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정혜,최연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경기도 D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 K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이다. 연구도구는 장영애(1981)가 만 4~6세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능력 검사도구 가운데 언어표현능력 부분만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명화감상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창의적 표현 부분에서는 연관성이 없음이 나타났다. In this paper,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s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The meaningful results regradi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such as number of words, number of sentences, consistency of contents and connectivity of language expressions were found.

      • KCI등재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의 관점에서 본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의 실태 및 지원에 대한 요구

        배정혜,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of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support needs for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s for the results, most teachers implemented parenting education and they mainly used a counseling method. In addition, most teach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 and they moderately reflected family needs. Also, they mentioned a lack of teacher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raining opportunities as obstacles for implementing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Furthermore, they expressed the highest demand for parenting education and counseling, especially counseling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needs. Finally, the study mad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유치부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와 유아특수교사가 필요로 하는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지원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수학교 유치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학교 유치부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와 가족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유치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부모교육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상담 방법을 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다수의 교사들은 가족지원 서비스의 내용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가족의 요구를 충분하지는 않으나 적절한 정도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들은 자신들의 지식과 이해가 부족하고 연수의 기회 또한 부족하여 가족지원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들은 부모교육 및 상담에 대한 지원 요구를 가장 많이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정서 및 심리 상담에 관련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에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다문화 인식의 매개효과

        배정혜,권민균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multicultural experiences,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al resour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of 418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es, structural analyses, and Sobel 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awareness. However, environmental resour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idn't have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wareness but had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directly aff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Second,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mediat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demonstrating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content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is directly influenced by multicul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 다문화교육 환경자원, 다문화 인식, 다문화교육 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이 다문화 인식을 매개로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은 다문화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은 다문화 인식을 통해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경험, 다문화교육 내용지식이 다문화 인식을 매개로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있어서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내용지식을 매개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다문화교육 효능감은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한 데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구조모형분석

        배정혜 ( Jung Hye Bae ),권민균 ( Myn Gyun Kw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나아가 그것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과 관련된 변인으로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그리고 다문화교육 환경자원을 도출하고 이들과 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대구·경북의 유아교육기관 48곳의 유아교사 294명이었다. 설문결과를 SPSS 18.0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분석, 제안모형 분석을 단계적으로 실시한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모형은 모형적합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설정한 변인들 중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는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교육 환경자원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in relation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was to analyze the magnitude effect of the variable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This study proposed 4 factors to predi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which were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life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perception,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sponding to the 81 survey items were 294 early childhood educators from Yeongnam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8.0 to carry ou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SEM, the fitness of the model was appropriate, in whic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life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관 비교 연구

        배정혜(Bae Junh-hye),정석환(Chung Seok-hwa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본 연구는 현대 유아교육 사조의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포스트모더니즘이 한국과 미국에 수용된 절차와 특징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실제에 유용한 사상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사적 흐름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미국 유아교육에 끼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이자 논의의 준거이다. 둘째,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수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유아교육사상에 끼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 유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과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의 수용이 비록 개념적으로 동일한 맥락이지만,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이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보다 더욱 체계인 수용과 적용을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의 유아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원리를 잘 적용시켜 다양한 유아의 개별적 상황과 인종 간의 차이, 성별에 의한 차이 등을 배려하고 인정하는 하나의 교육사상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 연구들은 미국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개념과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유아교육 사상 연구는 혁명적 방향의 전환이 요구된다. 후속 하는 연구에서 한국 유아교육의 상황을 엄격하게 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적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nd to seek for the mean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its results. First of a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post-modernism and the ide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the US. Second of a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post-modernism and the ide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outh Korea. Finally, compare the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came out as follows: a denial of meta-narrative was one of the things that South Korea and the US had in common on the recognition of the postmodernism. Consequently, it denies common purpose as well as the temperament of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meric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at the post-modernism led pract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ertain directions but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problems in practical appli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accommodate American way of applying post-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ology as a new obj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