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조 House의 차광조건과 버어리종 담배건조

        裵成國,秋洪求,林海建,柳點鎬,韓喆洙 韓國作物學會 1983 한국작물학회지 Vol.28 No.2

        차관율을 달리하여 Burley 21을 공시하고 급건엽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는 차광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상대온도는 떨어졌다. 2. 줄말림시 엽면에서 받는 광량은 10%미만으로 그 양이 적었다. 3. 건조경과는 차광량이 적을수록 빨랐으며, 급건엽도 더 발생하였다. 4. 품질은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리성 및 연소성은 차광량이 적은 처리에서 떨어졌다. 이와 같이 차광효과는 실제 엽면에 수광량이 적어서 주로 온습도의 영향으로 보며 충분한 환기로 급건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effects of shading - 90, 70, 50, 30, 10% on curing burley tobacco was investigated in pipe vinyl houses. The curing in sunlight under transparent material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emperature and a decrease in relative humidity. But amount of light on tobacco leaves were less than 10% sun light in all treatments. Shading was delayed curing period, but cured leaves under transparent shading materials were off color and brittle. Filling power and combustibility were deteriorated as decreased shading. But quality of cured leaves were non significant between treatments. Effects of shading were believed that resulted in a decrease in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relative humidity than light.

      • 레이저 3D 프린팅으로 제조한 Ti-6Al-4V 소재의 레이저 피닝 효과

        배성국,여인규,A. Amanov,정성호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5

        3D 프린팅 방법 중 하나인 LPBF (Laser Powder Bed Fusion)로 제조된 Ti-6Al-4V는 α-마르텐 사이트 단계에 기인하는 높은 취성과 열악한 인성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열처리는 LPBF를 통한 Ti-6Al-4V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종 사용되지만,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레이저 쇼크 피닝 (LSP)은 강화된 표면 특성과 향상된 인성을 적용하고자 열처리된 Ti-6Al-4V에 적용한다. 열처리 후의 Ti-6Al-4V는 충격 인성(Impact toughness)이 150%까지 향상될 수 있으며, 표면 경도,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저하된다. 열처리된 Ti-6Al-4V에 레이저 피닝을 적용하면 충격 인성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그림 1과 같이 표면 경도와 내마모성은 열처리 이전의 92%로 거의 회복된다. 또한 레이저 피닝 후의 샘플이 열처리된 샘플에 비해 부식률이 약 64%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레이저 피닝과 열처리를 결합한 LPBF로 제조된 Ti-6Al-4V은 높은 충격 인성과 향상된 표면 특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버어리종 담배건조시 급건엽 발생방지에 관한 연구 1 : 온습도의 영향

        裵成國,林海建,秋洪求 韓國作物學會 198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1 No.4

        Br, 21을 공시하여 급건엽이 발생하는 환경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습도를 시험 I과 II로 구분하여 시험 I은 주간의 온습도를 달리하고 야간은 휴건하였으며, 시험 II는 황변 이후에 주야간 동일한 온습도를 건조상 내에서 각기 달리 조사하여 처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급건엽발생은 고온 저습에 의해 과도한 탈수로 발생되었다. 2. 야간은 휴건하고 주간은 습도 75~80%일 때35℃ 이하에서는 급건엽이 거의 기생되지 않았다. 3. 주야간 온습도가 일정할 경우 30℃ 는 75~80%, 35℃ 는 80~85%, 40℃ 는 85~90%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습도를 더 높여야 급건엽이 발생되지 않았다. 4. 급건엽발생이 많을 수록 물리성이 불량하였고, 내용성분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excessive drying rate of burley tobacco. In experiment I, 4 temperatures and I humidity by day and air curing by night were treated from initial curing stage. In experiment II, 15 combinations of 3 temperatures and 5 humidities were applied from the yellow stage of cure. Yellowish cured leaves resulted from overdrying at high temperature and especially, at low humidity. How- ever, these were not produced at 75-80% RH and under 35~circC by day with air curing b y night. The proper r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desirable color of cured leaf were the combinations of 30~circC , 75-80% RH or 35~circC , 80-85% RH. As excessive drying leaves increased, physical properties of cured leaves were poorer and chemical contents were less decomposed.

