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の史的研究の現状と展望

        朴孝庚(박효경)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본 연구는 2017년에서 2018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일본어사 관련 연구논문 108편에 대해 개괄하고 그 경향을 고찰한 것이다. 일본어사 관련 논문을 문자표기, 음운, 어휘, 문법, 기타(번역, 서지학적 연구)의 5분야로 나누어 시대순으로 개괄하였다. 전체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연구 대상이 일본어와 관련된 외국자료, 다언어자료(多言語資料-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등이 한 텍스트 안에 같이 사용됨)를 토대로 이루어진 것들이 현저하게 많다. (2)일본어의 역사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경우는 중세에서 근세로, 혹은 근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시기에 집중하고 있다. (3) 근대의 자료는 동아시아의 어휘교류, 번역, 식민지 교육 등 다분야에 걸쳐 연구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적인 경향으로는 언어의 역사적인 연구이기 때문에 서지학적인 방법론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일본어 연구의 방법론을 채택한 논문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연구 대상은 한국어와의 교류 뿐만 아니라, 중국, 베트남 등 한자문화권의 언어교류와 영향관계 등을 다루는 것으로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제화, 다각화를 통한 일본어사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outlines and examines the trend observed in 115 Japanese history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7 to 2018. The papers on Japanese history were compiled in chronological order by dividing them into five categories: characterization, phoneme, vocabulary, grammar, and others (translation and bibliographic research). The overall featur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based on foreign materials related to Japanese and multilingual materials used in combination with Japanese, Chinese, Korean and English. (2) The papers focusing on the history of Japanese are concentrated in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early Modern, or from the early Modern to the recent times. (3) Modern data are studied in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vocabulary exchanges, translations and colonial education in East Asia, and is expected that this trend continues to increase. As an overall trend, since it is the historical study of language, many papers have adopted the methodology of traditional Japanese study that is based on the bibliographic methodology.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expanding to deal with the language exchange and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s such as China and Vietnam. It is expected that history researches of Japanese language will further be active through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 KCI등재

        江戸共通語の可能性の模索

        朴孝庚(박효경)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3

        본 연구는 최근 일본 근대어의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에도시대의 공통어”의 실태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心?道話심학도화 『鳩翁道話』는 에도 시대 후기(1835년)에 간행된 도화의 필기록으로 일본 전국으로 유통되었다고 한다. 구어로 쓴 서적이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는 것은 에도 시대에 전국적으로 통하는 구어의 공통어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鳩翁道話』는 구어의 필기로서 지문과 회화문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구어의 지문과 회화문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이다.(메이지 시대 전기까지 지문을 문어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구어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문말표현을 추출하여 지문과 회화문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각을 명사문/ 동사문/ 형용사문 및 그 외의 표현으로 나누고, 또한 상체/ 경체, 혹은 단정표현/ 추량표현 등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전체적으로 지문과 회화문에 사용된 표현은, 경체는 명사문 “でござります?”와 동사문 “ます?”, 상체는 명사문 “じゃ/でござる?”가 많았다는 것, 형용사문이 별로 쓰이지 않았다는 것 등이 공통점으로, 동일 텍스트 안에서의 언문일치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에도 시대의 서쪽 지방의 방언의 영향이 강한 자료로 경체에서는 그다지 방언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체에서는 방언이 나타났다. 메이지기로의 흐름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동쪽 지방 방언의 자료와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메이지기「です」에 관한 일고찰

        박효경(朴孝庚)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desu" in the Meiji era, based on data of the colloquial style. Meiji was a transitional period when a writing style of modern Japanese was being established, and when a colloquial style had been changed a lot. In particular, colloquial "desu" was the expression that changed most. In this study, I summarized data of the colloquial style in the Meiji period, and extracted the text which used "desu" from each document. After that, I classified the data into 3 groups; noun sentences, verb sentences, and adjective sentences. There was no usage of "desu" in newspapers, documents for speech and documents for enlightenment in the Meiji period. There were a lot of instances of "desu" in Rakugo and novels which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 conversation part and a narrative part, but its conjugated form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contemporary Japanese. With regard to its conjugation, "desu" was sometimes combined with the root verb, and was not combined with adjectives. The phrase "desu" was only connected to substantives before the Meiji era, but was also connected to predicates in the Meiji era.

