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폭력예방교육의 효과성 증진방안 연구: 남성참여자를 중심으

        이미정,장미혜,김영택,동제연,홍연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폭력예방교육이 급속히 확대되었지만, 남성 인식 변화에 대한 초점을 맞춘 교육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음. 여성폭력 가해자가 대다수가 남성이고 사회화를 통해 형성된 폭력적 남성상에 대한 남성 주도적 성찰이 요구됨에 따라 폭력예방교육을 통한 남성 인식 개선 및 교육 효과성을 증진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함. 폭력예방교육은 남성 중심적 왜곡된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변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이기에, 이와 관련된 남성의 인식과 수용도를 점검하고 효과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폭력예방교육과 관련된 남성의 교육 경험과, 섹슈얼리티 및 성폭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음. 이를 위해 공공기관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와 수강자 남성 대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함. 이에 추가하여 예방교육 강사 대상의 심층면접을 통해 남성 수강자 태도와 수용도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음. 수집된 자료 분석을 통해서 남성 수강자의 교육 효과성과 관련된 문제의 지점을 확인하고 관련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음.

      • KCI등재

        페미니즘 관점에서‘알라딘’실사영화 내 쟈스민 의상 연구

        배성현 ( Sung Hyun Bae ),김미현 ( Mi-hy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디즈니의 동화원작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 ‘알라딘’은 주인공이 남자인 알라딘임에도 불구하고 극중 쟈스민 공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화려한 의상과 함께 이슈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 관점에서 알라딘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을 영화의상을 통해 살펴본 것으로 실사화 영화에 표현되어지는 여성상의 시각적 표현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사례분석 연구를 병행한다. 먼저 이론적 연구를 위해 페미니즘 관점에서 영화의상과 관련된 전문서적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용어를 재정의 하고 영화의상의 특성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실사화 영화인 ‘알라딘’의 쟈스민 공주 영화의상을 대상으로 극중 스토리의 흐름에 따라 강조된 총 9벌을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 이론의 개념과 특성에 따른 관점은 본 연구대상인 영화 알라딘의 쟈스민의 캐릭터 특성과 영화의상 분석 방법론으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사화 영화 알라딘에서 쟈스민의 영화의상 사례들은 극중 스토리와 인물 캐릭터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알라딘에서 쟈스민 공주의 의상은 페미니즘 관점에서 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주의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자유주의 페미니즘 특성은 가부장제와 남녀평등에 대한 쟈스민의 현실 대항으로 극중 스토리 전개와 함께 영화의상에서 현대적 팬츠와 장식성이 배제된 실용성과 기능성이 강조된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알라딘에서 쟈스민이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구체화 시키는 극중 내용을 강조하며 영화의상에서는 여성성을 강조하는 노출과 인체 과장으로 당당히 여자임을 표출하였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에서는 공주의 신분 넘어서 백성을 공감하고 성의 양면성을 수용하는 극중 캐릭터를 의상을 통해 나타냈다. Background Disney's animated live-action film "Aladdin" became an issue with colorful costumes as Princess Jasmine's role in the play was emphasized, even though the main character was Aladdin, the male character. In this stud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we looked at the women's images in Aladdin films through film costum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visual expression of women's images in real-life movies. Methods This work combines theoretical and case analysis studies. First, for theoretical research, we redefine terms based on professional books and prior research related to film costum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ilm costume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addition, a total of nine sets were analyzed for the Jasmine Princess Film Awards of Aladdin, an animated real-life film,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y.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pectives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eminism theory have been shown to be appropriate as a methodology for character character characteristics and film costume analysis of the film Aladdin's Jasmine. Second, in the live-action film Aladdin, Jasmine's film costume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and character in the play. Third, in Aladdin, Princess Jasmine's costume wa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feminism, radical feminism, and postmodern feminism in terms of feminism. Conclusion Liberal feminism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in a design that emphasized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that excluded modern pants and decorations in film costumes, along with Jasmine's story development against patriarchy and gender equality. Radical feminism emphasized the process of Jasmine's self-visiting in Aladdin, and proudly expressed her as a woman with exposure and human exaggeration emphasizing femininity. In postmodern feminism, the characters in the drama, which sympathizes with the people beyond the status of a princess and embraces the two sides of the sex, were displayed through costumes.

