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사동법의 변천과 동인에 대한 연구

        박향란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4

        使成結構的發展是漢語語法史上討論最熱烈的話題之一,討論集中在幾種使成結構的産生與演變過程。而對使成結構整體發展的動因和機制問題的討論還有所欠缺,尤其是中古時期的“V``+N+V;、V``+使/令+V;”等隔開式使成結構産生與衰退原因還需進一步探討。本文在前人硏究的基礎上,運用語言類型學的理論,對漢語使成結構的發展進行了系統性的解釋。在許多語言當中,使成形態與使成意義的直接性(directness)密切相關。越是接近于詞彙型越適用于直接使成;越是接近于分析型越適用于間接使成。尤其是當在某種語言中存在兩種以上的使成表達方式時,短型使成通常表達直接使成,長型使成表達間接使成。這근語言的象似性(iconity)有關,則句法距離臨摹了語義距離。而在漢語史當中出現的幾種使成結構不符合這些規律,因此在與其他使成結構的競爭中被淘汰。如上古時期“使動”用法,屬于詞彙型短型使成,但使動用法旣能表達直接使成,又能表達間接使成。因此表達間接使成的使動用法後來被分析型使成代替,而表達直接使成的使動用法發展爲“V``+V;+N”,由此專門表達動作方式和結果狀態。與此同時,中古時期又出現了령外使成結構,如“V``+N+V;、V``+使/令/+V;”。這些隔開式使成結構和“V``+V;+N”形式上雖然不同,但却表達同樣的意義,卽直接使成。後來這些隔開式使成結構被“V``+V;+N”所代替,因爲這些結構形式上屬于分析型使成,意味上却表達直接使成,違背了語言類型學的普遍假設。

      • KCI등재

        명이동(名而動)구문의 화용 의미 분석

        박향란 영남중국어문학회 2021 중국어문학 Vol.- No.88

        This study analyzed the pragmatic meaning of the structure of ‘nouner(而)-verb’. In this structure, nouns and verbs have the relationship of topic and comment, in which er(而) performs the role of scalar focus particle behind the topic. Nouns in front of the er(而) acts as the extreme value of scalar, which is comprehensive. The structure of ‘noun-er(而)-verb’ can appear in both realistic and non-realistic situations, and has the meaning of concession with the negation of expecta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attributes of the noun component are not consistent with what the speaker expects, twist, contrast, and emphasis are derived. The structure of ‘noun-er(而)-verb’ is the product of subjectification, which reflects the speaker’s evaluation or emotion in a certain situation. Subjectification is connected to the subjectivity in the form of language, while subjectivity is also related to the the attribute of the noun component in front of er(而). The higher the level of sentience in the noun in front of conjunction (而) gets, the higher speaker’s empathy is, compared to the inanimate noun, when human-related animate noun appears. This makes speaker’s evaluation or judgment more distinct than the delivery of objective facts.

      • KCI등재

        중국에서의 朴趾源 연구 현황과 전망

        박향란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The research on Park Ji-won, started in 1970s, has been worked on for 40 years imperceptibly. Such research is not strange to Koreanology researchers as well as Chinese literature researchers. This essay investigated the history of Park Ji-won’s research among Chinese academia in detail, discussed the new direction and prospect of the research on Park Ji-won. The focus on Park Ji-won in China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on Park Ji-won, the Yeolha Diary had been the representative work which sharply shows the living existence among Silhak scholars. With the reification of Yon-haeng-rok and relating references, lots of accessible methodologies were supplied for journey literature, travel description, tourists literature theories and so on from the Yeolha Diary, which shows the exploration of the living existence in China. However, regardless of novels or proses, researches are always focused on representative works. When it comes to the comparison between novels in Qing Dynasty and novels written by Park Ji-won, the comparison between Park Ji-won and similar writers, it’s quite hard to find some investigational problems and conclusions in detail. Now by the method of lateral thinking, this essay investigated the literatur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How did those literature obtain modernity and which direction will it go to explore postmodernity All above shows the new attempt within an open mind is essential. 70년대부터 시작된 중국학계의 박지원연구도 어언 40년이 다 되어간다. 박지원 연구는 이제 한국학연구자뿐이 아니라 중국문학연구자들에게도 낯설지 않은 과제가 되었다. 본 고에서는 중국학계의 박지원연구사를 자세히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방향과 전망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중국학계에서의 박지원에 대한 관심은 한국의 경우와는 다르다. 박지원의 연구초기부터 중국학계에서는 『열하일기』가 실학자들의 삶과 사상을 가장 첨예하게 보여주는 대표 저술이라는 입장을 지속하면서 연행록 문헌군의 실체가 구체화됨에 따라서 『열하일기』를 ‘여행문학’, ‘기행문학’, ‘여행자문학론’ 등의 입장에서 알맞은 문학적 접근 방법론을 모색하고 중국의 실상을 탐색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소설이나 산문연구도 특정작품에 치중되어, 청대의 소설과 박지원의 소설 비교연구라든지, 경향이 비슷한 작가와의 비교연구, 그리고 구체적 역사적 규명문제도 극히 드물다. 이제 한, 중, 일 세 나라의 문학을 일종의 수평적 비교의식 아래 함께 검토함으로써, 세 나라문학이 어떻게 근대성을 지향해 갔는지를 열린 마음으로 점검하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 KCI등재