      • KCI등재

        『吾輩は猫である』における人称詞の一考察

        朴孝庚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9 No.-

        본 연구에서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인칭 표현에 대해 고찰하였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 나타난 자칭(1인칭), 대칭(2인칭), 타칭(3인칭)의 인칭사를 지문 과 대화문을 나눠 고찰하였다. 지문은 고양이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인간들 사이의 회화문에 나타나는 인칭표현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분류를 기준으로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칭의 지문에는 ‘吾輩’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메이지 30년대에 일반적으 로 많이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가 아니었으나, 고양이의 1인칭 대명사로 화자의 거만한 태도 를 나타내는 ‘吾輩’를 일부러 사용한 것이다. 이 부분에서 이 작품의 해학이 가장 잘 드러난 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회화문에 사용된 1인칭은 僕・私・おれ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 밖에도 わし・手前 등도 사용되었는데, 남성 화자의 1인칭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2인칭의 지문에는 諸君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소설에서 2인칭 대명사가 지문에 사 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고양이가 독자에게 직접 말을 거는 상황에서 사용된 것이다. 한 편 회화문에서는 君・ あなた・御前・ おめえ・おめっち・きさま 등의 인칭대명사 이외에 先生、奥さ ん 등의 일반명사도 2인칭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사람의 성이나 이름 혹은 직업명에 접미사 さん・くん・子(し) 등을 붙여서 2인칭으로 사용한 경우도 많았다. 셋째, 3인칭의 지문에는 彼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회화문에는 지시어에 人・男・女 등의 명사가 붙어 사용되는 예가 많았다. 彼의 문어적인 성격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彼 와 짝을 이루는 彼女의 용례는 지문과 회화문에 각각 1번밖에 나오지 않았고, 지시어+女・ 娘・婦人와 貴婦人方, 淑女, 貴女, 女連 등 다양한 단어가 사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향후의 과제로는 1인칭과 ‘재귀대명사’와의 관계, 「おのれ」와 번역에 의해 새롭게 등장한 「自身・自己・自分」의 구별 및 정착 과정에 대해서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2인칭은 기 존의 인칭대명사 이외에도「~さん・~くん ~し」 등의 접미사가 붙은 표현의 사용 양상에 대해서도 좀 더 본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3인칭은 지시어+여성을 나타내는 명사의 대량 출 현에도 주목하여 그 원인과 정착과정을 밝히는 것을 들 수 있다.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personal reference terms in the novel “I am a cat.” The person-to-person pronouns of modern Japanese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European languag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at how those difference have historically occurred. As a feature of this study, the self-styled first person, the symmetric second person, and the third person reference terms in “I am a cat” were divided into the text and the dialogue. In this novel, since the text is to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it from the person-to-person expressions that are shown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human characters. Firstly, the pronoun of ‘wagahai’ was overwhelmingly used in the first person's text. Although it was not a common first-person pronoun in the 30s of the Meiji period, it was deliberately used as the cat's first-person pronoun, indicating the speaker's haughty and arrogant attitude. This shows the satire and humor of this work. On the other hand, in the dialogues, the first person pronouns that were widely used were in the order of ‘boku, watashi, and ore’. Also, the first person pronouns of the male speaker were used in a variety of ways (‘washi, atashi’, etc.). ‘Syogun’ was also used in the second person's text. In common novels, second-person pronouns are rarely used in text, but in this novel, they are used in situations where the cat talks directly to the readers. In dialogues general nouns such as ‘sensei’ (teacher) and ‘okusan’(Mrs.) were often used in the second person, and in many cases, suffixes (‘san, kun, shi, ko’ etc.) were also used, in addition to the person-to-person pronouns such as ‘kimi, anata, omae, ome-, ometti, kisama’ etc. Future tasks related to personal reference terms could also be identified. In the first pers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istinction of ‘onore’ and ‘jishin, jiko, jibun’ which were newly introduced by translation. In the second person,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gender-based usage of ‘~san・~kun’. Finally, in the third person form, it is the future task that is used to identify the reasons why ‘kanozyo’ was not used (unlike ‘kare’).The causes and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expressions consisting of “demonstrative + woman” have also been used in large quantities. This study will focus on all of these refrence terms.

      • KCI등재

        『金色夜叉』와『장한몽』호칭어의 대조연구 -이름 호칭을 중심으로-

        박효경(Park, Hyo-kyoung),백이연(Baek, Yi-Yiun)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68

        This study explored the use of names in Ozaki Koyo"s Konjiki Yasha(1897-1902) and its Korean adaptation Janghanmong(1913). It is the social norm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at people avoid calling their superiors by name, and add an honorary suffix such as san or ssi to the name.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y cannot be translated directly due to differences in usage of san and ssi. In this study, we compared san and ssi in the Japanese and Korean novels that were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se two suffixes began to be commonly used. These novels also share the same cont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ames were called differently in each novel despite the same settings shared by these novels. The find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verall, san tended to be used in more diverse situations than ssi. Secondly, the most frequently called person names were last name without the honorary suffix for Konjiki Yasha and first name without the honorary suffix for Janghanmong. Thirdly, kun which is used among men of the same generation, is rarely found in the Korean adaptation. Fourthly, Japanese address terms varied depending on solidarity, but Korean was more sensitive to power such as age. The honorific suffix san was not translated on the ‘san = ssi’ basis in the adaptation process, but was transl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it was used.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usage of ssi rather than that of san when compared with today"s usag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track changes through various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