      • 직무특성요인과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裵聖鉉(Seung-Hyun Bae)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1 영상저널 Vol.9 No.-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맡고 있는 담당직무의 특성에 따라 동기부여 및 조직의 성과나 조직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하는 Hackman과 Oldham의 직무특성 이론을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다. 지금까지 직무특성이론은 다양한 조직과 직종을 대상으로 검증되었고 이론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 직무의 핵심특성인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등은 직무의 동기부여 정도를 나타내주는 직무몰입에는 모든 요인이 중요하였고 비교적 높은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 가운데서도 자율성, 피드백은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러나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태도라고 할 수 있는 조직몰입에는 직무특성요인 5가지 중 담당직무의 의미를 결정해주는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등은 상대적 비중에서 유의한 설명변수가 되지 못했다. 조직헌신, 몰입, 애착에는 성장욕구강도, 자율성, 피드백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고, 모든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근무년수도 유의한 변수이었다. 직무특성요인 중 자율성과 피드백은 직무몰입, 조직몰입 모두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는 곧 교사직종의 경우에도 임파워먼트를 가질 수 있는 직무설계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직무특성요인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직무특성요인 5가지 차원 모두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했다. 이같은 결과는 직무설계의 방향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변화 탐색

        배성현(Bae, Sung Hyun),이병인(Lee, Byoung I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가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교사의 협력태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장애아통합어린이집 통합반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 6명의 참여 결정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집된 문서 및 면담자료를 직접 분석한 결과, 업무 협력에서는 교사들의 업무 구조에 대한 갈등 및 업무 공유에 대한 문제점과 부담감 공존 등에 기인한 대화와 상호작용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가 교사 간 정보 공유와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관계로 변화하였다. 정서적 상호지원에서는 교사 간 관계의 불안함과 통합 상황의 고립감에서 오는 심리적 부담감에서 벗어나 정서적 지지를 통한 서로에 대한 어려움 이해와 공감의 교류 형성으로 변화하였다. 팀 학습행동 기반의 협력적 교사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들의 자발적인 변화를 위한 ‘대화’를 가능하게 돕는 교사 간 협력태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아 보육교사의 협력태도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teachers for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3 regular & 3 special childcare teachers at a childcare center, working in S city, Gyeonggi-do. For this study, documents and interview sheets were collected. In qualitative change process of work collaboration, passive attitudes due to conflict work structure, work sharing problems and burden changed into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ey communicated opinions through information sharing and dynamic interaction. In qualitative change process of emotional mutual support, emotional burden due to sense of isolation changed into understanding of others" difficulties and formation consensus-making through emotional support. This study was confirmed the change for voluntary change of the teachers and conversations through collaborative teacher support programs based on team learning behavior. Further, these results will be used as based on other study for the collaborative attitude improvement of regular & special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과 다차원적 신뢰 및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배성현(Bae Seung Hyun),채순화(Chae Sun Hwa) 한국산업경영학회 2004 경영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다차원신뢰 및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기존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신뢰,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등의 관계는 개별적으로 연구된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를 통합연구 하였다. 특히 신뢰와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최근의 연구성과를 도입하여 다차원적 신뢰와 다중조직몰입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은 모든 유형의 신뢰에 높은 정의 관계가 있었다. 변혁적 리더십 요인 중 지적자극은 모든 유형의 신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모든 신뢰 유형과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도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에서 보면 신뢰는 어떠한 조직몰입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중 조직몰입 즉 감정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모두에 계산적 신뢰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 이었다. 이 결과는 계산적 신뢰는 수준과 밀도가 낮은 신뢰이기 때문에 이러한 신뢰가 모든 조직몰입에 기초가 된다는 것은 조직 신뢰의 기초가 매우 취약할 수 있는 결과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 조직의 신뢰형성의 취약성 때문인지 표본의 특성이 반영된 것인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 중에서 특히 지적자극은 모든 유형의 조직몰입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따라서 리더의 역할 중 지적자극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변혁적 리더인 경우 감정적 몰입 형성에는 신뢰의 매개역할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규범적 몰입 형성에는 모든 신뢰가 반드시 개재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fferent forms of trust, and three-component commitment. Extant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u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parate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cepts. In particular,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recent research findings with regard to different forms of trust and three-component commitment instead of relying on past research concerning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ubordinate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with all types of trust.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ll types of trust. All types of trust exhibit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ree-component commitment. The results imply that trust has affirmativ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alculus-based trust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e.,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Since calculus-based trust represents lower level and density, the research finding that this trust constitutes the base of all kind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have been induced as a result of the weakness of the base of organizational trust. The results call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weakness in organizational trust formation and on the effect of sampl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findings.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all typ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was less notice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ffective commitment formation. However, all types of trust exhibited important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normative commitment formation.

