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금 산조의 변천 과정 연구

        박환영(Park Hwan Yo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대금 산조의 기원과 형성 및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대금 산조의 창시자로 알려진 박종기와 그의 제자 한주환의 대금 산조를 분석한 후 산조를 오늘날 어떻게 현대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박종기에 의해 처음 연주되기 시작한 대금 산조는 세월이 지나며 여러 갈래의 유파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여러 유파의 산조 중에는 형태는 약간씩 다르지만 서로 비슷한 가락(선율)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런 비슷한 가락이 언제 누구로부터 비롯되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리고 각 유파들은 이렇게 전래되어 오는 가락을 자기 유파만의 고유한 가락인 것처럼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던 중 유성기 음반에 실린 박종기의 대금 산조 한바탕이 발견되고 재현 연주된 결과 현행 산조가 시김새는 조금씩 다르지만 박종기 산조 가락을 많이 담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본고에서 대금 산조의 창시자인 박종기와 그의 제자인 한주환 두 사람의 생애 및 발견된 음악 자료를 바탕으로 두 사람 산조의 전 바탕을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조명하였다. 그 결과 박종기의 산조가 한주환 산조를 비롯한 여러 유파에 실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게 되었으며 특히 음악적 바탕이 탄탄한 한주환이 박종기의 소리 더늠 대금 산조를 전수받아 오늘날 대금 산조의 뿌리를 내리게 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산조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오늘날의 산조가 즉흥성과 성음의 상실로 이어지고 있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또 산조의 발전과정을 검토하여 산조의 생명력인 즉흥성과 새로운 방향을 찾기 위한 여러 활용방안에 대해 다루었다. 산조 고유의 특징인 즉흥성의 상실 원인은 산조의 악보화에 따른 정형화와 각종 유파의 수직성과 경직성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산조가 오늘날 중요한 음악양식으로 자리매김 하기까지는 다양한 연주방식의 변화가 있었기에 가능하였으며 산조를 개척했던 많은 명인들의 예술혼을 더욱 승화시키기 위해 몇 가지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the formation and the changes of Daegeum Sanjo, analyzed the Daegeum Sanjos by Jong-gi Part, who is known to be the founder of Daegeum Sanjo, and Joo-hwan Hahn, an apprentice of Park, and tried to find the directions for applying Sanjo to the contemporary life, in a modern fashion. Daegeum Sanjo, played initially by Jong-gi Park, came to form schools of various branch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Sanjos of those various schools are incorporating many tunes of mutual resemblance in spite of the slight disagreements in form, though it is not well known when and from whom those similar tunes were originated. Each school is playing its tune which had been being handed down in that way as if it had been a tune peculiar to them exclusively. And 'Daegum Sanjo Hahnbahtahng' in the record by Seong-gi Yoo was found and played as a reproduction, that it came to be verified that the existing Sanjos show a little difference in form, but much resemblance in tune, to the Sanjo tune by Jong-gi Park. This paper listened to, wrote in musical notes and analyzed the whole body of the Sanjos of Jong-gi Park and Joo-hwan Hahn for giving light to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being based on the life stories of both and the musical data which were found. It has been clarified, as a consequence, that the Sanjo by Jong-gi Park practically gave a significant effect on various schools including the Joo-hwan Hahn Sanjo, and Hahn, who was of strong musical talents, inherited Park's Sorideoneum Daegeum Sanjo and made the present type of Daegeum Sanjo take root. As to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anjo in a modern fashion, the reason that the Sanjos of the present day are being led to the loss of impromptuness and vocal sound was looked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of Sanjos were also examined, and the impromptuness, the vital power of Sanjos, and various application plans for finding the new directions were discussed. The reason of the loss of impromptuness, the peculiar characteristic of Sanjo is seen to be the standardization and the verticality and rigidity in various schools. Sanjos' positing itself as an important mode of music today is made possible by various changes in playing style, and a few programs for the further sublimation of many pioneering masters of Sanjo were regarded accordingly.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여가문화와 농촌문화관광의 민속학적 고찰

