to review the monumental trait of their works as a overcoming the social trauma related such disasters. This process will be reviewed through discussionson ‘historical trauma’ and ‘working through’ by Dminick LaCapra who provides a broad-ranging inquiry into the problem of trauma.

      • KCI등재

        근대 초 영국의 여성 몸 담론 - 월경을 중심으로 -

        배혜정 ( Bae Hyejeong ) 영국사학회 2017 영국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초 영국 여성의 몸에 대한 태도, 특히 월경에 대한 주요 담론들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평범한 생리 현상이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탐구한다. 근대 초 영국에서 월경에 대한 종교와 민간전승, 의학 담론은 각 분야의 특성에 맞게 월경을 정의하면서 대체로 부정적인 태도를 공유했다. 이는 담론 생산자들이 거의 전부 남성인 탓일 수도, 아직은 여성 생리학에 대한 이해가 ‘덜’ 과학적인 탓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여성 몸을 상징하는 월경이, 다름 아닌 여성의 지위를 고스란히 반영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종교와 민간전승, 의학 담론은 월경(혈)을 각각 저주, 마법적 힘, 몸의 찌꺼기로 규정하고 이런 해석을 통해 여성을 둘러싼 기존 통념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근대 초 여성은 이런 주류 담론에 짓눌리면서도 서로 월경 경험을 공유하며 여성만의 시각을 일정정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월경이 질병이 아니라 자연스런 생리 과정임을 인식했고, 월경을 임신 가능성으로 여겨 긍정적으로 수용하기도 했다. 결국, 근대 초 월경에 대한 여러 태도는 월경에 대한 인식 변화가 여성 생리학의 진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시사해준다. 곧 여성의 지위 그 자체의 변화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iscourses on the female body, focusing on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in early modern England. I traced how the ordinary physiological phenomenon was structured culturally and historically and how woman women in this period experienced menstruation. Religious views, medical explanations, and popular beliefs shared a generally negative attitude towards menstruation, though there were conflicting views also existed. They described menstruation as ‘a god’s curse’, ‘a magical power’, and ‘the impurities in the female body,’ respectively. This was because beliefs about the inferiority of women shaped ideas about menstruation, and beliefs about menstruation helped to reinforce the idea that women were inferior. After all, the fact that negative view of the menstruation, such as a taboo of silence, has not disappeared to this day demonstrates that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with the status and awareness of women. However, while accepting men’s negative attitudes towards menstruation, women seem to have had their own views on menstruation to the extent that they share menstrual experiences with one another in early modern England. They were aware that menstruation was not a disease but a natural physiological process, and they accepted menstruation positively as the high possibility of fertility. They also used the taboo for menstruation as an opportunity to have their own time and space, and reversely used the menstrual stimulant as needed. In conclusion, variou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in early modern England suggest that changes in understanding of menstruation was not solely due to development of female physiology.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not only women’s own efforts but also changes in women’s status must be accompanied to this process.

      • KCI등재

        현대 미술의 비인간-되기와 정동 연구 : 홍이현숙의 근작을 중심으로

        배혜정(Bae Hye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본 논문은 한국의 중견 작가 홍이현숙의 근작에서 보이는 비인간에 관한 주목을 정동 개념과 매체이론을 통해 분석한다. 1980년대 이래 활발하게 활동하며 타자와의 연대를 사유해 온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고래에서 고양이, 바위에 이르는 비인간을 사유하고 청각, 촉각과 같은 다중의 감각으로 번역해낸다. 이러한 비인간과의 관계 맺기의 경험은 심해의 고래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기능성 녹음기, 고사양의 스피커의 힘을 빌리는 것이자 실시간 CCTV와 같은 통신 도구를 매개로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의 매개가 비인간-되기의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측면은 레비 브라이언트의 기계지향존재론을 경유하였다. 또한 작품이 제공하는 경험이 정동의 수준에서 우리의 신체에 체현된다는 점에서 브라이언 마수미를 중심으로 그 경험의 성격을 정동 개념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홍이현숙의 작품에서의 경험이 우리의 삶의 선택에 있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힘이 되리라는 점에서 마수미와 제인 베넷의 정동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통해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resent works of Korean artist Hong Lee Hyunsook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and media theory. Since her first exhibition in 1988, the artist has used a variety of media, such as installation, moving image and performance to discuss the free and independent subject that resists patriarchal Korean society and perspectives. In resent works, sh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nonhuman by using sense of acoustic and tactile. Moreover, in Ejght Lightvessels and Each One’s Own Ieodo, media allow audiences to relate with nonhuman. I explore this aspect through Levi Bryant’s Machine-oriented Ontology. Also,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s addressed through the concept of affect, focusing on Brian Masumi, in that the experience provided by works is embodied in our body at the level of affect. At last I analyse the affective experience in Hong Lee Hyunsook’s resent works through Massumi and Jane Bennett’s perspectives related political aspect of a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