        선진시기 부정문에서 3인칭대명사 목적어 之의 어순 변이

        박향란 한국중국학회 2020 중국학보 Vol.94 No.-

        선진시기 부정문에서 3인칭대명사 목적어 之는 다양한 어순 변이를 보인다. 之는 不, 弗, 勿, 毋와 결합된 부정문에서는 주로 영대명사로 나타나고 未, 莫와 결합된 부정문에서는 동사에 선행되어 나타난다. 그동안 중국어법학계에서는 선진시기 인칭대명사 전치 현상에 대해 SOV어순의 잔재라는 견해와 초점을 표현하기 위한 화용적 수단이라는 견해가 대립하였다. 본고에서는 『孟子』의 부정문에 출현하는 3인칭대명사 목적어 之의 어순 변이 양상을 통해 두 견해의 타당성을 검토해보고 아울러 부정문에서 인칭대명사의 어순 변이 이면에 존재하는 동인에 대해 고찰해본다.

      • KCI등재

        고대 중국어 而의 문법화 연구

        박향란 언어과학회 2018 언어과학연구 Vol.0 No.84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grammaticalization path of “而” in Ancient Chinese. In the Pre-Qin Dynasty, “而” was mainly used for two functions: as a personal pronoun and a connective marker, but few people have been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unctions. “而” is grammaticalized from a personal pronoun or a demonstrative pronoun, gradually becoming a connective marker and finally turning into a particle. The key point of this development is the position of “而” in the sentence. It was always located in the middle of two phrases. At first, “而” indicated the listener in a discourse situation; after that, “而” developed into a demonstrative in the text. Finally, “而” evolved into connectives, an adverbial marker and a particle. The grammaticalization path of “乃” is similar to “而”.

      • KCI등재

        『孟子』의 ‘主-之-謂’구문의 담화 화용 기능

        박향란 한국중국학회 2020 중국학보 Vol.92 No.-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discourse functions of subject-zhi-predicate construction in the Mencius. It has been widely agreed that subject-zhi-predicate construction is a nominal phrase, so it can be regarded as topic. The topicalization of subject-zhi-predicate construction is divided into four main function―(1)connecting (2) introducing (3)inferencing (4)contrasting. Finally this paper studies the information structure, focus and the movement of the syntactic constituents of the subject-zhi-predicate construction. 본고는 『孟子』에 출현하는 ‘主-之-謂’구문의 담화 화용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主-之-謂’구조는 문두에서는 화제로 기능할 수 있다. 그 기능은 크게 접속과 도입, 추론 그리고 대비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主-之-謂’구조는 문말에서 목적어에 나타나거나 판단문의 서술어 혹은 단독으로 문장이 되어 초점 성분이 되기도 한다. 고대 중국어의 ‘主-之-謂’구조에 사용되는 ‘之’는 자신의 발화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화용표지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대 중국어 명사구의 정보지위 분석

        박향란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9

        본고는 고대 중국어의 명사구가 갖는 정보지위를 전체적으로 조망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2장에서는 명사구에 나타나는 주어짐성(givenness) 위계와 관련된 주요 논의들을 살펴보고 고대 중국어에 적용할 적절한 분석 도구를 탐색해본다. 3장에서는 고대 중국어 명사구를 크게 실체성 명사구와 명제성 명사구로 나누고 각각의 정보지위에 대해 분석한다. 실체성 명사구는 영대명사, 인칭·지시대명사, 고유명사, 원형명사, 그리고 수사 명사구를 포함하고 명제성 명사구에는 NP之VP, 所謂V(者), 所以V(者), 특수한 有구문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대 중국어를 대표하는 문헌으로 비교적 구어성이 강하고 긴 대화체로 구성된 『孟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 KCI등재