        박환영 ( Hwan Young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본고는 여가문화와 농촌문화관광에 대한 민속학적인 시각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의 농촌문화 속에는 전통적인 생활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생활문화를 소재로 하는 농촌문화관광은 현대인들의 여가문화로 중요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과 전원적인 농촌생활을 소재로 하는 생태문화관광이라든지 전통문화에 대한 체험 프로그램 등은 농촌문화관광이 가지고 있는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문화의 시대에 있어서 민속은 가장 핵심적인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여가문화 속에서 문화관광자원이 될 수 있는 농촌문화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인의 삶은 새로운 여가문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가문화 속에는 농촌문화관광자원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농촌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화관광자원이 현대의 여가문화로 충분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는 시점에서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문화의 가치를 중요시 하는 현대인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여가문화의 핵심적인 소재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농촌문화관광자원의 몇 가지 가능성은 친환경적인 생태문화를 비롯하여 농촌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여가문화가 가질 수 있는 이러한 농촌문화와의 연관성을 좀 더 확대하고 현대인의 생활공간인 도시생활 속에서 여가문화를 전통적인 농촌문화와 연계하기 위해서 여가문화와 관련한 농촌문화관광자원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농촌문화관광자원의 구체적인 사례와 농촌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지속가능한 현대 여가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culture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tourism as well as leisure culture. Cultural tourism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s probably an important resource for leisure culture. In addition, folk culture usually reflects people`s living customs and daily practices, therefore folkloric contents in cultural tourism are surely to rise in interest for leisure culture today. In this respect,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ulture and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particularly some possibilities found in agricultural villages.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cultural tourism in traditional agricultural villages are given,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ustainable resources for cultural tourism. From these arguments some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as a possible newly emerging leisure culture today are derived. As I have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Chahang village in the Pyongchang county, the regional tradition as well as every day living culture are good examples for cultural touristic resources. Also not only ecological environment but also occupational environment in agricultural villages have to be considered to be developed as sustainable cultural touristic resources.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몽골의 여성민속 고찰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문헌자료에 근거하여 그 속에 담겨져 있는 민속문화를 도출해 내는 것은 생활문화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속학의 기초적인 연구방법으로 현지조사에 근거한 민속문화 연구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민속학의 중요한 연구방향이 될 수 있다.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도 몽골의 역사문헌자료에 대한 민속학적인 연구를 통하여 당시의 민속문화를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한데 역사문헌자료 중에서도 『몽골비사』는 13세기 몽골의 유목문화를 잘 반영해 주는 몽골의 대표적인 역사문헌자료이다. 『몽골비사』는 역사적인 기술을 넘어서 수많은 은유와 상징 그리고 문화기호가 내재된 한 편의 민족대서사시이므로 단순한 문맥의 해석 보다는 문맥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과 문화를 읽어내는 작업이 필요한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각에 초점을 맞추어서 『몽골비사』 속에 숨어있는 여성과 관련된 민속문화를 크게 네 가지 영역(인명, 지위와 역할, 혼인풍속, 상징민속)으로 분류하고 여기에 속하지 않는 몇 가지 작은 영역은 다섯 번째 기타영역으로 모아서 분석해 보았다. 『몽골비사』에 투영된 전통적인 몽골의 여성은 헌신적인 자세로 그리고 사내대장부 같은 강인함으로 자녀들을 훌륭하게 양육하는 가정적인 여인상과 사회정치적인 여인상이다. 이러한 여인상은 부분적이지만 몽골의 설화 속에서 보여지는 몽골 여성의 강인함과 엄격하고 주도적인 여성의 지위와 역할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몽골비사』속에는 형제들 사이의 반목과 분쟁이 자주 드러나 보이는 반면에 자매들 사이에는 서로 희생하고 도움을 주면서 언니와 동생이 서로 양보하면서 화합을 하여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동서(同壻)들 사이에는 남편의 위치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는 여성들 사이의 지위와 서열 문제로 반목과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있었던 내용도『몽골비사』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끝으로 여성을 중심으로『몽골비사』의 내용을 민속학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몽골비사』에 기술되어 있는 기본적인 내용 외에도 그 이면(裏面)에 자리 잡고 있는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당시(13세기) 전통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하고, 직접적으로는 여성과 관련이 없는 영역 속에서도 간접적으로 혹은 상호보완적으로 여성민속과 연계되어 있는 경우도 간과할 수 없다. 또한『몽골비사』의 다양한 역사적인 기술(記述) 속에는 서정적인 내용과 은유와 상징으로 포장된 시(詩)적인 내용이 많은 편인데 이러한 내용은 피상적으로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압축되어져서 심층적으로 여성과 관련된 민속문화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도 배재할 수 없다. In general, folkloric researches are dealing with fieldwork based materials rather than those of written historical documents. Nevertheless, both sides a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in many cases, folkloric investiga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of past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study of current folklore issu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looks systematically into the best known 13th century Mongolians’ historical material the so called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standpoint of folklore studies. In the course of analysing this historical material, one can figure out Mongolian women’s folklore, particularly four major aspects: names, status and role, marriage customs, and symbolic folklore. Firstly, Mongolian name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have some specific suffix such as -chin and -jin and those indicate all women’s names. Also, a kind of a name title like -gua is used to indicate women. Secondly, according to the 13th historical text women’s status inside family and kin groups is determined by their husbands and sons. In the same manner, inside the family and kin group Mongolian women often play an important role: either they give wise advices to their sons and husbands or they make an active decision for their tribes. Thirdly, historical descriptions show that traditional marriage customs such as bridewealth and dowry are broadly practised in the 13th century among Mongolian people. Lastly, the symbolic images of women (particularly mothers) inside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re river, earth, sun, etc. and those symbols always have a connotation with comfort and warm existence, generosity and ever lasting vitality and safeguard.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몽골비사》에 반영된 몽골 친족용어의 인류언어학적 고찰

