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상 비율평정으로 확인한 한국인의 심리적 고유색

        박현수,이만영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8 No.2

        Two experiments based on hue scaling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unique hues corresponding to the opponent colors of Hering (1878)'s theory. Recently, Kuehni (2001a) used a color-chip selection task to identify the unique hues of English speakers and found different results from those of Oh et al. (2003) and Pak et al. (2005) where similar tasks were used with Korean speakers. The present set of experiments used different experimental tasks to ascertain whether the discrepancy between previous results was caused by task differences or genuinely different psychological representations of unique hues in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Experiment 1 adopted a single-hue scaling paradigm frequently used in similar studies and Experiment 2 used a double-hue scaling paradigm that reflects Hering's opponent theory. Munsell color-chips were used in both tasks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findings of Oh et al.(2003) and Pak et al.(2005) rather than those of Kuehni (2001a). Th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ces in unique hue judgments between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lie at a deep representational level and are not an artefact of the experimental task methodolog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discrepant psychological unique hues across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are discussed. Hering의 대립색에 해당하는 심리적 고유색을 확인하기 위하여 색상비율평정에 기초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근에 색편선택과제를 사용하여 고유색을 확인하고자 한 오경기 등(2003)과 박현수 등(2005)의 국내 연구결과는 유사한 과제를 사용한 Kuehni(2001a)의 영어권 연구결과와 일부 색상에서 불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불일치가 실험과제의 차이 때문인지 아니면 언어에 따른 고유색 본래의 심리적 표상의 차이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실험과제들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색광을 이용한 고유색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단일색상 비율평정을 실험과제로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Hering의 대립색 이론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는 이중색상 비율평정을 실험과제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먼셀 색편을 실험자극으로 사용한 본 연구의 실험결과들은 Kuehni(2001a)의 연구결과보다는 오경기 등(2003)과 박현수 등(2005)의 연구결과에 더 가까웠다. 그러한 결과는 상이한 언어사용자들이 보이는 고유색 판단의 차이가 실험과제의 부산물이 아니라 심층 표상수준에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한다. 상이한 언어사용자들에서 나타난 심리적 고유색의 불일치가 갖는 이론적 함의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각시설의 미세먼지 배출특성 - 소각온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중심으로 -

        박현수,김익산,김행범,장성국,김환범,김득수 한국환경기술학회 2019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0 No.1

        To confirm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cineration temperature, general incineration facility(GIF) and high temperature incineration facility(HTIF) among the waste disposal companies in the province were selected. Total particulate matter (TPM) and fine dust (PM10, PM2.5) were sampling at before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The changes of heavy metal and carbon composition were analyzed in the laboratory. The dust concentration results of HTIF showed higher values of TPM(12.8%), PM10(38.7%) and PM2.5(48.1%) compared to GIF. The particle fraction of HTIF is as high as 55.9% of small particles with PM2.5 or less, but The particle fraction of GIF was 46.4% large particulate matter of PM10 or more. Particle fraction of GIF was 46.4%,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PM10. As a result of metal compound(Cu, Pb, Cr, Zn, Cd, Ni, Fe), Major metals of PM2.5, PM10 of GIF and PM2.5 of HTIF were similar to Zn, Fe, Pb, Cu, but PM10 of HTIF were detected Cr and Ni. Analysis of Organic carbon (OC) and Elemental carbon (EC), In the case of OC, both PM2.5 and PM10 showed higher values in GIF than in HTIF. EC detected PM2.5 and PM10 in GIF but not in HTIF.

      • MQTT 프로토콜 기반 DR용 스위치 개발

        박현수,정규창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8

        As power consumptio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switches have been developed to utilize systems for demand response (DR) that control supply by analyzing power demand predicted and predicted power demand through power monitoring. Existing switches can be controlled only when they are in the field by manually controlling them, but with developed switches, they can be controlled manually and remotely. The developed switch uses firmware based on the MQTT protocol to connect to and remotely control Ethernet over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WiFi. With its own monitoring program, switches can be controlled and maintained through real-time power monitoring.