        消失의 슬픔과 주체성의 발현 - <入燕記>에 체현된 李德懋의 중국관 -

        朴香蘭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7 No.-

        본고는 <입연기>에 체현된 이덕무의 개인적 성향이 그의 중국인식 그리고 "북학"사상과어떻게 접맥이 되는지를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덕무의 <입연기>는 독자의 시선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개인적 글쓰기 방식을 취한다. <입연기>의 자아성에 대해 주목을 하고 있는 이유는 자아적 글쓰기가 저자의 가장 꾸밈없는 진솔한 모습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입연기>의 감정적 색채는 이국체험에 대한 흥분보다는 무의식적인 슬픔을 전제로 한다. 옛문명의 消失과 몰락을 두눈으로 확인한 이덕무는 중국의 전통적인 예의와 문명의 상실을 규탄하며 짙은 懷明사상에 빠지곤 한다. 그는 무의식적으로 잔재한 건축과 자연에 시선을 돌렸으며 명나라 유민의 종적을 찾아 기록하곤 하였다. 그러나 청조의 현실을 평가함에 있어서는거리감을 유지하고 있으며 냉철한 비판을 동반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 자연과 인간이 잔재한문명의 중국이었다면 청조통치의 현실은 타자로서의 중국이었던 것이다. 이덕무의 “북학”은경제나 제도에 대한 학습보다는 중국문명의 근간 즉, 중국 학술에 대한 배움을 의미한다. 이덕무가 존주숭명 사상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던 것은 강렬한 민족감정과 유가 "명분론"의체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또한 당시 조선문인들이 청조문화 수용에 있어서의 모순과 방황의 구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상실감으로 하여 객관적 시각을 유지할 수 있었고 또한그 슬픔 때문에 문화회복의 사명감을 느끼고 그 과정에서 조선적인 문학을 개척하였던 것이아닐까 싶다. Lee Dukmoo, the author of Ib-Yun-Gi, takes the perspective of readers and relatively free narration to present the content, form and the way of record in this book. And the plain language and the author’s sincerity also make Ib-Yun-Gi truly reflect the author’s thinking and feelings. In terms of the emotion contained in this work, it’s more like the unconscious sadness than the excitement one experiences from the exotic place. Having witnessed the decline of Chinese civilization, Lee Dukmoo criticized the fading away of Chinese traditional etiquette and immersed himself in thinking of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he searched the remains of Ming buildings for any trace left by Han people and gave his severe criticism to Qing Dynasty. It seems to him that the relics and people in Ming Dynasty constitute the important part of Chinese civilization and that Qing Dynasty is only the period when China was ruled by Manchu rather than Han peopl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hesitance of Korean intellectuals over whether to accept Manchu culture, Lee Dukmoo also adhered to the concept of Mingfen (a concept developed by the Confucianism that one’s identity determines his or her responsibility) and the conviction of honoring the Ming Dynasty. Although he felt sad and lost, Lee Dukmoo still, in an objective viewpoint, shouldered the responsibility of culture rejuvenation, which ushered in the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중국어 관계절의 유형 변천

        박향란 한국중국언어학회 2017 중국언어연구 Vol.0 No.72

        Relative clause is a major part of typological study. No matter in OV language or VO language, most relative clauses are addressed after the headnoun, while Chinese is one of those language which belonged to VO language while putting its relative clause in front of the headnoun. Thus it’s very important and valuable for us to study relative clause in Chinese. Particularly in ancient Chinese the development of relative clause is more complicated since there are several language marker to mark relative clause, such as “所(suo)”,“者(zhe)” and “之(zhi)”. This paper comprehensively studied those relative clause types from early ancient Chinese, besides, it also studied the re-union of those three relative clause types and the origin of “底(di)” marked relative clause in early middle Chinese. Furthermore, it also probe into the developing cause and rules of those relative clauses. 關系從句是類型學重要參項之一,但不管OV型語言还是VO型语言,絕大多數是後置於核心名词的,而漢語是極少數VO語序而關系從句前置於核心名詞的語言之一,因此漢語關系從句具有很大的研究價值。尤其是古代漢語關系從句的發展情況更加複雜,存在幾種關系從句標記,如“所”,“者”,“之”。本論文全面考察上古時期這些關系從句的類型,以及其三個關系從句統一的過程與中古時期“底”關系從句的來源,並且探讨這些关系从句發展的動因與機制。

      • KCI등재

        "소이(所以)"의 어휘화와 주관화

        박향란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5

        This paper discusses the lexicalization of "suoyi(所以)" from a composition of the noun phrase to a conjunction of result and to a discourse marker. during the grammaticalization of "suoyi(所以)", sematic subjectification has occurred. sematic subjectification of "suoyi(所以)" can operate in three related aspects, which involve meanings from the content domain to the epistemic domain, with extention to the speech act domain, and increasingly based on the speaker`s subjective belief state toward the pro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