      • 한국 정보 과목과 국제 바칼로레아 CS 교육과정 분석 및 발전 교육 모델 제시

        배성현(Sung-Hyeon Bae),박현욱(Hyun-Wook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1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는 2019년을 기준으로 354개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2025년에 전국에 있는 고등학교로 적용될 예정이다. 세계 각국에서는 고교 학점제의 모델인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을 채택하여 전 세계 146개국 3700여 개 학교에서 100만명 이상의 학생들이 이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정보교과와 IBDP(만 16~18세의 고등학생)교육과정에서 CS과목의 비교를 통해 두 교육과정 사이의 차이점을 확인하여 더 발전된 교육모델의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산업용 상지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정성적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 연구

        배성현(Sung Hyun Bae),신종규(Jong Gyu Shin),허인석(In Seok Huh),김상호(Sang Ho Kim) 대한인간공학회 202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9 No.2

        Objectiv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and qualitative criteria for assessing the usability of wearable robots in industrial use. Background: Wearable robot technology is a state-of-the-art application of humanrobot interaction (HRI) but research on its usabilit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s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for the wearable robot industry to establish safety standards and us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deploying the technology on a commercial scale. Method: Sets of user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from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with analogous products including walking aids, assistive and wearable devices. Qualitative assessment criteria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user requirements classified by usability components and the structure of wearable robots. Results: The usability of wearable robots needs to be evaluated by 6 components: wearability, effectiveness, learnability, efficiency, utility, and safety. Qualitative assessment criteria consisted of 38 questionnaire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requirements that belong to each component. Conclusion: The 6 components with 38 assessment criteria would be utilized as the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assessment standard. Application The assessment criteria provide ideas and checklists for designing wearable robots with good usability.

      • KCI등재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연구 동향분석: 국내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배성현(Bae, Sung hyun),이병인(Lee, Byoung i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장애유아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고 선정하여 연구 기준에 적합한 총 2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발표학술지 등의 발표 연도 및 발표학술지, 연구비 지원별 동향,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유형, 결론 및 제언 등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논문은 2002년부터 꾸준히 게재되었으나, 학술지 분야가 협소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수행은 단독연구와 공동연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졌으나 연구비는 대부분 비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관리자와 치료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IEP 지원팀 인식 및 참여, IEP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내용분석이 비슷한 수준으로 수행되었다. 결론 및 제언 부분에서는 교육진단과 IEP 운영, IEP 질적 평가, 협력적 교사교육 등의 다양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및 유아특수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발달적 특성을 보이는 장애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8 papers suitable for research standards were selected by searching and selecti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2 to 2021. The final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for the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research funding support,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typ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e IEP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ve been published continuously since 2002, but the field of academic journals tends to be short. The research performance was carried out at a similar level between the independent research and the joint research, but most of the research funds were carried out without suppor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nducted for teachers and parents, and it was found that studies on managers and therapists were insufficient. As for research topic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IEP support team, and the status of the IEP implementation. In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 various contents such as education assessment, the IEP implementation, the IEP qualitative evaluation, and collaborative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rough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development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show variou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