        박환영 ( Park Hwan-young ) 한국알타이학회 2018 알타이학보 Vol.0 No.28

        Kinship terminology in anthropological linguistics is one of the principal research subject because it clearly provides cultural patterns and social structure among language community. From this point of view I intend to investigate Mongolian kinship terminology insid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which would delicately reflects nomadic culture and social systems among 13th century nomadic Mongols. Furthermore in this paper I will systematically look into not only terms of address and terms of reference but also various sociolinguistic aspects of kinship terms such as age, gender, social status, taboo, etc.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analysis of kinship terms insid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several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ly, overall 77 kinship terms are listed in the text, and those kinship terms are main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onsanguineal kinship terms, affinal kinship terms, fictive kinship terms, and other kinship terms such as kinship symbols, collective kinship terms, etc. Secondly, from the standpoint of ego vertically kinship terms are broadly used from great grandfather to great grandchildren. In the same manner, horizontally cousin terms and in-law terms are delicately explained. Thirdly, among offspring expecially sons are distinctively subdivided into the eldest and the youngest. This characteristic sub-division of kinship terms is also visible among brothers. By comparison female offspring(i.e. daughters) is not sub-divided by age as well as social status. Fourthly, personal names are often added into kinship terms in order to clarify proper kin members. For instance, ‘Oelun(personal name)+eh(a kinship term for mother)’ and ‘Tsotan(personal name)+eh(a kinship term for mother)’ are Temujin’s real mother and his mother-in law respectively. Hence, the personal name is effectively employed to distinguish kin members who use same kinship terms. This pattern of kinship terminology is also applicable to tell the real father among male seniors in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21세기 문화관광자원의 민속학적 고찰