      • KCI등재

        버어리종 담배건조시 급건엽 발생방지에 관한 연구 I. 온습도의 영향

        배성국,임해건,추홍구 한국작물학회 1986 한국작물학회지 Vol.31 No.4

        Br, 21을 공시하여 급건엽이 발생하는 환경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습도를 시험 I과 II로 구분하여 시험 I은 주간의 온습도를 달리하고 야간은 휴건하였으며, 시험 II는 황변 이후에 주야간 동일한 온습도를 건조상 내에서 각기 달리 조사하여 처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급건엽발생은 고온 저습에 의해 과도한 탈수로 발생되었다. 2. 야간은 휴건하고 주간은 습도 75~80%일 때35$^{\circ}C$ 이하에서는 급건엽이 거의 기생되지 않았다. 3. 주야간 온습도가 일정할 경우 3$0^{\circ}C$는 75~80%, 35$^{\circ}C$는 80~85%, 4$0^{\circ}C$는 85~90%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습도를 더 높여야 급건엽이 발생되지 않았다. 4. 급건엽발생이 많을 수록 물리성이 불량하였고, 내용성분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excessive drying rate of burley tobacco. In experiment I, 4 temperatures and I humidity by day and air curing by night were treated from initial curing stage. In experiment II, 15 combinations of 3 temperatures and 5 humidities were applied from the yellow stage of cure. Yellowish cured leaves resulted from overdrying at high temperature and especially, at low humidity. How- ever, these were not produced at 75-80% RH and under 35$^{\circ}C$ by day with air curing b y night. The proper r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desirable color of cured leaf were the combinations of 30$^{\circ}C$, 75-80% RH or 35$^{\circ}C$, 80-85% RH. As excessive drying leaves increased, physical properties of cured leaves were poorer and chemical contents were less decomposed.

      • KCI등재

        광조건이 인삼과 잎담배의 광저해에 미치는 영향

        裵成國,許益,石井龍一,玖村敦彦 韓國作物學會 198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0 No.2

        이식후 생육초기의 잎담배 (품종 :Bulgaria)와 3연근 인삼을 공시하여 광강도를 580, 1,280, 1,770, 2,580 u E/m2 /sec로 각각 3,6,9시간을 엽온 22℃ 의 조건에서 처리한 후 CO2 농도 320ppm에서 광일광합성속도를 조사하였다. 1. 처리전 인삼의 광포화점은 어느 온도 조건에서나 공히 550u E/m2 /sec 정도였고, 광합성속도는 20℃ 에서 7.2, 35℃ 에서 5.2mg.CO2 /dm2 /hr이었다. 잎담배는 광포화점이 25℃ 에서 1,600u E/m2 /sec에서 나타났고, 광합성속도는 25℃ 에서 14.3, 15℃ 에서는 10.3mg.CO2 /dm2 /hr이었다. 2. 잎담배는 어느 처리에서나 광저해가 일어나지 않았다. 3. 인삼은 3시간 처리에서는 2,580u E/m2 /sec의 광도에서만 광합성속도가 11.4% 저하되었고, 9시간 처리에서는 1,270u E/m2 /sec 광도에서 8.5%, 1,770u E/m2 /sec에서 9.5%, 2,580u E/m2 /sec에서 20.3%로 각각 저하되어 광강도가 크고 조사기간이 길수록 광저해가 컸다. 4. 인삼에서 기공저항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엽육저항은 광저해를 받은 처리에서 크게 나타냈고. 담배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hotoinhibition studies were conducted with ginseng (Panax ginseng) grown under shade and tobacco (N. tobaccum cv. Bulgaria) grown under full sunlight. The plants were exposed to light intensity of 580, 1280, 1770, 2580 ~mu E/㎡/sec in normal air for 3.6 9 hours. Light saturation of ginseng was observed at 550 ~mu E/㎡/sec and that of tobacco was at 1600 ~mu E/㎡/sec. Tobacco exposed to high light intensity and long duration of light irradiation didn't show entire reduction in photosynthetic capacity. But in ginseng, 20.3% of photosynthesis was reduced in light intensity of 2,580 ~mu E/㎡/sec during 9 hours. Light response in photosynthesis differed considerably between tobacco and ginseng, and ginseng exposed to high light intensity showed remarkable reduction in photosynthesis. The extent of photoinhibition of ginseng was dependent on the length of exposure to the high light intensity. Stomatal resistance of ginseng seemed not to be changed by photoinhibition but mesophyll resistance was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