      • KCI등재

        서정시의 화자 개념과 갈래적 특성 고찰

        박현수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어문론총 Vol.85 No.-

        Existing research on the 'poetic speaker'(poetic I) has a limitation that it has neglected to clarify its essence by focusing on typology and utility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paper supplemented the preceding discussions related to the speaker concept by confining to lyric poetry, and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the poetic speaker from the speakers of other genres were identified. First, in terms of conceptual historical supplementation, the errors made by the existing research were corrected: The proble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persona, the inaccuracy of lyrical I and poetic I concep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시적 주체(poetic subject)’ as a translation of a poetic speaker. And the 'poetic personality' of Yang Ju-dong was discovered and introduced as a pioneering concept of poetic speaker. Next, a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speaker, ‘pan-contextualized subject’, ‘substitutable subject’, and ‘elevated subject’ were suggested. The 'pan-contextualized subject' is a generalized and abstract self in which the poetic speaker does not have a specific spatio-temporal background and does not have a specific identity such as a clear identity or name. The 'substitutable subject' is the self that the reader can easily substitute for the 'I' in the poem, and the 'elevated subject' is the self in which the 'I' in the poem is superior to the actual poet. ‘시적 화자’에 대한 기존 연구는 유형론, 효용론적 측면에 치중하여 그것의 본질에 대한 규명에 소홀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서정시에 한정하여 화자 개념 관련 선행 논의를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적 화자가 다른 갈래의 화자와 구별되는 특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개념사적 보완에 있어서는 기존 연구가 범한 오류를 바로잡았다. 화자와 퍼소나의 구별이 지닌 문제, 서정적 자아와 시적 자아 개념의 부정확성, ‘시적 주체’라는 개념이 지닌 한계 등을 지적하였으며, 시적 화자의 선구적 개념으로서 양주동의 ‘시적 인격’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시적 화자의 갈래적 특성으로는 ‘범맥락화된 주체’, ‘치환 가능한 주체’, ‘고양된 주체’를 제시하였다. 범맥락화된 주체는 시적 화자가 구체적인 시공간적 배경을 지니지 않고, 명확한 신분이나 이름과 같은 구체적인 정체성도 가지지 않는 일반화되고 추상적인 자아라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치환 가능한 주체는 시 속의 ‘나’에 독자가 쉽게 자신을 기입할 수 있는 특성을, 고양된 주체는 시 속의 ‘나’가 실제 시인보다 더 우월한 자아로 나타난다는 특성을 지적한 것이다.

      • KCI등재

        산드룡, 재투성이王妃, 그리고 신데렐라- 한국 근대 번역동화의 정전 형성과 그 의미

        박현수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meaning of making the canon of the Korean translation-fairy tale. The early 1920's two Cinderella story was entered to Korea, the one was「The glass-shoes of Cendrillon(산드룡의유리구두)」that translated by Bang, Jung-Hwan(方定煥) and the other was「The queen of the full of ashes (재투성이王妃)」that translated by Choi, Nam-Sun(崔南善). Charles Perrault's「Cendrillon ou la petite pantoufle de verre」was translated to the former, Die Bruder Grimm's 「Aschenputtel」was translated to the latter. The former emphasized the opposition of the good and evil in the concise plot, the latter stressed the cruel scene and uncaused plot. The gap of the two works was the cruel and violent scene, the causal·uncaused plot etc. In fact,「The queen of the full of ashes(재투성이王妃)」was the story of the girl who felt the pain caused by the Oedipuscomplex. After all the girl overcame the pain for herself and looked out for the mate who becoming on her. Since then「The glass-shoes of Cendrillon(산드룡의유리구두)」becamed the canon of the Cinderella story in the Korean translation-fairy tale.「The glass-shoes of Cendrillon(산드룡의유리구두)」got rid of the cruel and violent scene, the uncaused plot, and the in-depth meaning etc. In fact, the cruel and violent scene was connected with the image of the child making at that time in Korea. And the changing uncaused plot and the in-depth meaning into causal plot and superficial stoty was connected with the logic of the Modern entered to Korea at that time.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근대 번역동화의 정전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1920년대 초기 한국에는 두 개의 신데렐라 이야기가 번역 되었는데, 하나는 1922년 방정환이 번역한「산드룡의 유리구두」였고, 다른 하나는 1923년 최남선에 의해 번역된「재투성이王妃」였다. 「산드룡의유리구두」는 페로(Perrault, Charles)의「산드리옹 혹은 작은 유리구두 (Cendrillon ou la petite pantoufle de verre)」를 번역한 것으로, 간결한 구성 속에서 선악의 대립을 부각시켰다.「재투성이王妃」는 그림 형제(Die Bruder Grimm)의 「재투성이(Aschenputtel)」를 원작으로 하는 것으로, 거친 흐름 속에 잔인한 장면이나 비인과적인 부분 등이 발견된다. 이러한 점은 한편으로 그림 형제의「재투성이」가 당시 구전되던 민담에 충실하려는 했던 의도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두 작품의 차이는 잔인하거나 폭력적인 장면의 유무, 인과적·비인과적 전개, 줄거리와 무관한 부분의 유무 둥으로 집약된다.「재투성이王妃」에서 나타나는 잔인하거나 비인과적인 부분들은 의식과 무의식이 빚어내는 상징 체계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때 그 온전한 의미가 드러난다. 실제「재투성이王妃」는 오이디푸스적인 관계로 인해 시련을 겪던 소녀가 스스로의 노력으로 그것을 극복하고 자신에게 어울리는 상대를 찾는 성장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산드룡의유리구두」는 못된 계모와 의붓언니들에게 고통을 받던 주인공이 마법을 통해 공주가 되는 과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후 조선에서 신데렐라 이야기의 정전으로 자리잡은 것은「산드룡의유리구두」였다.「산드룡의유리구두」는 잔인하고 폭력적인 장면을 지워버리고, 비인과적이거나 심층적인 의미망을 인과적인 플롯이나 표면적인 줄거리로 덮어버렸다. 하지만 그 결과 비인과적이거나 심층적인 요소들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까지를 지워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실제 잔인하고 폭력적인 장면의 제거는 당시에 조형되어 가던 아동상과 연결되는 것이었다. 또 비인과적이거나 심층적인 의미망을 인과적이고 표면적인 줄거리로 변용하는 것은 인과연쇄와 원근법으로 대표되는 근대의 논리를 내면화하는 과정과 맞물리는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