        박환영 ( Hwan Young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4 No.-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culture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tourism as well as leisure culture. Cultural tourism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s probably an important resource for leisure culture. In this respect,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ulture and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A variety of perspectives are given, such as an insight into Buddhistic folklore, examples of modern historical novels motivated from old mythology, urban festivals such as Mongolian Naadam festivals in Korea etc. From these arguments some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which are newly emerging from leisure culture are derived. In addition, folk culture usually reflects people`s every day living customs and daily practices, therefore folkloric contents in cultural tourism are surely to rise in interest for leisure culture today. Cultural tourism is one of the most basic elements in sustainable tourism in 21st society. In Korean society, for example, Buddhist folktales concerning local temples, ancient mythology and urban festivals are distinctive and distinguishable cultural elements which can be developed into attractions of cultural tourism today. Also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both from Korea and from abroad shows that cultural elements embedded into tourism are highly in demand. Once we deal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we have to consider cultural elements and content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folk culture. This is because this sort of cultural tourism is directly linked with the most original cultural resources, which makes it distinctive to non-cultural based tourism. Thus, cultural tourism would be the most promising and effective form of tourism to draw attention of domestic as well as foreign tourists today.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있어서 민속문화는 가장 핵심적인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현대인의 삶은 새로운 여가문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가문화 속에는 문화관광자원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현대인을 위한 가치 있는 여가문화를 위한 문화관광자원의 몇 가지 가능성은 불교설화, 현대의 역사소설로 새롭게 인식될 수 있는 고대신화, 그리고 한국에서 행하여지는 다양한 도시공간 속의 축제 중 유목문화를 보여주는 몽골의 나담 축제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여가문화가 가질 수 있는 이러한 민속문화와의 연관성을 좀 더 확대하고 현대인의 생활공간인 도시 속에서 여가문화를 전통적인 민속문화와 연계하기 위해서 여가문화와 관련한 문화관광자원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려는 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문화관광자원의 몇 가지 사례는 현대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여가문화 속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문화관광자원은 무한한 정보와 문화컨텐츠를 가지고 있다. 소통과 교류를 통하여 문화 간의 차이가 점차로 줄어들고 있으며 지구촌 문화라는 하나의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일반적인 문화의 모델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각 지역과 문화권을 대표할 수 있는 변별적이고 민족문화적인 가치와 특성을 지닌 각 지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한편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자원의 개발이 절실한 데 전통적인 불교설화, 고대신화 그리고 도시축제와 같은 민속문화에 소재를 둔 문화괸광자원은 차별화되고 독창적인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잘 반영해 줄 수 있는 문화관광자원으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판에 박힌 진부한 방식으로 문화광광자원을 접근하기 보다는 문화의 시대에 걸맞게 진정한 가치와 지속가능한 문화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민속문화의 관점에서 문화관광자원을 접근해야 한다.

      • 도시 공간 속에서 강릉단오제의 전승 및 계승방안 고찰

        박환영(Park, Hwan-You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아시아강원민속 Vol.21 No.-

