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의 관점에서 본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의 실태 및 지원에 대한 요구

        배정혜,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of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support needs for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s for the results, most teachers implemented parenting education and they mainly used a counseling method. In addition, most teach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 and they moderately reflected family needs. Also, they mentioned a lack of teacher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raining opportunities as obstacles for implementing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Furthermore, they expressed the highest demand for parenting education and counseling, especially counseling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needs. Finally, the study mad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유치부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와 유아특수교사가 필요로 하는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지원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수학교 유치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학교 유치부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와 가족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유치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부모교육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상담 방법을 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다수의 교사들은 가족지원 서비스의 내용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가족의 요구를 충분하지는 않으나 적절한 정도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들은 자신들의 지식과 이해가 부족하고 연수의 기회 또한 부족하여 가족지원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들은 부모교육 및 상담에 대한 지원 요구를 가장 많이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정서 및 심리 상담에 관련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에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다문화 인식의 매개효과

        배정혜,권민균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multicultural experiences,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al resour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of 418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es, structural analyses, and Sobel 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awareness. However, environmental resour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idn't have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wareness but had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directly aff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Second,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mediat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demonstrating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is directly influenced by multicul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 다문화교육 환경자원, 다문화 인식, 다문화교육 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이 다문화 인식을 매개로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은 다문화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은 다문화 인식을 통해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이 다문화 인식을 매개로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있어서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내용지식을 매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다문화교육 효능감은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한 데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정혜,최연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경기도 D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 K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이다. 연구도구는 장영애(1981)가 만 4~6세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능력 검사도구 가운데 언어표현능력 부분만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명화감상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의적 표현 부분에서는 연관성이 없음이 나타났다. In this paper,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s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he meaningful results regradi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such as number of words, number of sentences, consistency of contents and connectivity of language expressions were found.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동을 통한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의사소통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배정혜 ( Bae Jeong Hye ),이효신 ( Lee Hyo Sin ),김건희 ( Kim Keon Hee ),황미화 ( Hwang Mi Hw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 하나인 ‘페이스북’을 활용한 활동을 통하여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D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 적절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중등부 2학년 발달장애 학생 2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활동은 총 16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정보 게시와 선호하는 사진에 대해 타인과 공유, 타인과 대화 나누기와 같은 활동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연구 대상자들이 의사소통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기본으로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SNS 활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A-B설계를 사용하였고, 의사소통행동에 대한 질적 분석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SNS 활동은 발달장애학생의 적절한 대답하기 행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 두 번째, SNS 활동은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관심보이기 행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 세 번째, SNS 활동은 발달장애학생의 자발적 공유하기 행동 증가와 관련이 있다. 네 번째, SNS 활동을 통해 나타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은 즐거운 기억 공유하기, 관심보이기, 다가가기, 애정표현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how the communicat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ffected by the activities such as posting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sharing photos they like, and having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using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ocial network service (SNS), Facebook.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of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D’ special education school in ‘D’ city who have difficulties in proper communication and have ability to use computers.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is study was done in 16 steps. The activities included posting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sharing photos they like, and having conversation with others, and they were done in order to encourage the target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others. AB design was used to determine how the SNS activities affect the spontaneity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bt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NS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appropriate answer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SNS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spontaneity of showing interes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SNS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spontaneity of sharing memory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구조모형분석

        배정혜 ( Jung Hye Bae ),권민균 ( Myn Gyun Kw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나아가 그것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과 관련된 변인으로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그리고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을 도출하고 이들과 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대구·경북의 유아교육기관 48곳의 유아교사 294명이었다. 설문결과를 SPSS 18.0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분석, 제안모형 분석을 단계적으로 실시한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모형은 모형적합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설정한 변인들 중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는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환경자원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in relatio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effect of the variabl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This study proposed 4 factors to predi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which were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life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sponding to the 81 survey items were 294 early childhood educators from Yeongnam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8.0 to carry ou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SEM,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appropriate, in whic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life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