        본 논문은 도시공간 속에서 강릉단오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강릉이라는 지역, 단오라는 세시풍속 그리고 제의를 비롯한 민속놀이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어울리는 축제로 거듭 발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강릉단오제가 도시공간 속에서 축제로서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우선 이전부터 가지고 있던 축제의 전통성, 향토성, 제의성과 민속놀이적인 요소가 담겨있어야 하며 여기에 덧붙여서 도시민의 감각과 수준에 맞는 먹을거리, 즐길 거리, 볼거리 등의 다양성이 좀 더 확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맹목적이고 무의미한 확대보다는 강릉을 중심으로 하는 강원도 지역이라든지 단오라는 세시에 맞는 그리고 전통적인 제의와 민속놀이 또는 난장을 잘 조화시킬 수 있는 볼거리, 먹을거리, 즐길 거리를 찾아내고 축제 속에 끌어들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또한 현대적인 도시축제가 가질 수도 있는 지나친 상업주의나 집단이기주의 그리고 지역적인 배타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여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하는 민중들의 일체감을 조성하고, 남북한을 하나 되게 하고 아시아와 세계를 한데 모아 주는 열려있는 축제로서 문화적 의의, 경제적 의의, 관광적 의의 등을 함께 지닐 수 있는 현대적인 향토축제요 도시축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강릉단오제는 이제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축제라기보다는 한국과 아시아를 대표하는 그리고 세계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축제가 되었다. 이러한 입장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북한의 단오와 아시아의 여러 지역의 단오를 한데 모아서 명실상부한 단오축제의 대표로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할 것 같다. 따라서 국내적으로는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여러 지역의 단오 풍속을 한 곳에 모아서 강릉단오제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하겠고, 또 한편으로는 북한의 단오 민속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할 것 같다. 셋째 좀 더 박진감 넘치는 공동체 문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단오와 관련된 민속놀이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데 대동놀이의 성격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단오 때 행하여지기도 했던 석전(石戰)이 가장 이상적인 방안이 될 것 같다. 한편 국외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다른 아시아 지역의 단오 민속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우리의 단오와 비교함으로써 동아시아에 널리 퍼져있는 단오 문화 속에서 한국의 단오가 가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강릉단오제가 세계인이 함께 하는 지구촌을 대표하는 축제가 된 이상 강릉단오제는 강릉과 강원도인들 그리고 남북한이 하나가 되는데 기여해야 함은 물론이고 아시아와 전 세계를 하나로 묶어주는데 중요한 가교역할을 하는 진정한 세계인의 축제로 거듭 태어나야 할 것 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holistic aspect of local places, annual customs, rituals and folk plays concerning the Kangnung Dana festival. This research particularly tries to find out developmental schemes for the Kangnung Dana festival in urban setting. Thus several suggestions will be presented following the investigation. Firstly, in order to become an appropriate festival in today’s urban atmosphere, the Kangnung Dana festival must contain not only traditional rituals and folk plays but also modern cultural varieties such as entertainments, food and shows. In addition, as a local based festival the Kangnung Dana festival needs to achieve solid and long lasting support from local people, then gain popularity among people from other regions in Korea and later extend promotion of the festival in Asia and in the world. Secondly, Dana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nual customs in Korea. Hence, many aspects of Korean culture today still have some remnants of Tano customs. Also different places in Korea have their own tradition celebrating Dana, even though most of the main ideas and customs are the same.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Kangnung Dana festival close and active cooper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urgently needed. Once the Kangnung Dana festival becomes the representative festival in whole Korea, steps can be taken to make it a prominent and world wide known festival. Thirdly, Dana is also practised in China, Japan and some other parts of Asia. Therefore, collection as well as systematic analysis of Tano materials, and comparative Asian researches on Dana festivals are required. Probably this will be the best way to develop the Kangnung Dana festival as a distinctive and thus truly international festival.

      • KCI등재

        몽골 샤머니즘에 나타나는 색깔상징에 대한 일 고찰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5

        본 논문은 몽골의 샤머니즘에 나타나는 색깔이 가지는 상징에 초점을 맞추어 몽골의 민속을 다루고자 한다. 몽골인들이 가지는 색깔에 대한 의식은 특이한 편이다. 이것은 아마도 몽골인들이 전통적으로 영위하고 있는 유목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다. 다시 말해서 그들의 일상적 유목생활 속에서 색깔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관찰력을 엿 볼 수 있다. 몽골의 샤머니즘에 나타나는 색깔상징도 예외일 수는 없다. 몽골의 샤머니즘에 나타나는 색깔은 다양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몽골의 샤머니즘과 관련된 색깔상징을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예를 들어서 몽골의 샤머니즘에서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생명과 피와 관련된 색깔, 몽골의 샤먼이 가지는 서로 다른 세습 전통을 나타내는 색깔 상징, 샤머니즘에서 형상화된 우주의 여러 세계를 나타내는 내는 색깔, 샤먼이 모시는 옹고드(ongod)에 관련된 색깔, 그리고 샤먼이 의식을 할 때 착용하는 복식, 무구(巫具), 장식과 관련된 색깔 등이다. 몽골의 샤머니즘에 나타나는 색깔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은 단지 몽골의 샤머니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몽골의 민속문화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몽골 샤머니즘 색깔상징 문제를 통하여 몽골의 민속문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Mongolian Shamanism and that of colour symbols. In the Mongolian society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lour symbols. This is probably closely linked to the traditional nomadic way of life including the folk belief such as Mongolian Shamanism. In the meantime, Mongolian riddles often show that various colours are metaphorically used in daily life in Mongolia. Hence colour symbols in Mongolia are associated with every aspects of the Mongolian society. In this paper I look into colour symbols in Mongolian Shamanism from fiv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ly, there are some colour symbols from the shamanic elements of life in living creatures such as blood, bone and flesh. Secondly, according to different traditions and practices, chiefly three distinctive Mongolian shamans are dividable by colours, for example black shamans, white shamans and yellow shamans. Thirdly, colour symbols are visible in the cosmological view of shamanic world. Fourthly, various ongod (ancestral spirits or guardian spirits) which are served by Mongolian shamans provide colour symbols. Lastly, colour symbols are also found by examining Mongolian shamans' cloth, ceremonial tools, food, decoration, etc. There are five main colours in the Mongolian Shamanism, that is black, blue, red, white and yellow. In addition to this five colours, green is also visible at the shamanic rituals in Mongolia. These six colours are revealed in diverse contexts in the Mongolian Shamanism. For example, in some contexts, white colour symbolizes good deeds such as healing whereas black colour symbolizes evil deeds such as imprecation. Also yellow colour is very much connected into Lama Buddhism in many ways. It is clear that there are many other aspects on colour symbols concerning the Mongolian Shamanism are waiting for further folkloric research. Above of all, it remains a pressing matter to collect and analyse systematic materials on colour symbols of the Mongolian Shamanism both by carrying out field research in Mongolia as well as by reviewing all kinds of written documents.

      • KCI등재

        도시민속 연구의 방법과 영역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4 No.-

        한국민속학을 접근하면서 이제 도시라는 공간은 더 이상 민속학의 관심 밖에 있는 공간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 하루가 다르게 신속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도시가 가지고 있는 각양각색의 문화와 다채로운 생활환경을 고려한다면 과연 도시에도 민속은 있을까? 라는 물음과 함께 만약 도시에도 민속이 있다면 이러한 민속은 어떠한 민속이고 아울러서 이러한 민속을 어떻게 접근하고 연구할 것인가? 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향후 도시민속 연구의 가능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에 초점을 두면서 제기될 수 있는 주요한 쟁점을 중심으로 도시민속 연구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다루어진 도시민속과 관련한 다양한 접근과 시도를 점검해 보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시민속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의 가능성과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도시민속학의 본격적인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시되었던 외국의 도시민속학에 대한 선행 논의를 먼저 참고할 수 밖에 없지만 한국의 사회는 나름대로의 특색이 있어서 이러한 서구의 다양한 도시민속학의 경향과 구별될 수 있는 한국민속학에서 적용될 수 있는 독자적인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다면 한국의 도시사회의 여건과 실정에 맞는 나름대로의 방법론과 연구영역이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유라시아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최근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사회과학분야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향후 북한사회에 대한 도시민속학적 접근과 관련해서도 한국민속학은 도시민속 연구의 연구영역과 접근방법에 있어서 나름대로의 특징과 새로운 방법론적 모색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도시민속 연구방법으로 구술생애사적방법, 구조주의적방법, 상징론적연구방법, 제의학파적방법, 설화분석방법, 맥락론, 기능주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시민속이라는 영역은 기존의 민속학 연구 영역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져야 하는데 특히 현대의 도시공간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여러 영역 중에서 우선적으로 도시의 마을공동체와 같은 사회민속, 특수 집단의 은어와 속신, 도시 공간 속의 세시풍속, 도시전설, 다문화와 민속, 영상 및 대중매체와 민속, 달동네와 골목과 같은 도시의 특정한 어느 지역의 민속, 탈사회주의 북한의 민속 등으로 세분화 하여 분류할 수 있다. 아마도 전통사회의 민속을 연구하면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졌던 연구영역은 물론이고 도시라는 공간 속에서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는 다양한 민속현상도 향후 도시민속학의 연구영역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 같다. 전자의 경우가 민속문화의 변모양상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연구영역이라면 후자의 경우는 민속문화의 연장선 상에서 도시 공간 속에서 만들어지고 생성되는 민속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연구영역인 셈이다. Today urban place finds itself no longer outside of the major fields in folklore studies. In other words, we experience rapi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modern city life and therefore we are now surrounded by a diversified multi-cultural urban environment. So we may quest whether there is any folklore in the city. In the same manner we are not sure how we can approach this folklore in the cit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not only looks into methodologies and subjects but also makes some suggestions for possible future urban folklore studies. In order to get a profound foundation for systematical researches on Korean urban folklor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oroughly various precedent studies in Korea and abroad. However, the unique culture in Korean urban areas needs its own distinc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For example, post-socialist North Korean society will be a possible research task for Korean urban folklore studies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several urban folklore methodologies such as oral and life histories, structural, functional, symbolic or ritual approaches, analysis of folk tales in new context and so on should be included. When we deal with research subjects on Korean urban folklore studies today, there are quite a few interesting potential fields, such as social folklore in urban village communities, folk language like taboo terms and jargons, calendar customs in the city, urban legends, multi-culture and folklore, mass-media and folklore, the post-socialist North Korean society and folklore, etc. Probably, in approaching urban folklore studies about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oth research topics-previous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also newly emerging cultural phenomena-must be considered together. In other words, the former shows aspects of cultural transformation and transmission whereas the latter can be regarded as cases of cultural invention and reconstruction in urban settings.

      • KCI등재후보

        판소리에 반영된 불교어휘의 문화언어학적 연구

        박환영 ( Park Hwan-you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8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4 No.2

        판소리는 민중들의 생활문화를 반영해주는 대표적인 민속예술로 그 속에는 민중들이 일상생활에서 즐겨 사용하는 어휘와 어구 그리고 담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특히 오랜 시간 동안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마음의 안식처요, 삶의 근원으로 그 역할을 묵묵히 담당해 오고 있는 불교와 관련한 어휘가 많이 반영되어 있다. 판소리에서 연행되거나 구술되는 불교어휘는 전문적인 불경이나 사상은 물론이고 민중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역사적인 인물이나 고소설 속의 불교어휘와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성이 두드러지는 불교어휘도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민중들에게 친근함과 익숙함을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판소리 속에 녹아있는 불교어휘를 통하여 불교문화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화언어학적인 입장에서 판소리 다섯마당 속의 불교어휘를 분석하였는데, 판소리의 이본(異本)을 가능한 모두 참고하여 판소리 문화 관련 어휘를 분석의 기초자료로 삼아서 모두 150여개의 불교어휘를 문화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판소리 속에 전승되고 있는 불교어휘 150여개를 다섯 가지 주제와 유형으로 나누어서 고찰해 보면 그 중에서도 불교의 상징세계와 우주관 및 생사관(이승과 저승)과 관련된 불교어휘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으로 자주 사용되는 어휘는 불교의 주요한 불보살 및 수호신과 관련된 불교어휘와 불교 관련 민간의식(意識)과 의례, 시구(詩句) 및 진언(眞言)과 민요 등과 관련된 불교어휘이다. 판소리 다섯마당에 반영되어 있는 불교어휘는 민중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창과 아니리’라는 연행방식을 가지고 구술되기 때문에 과거는 물론이고 동시대 민중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전통적인 방식의 불교관련 말뭉치(corpus) 언어자원으로 향후 좀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deals with Buddhist terms inside Pansori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linguistic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nvestigates Buddhist terms and culture by examining practical language usages inside Pansori. Pansori is an ideal linguistic text providing grassroot culture and tradition. This is because Pansori contains various aspects of mundane life narrated in people’s ordinary language and vocabulary. Since Buddhism was an influential belief among grassroot people in traditional society, Buddhist terms are easily visible inside Pansori. On the base of subjects those Buddhist terms are divided into five main categories: Buddhist gods and deities, Buddhist texts and monks as well as ritual ornaments, temples and additional ritual buildings, symbolic cosmology and vies on life and death, rituals and poetic phrases of Buddhism. In particular, Buddhist terms for symbolic cosmology and views on life and death are most frequently used inside Pansori compared to the other categories of Buddhist terms. The second most frequent category of Buddhist terms is the category dealing with gods and deities. Terms used inside Pansori present actual language usages of grassroot people in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ociety. Hence, these various Buddhist terms inside Pansori can be regarded as new and important corpus resources for future linguistic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