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협력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 탐색

        박하나(Hana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5

        본 연구는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ChatGPT를 사용한 협력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팀 과제 수행 중 ChatGPT를 사용해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과정을 녹화하고 이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Henri(1992)의 상호작용 유형 이론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대상에 따른 상호작용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선행지식 수준과 AI 사용경험이 상이한 두 팀을 대상으로 인식연결망 분석 및 메시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동료 학습자와는 사회적, 반응적, 메타인지적 상호작용에서, ChatGPT와는 인지적 상호작용에서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선행지식과 AI 사용경험에 따라 상호작용 유형과 ChatGPT 사용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도구로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과 학습자의 선행지식과 숙련도에 따른 맞춤형 활용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teraction patterns in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ChatG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of Generative AI. For this study, the recorded video of the process of writing a scenario using ChatGPT was analyzed. Using Henris (1992) interaction-type framework, the frequency of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bject was analyzed. In addition, epistemic network analysis and message analysis were conducted on two teams with different levels of prior knowledge and AI use experience. As a result, it showed a high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ve and meta-cognitive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whereas it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cognitive interactions with ChatGPT. As a result, social, interactive, and meta-cognitive interactions were more frequent with colleagues, while cognitive interactions were more frequent with ChatGPT.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action types and use of ChatGPT according to the learners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in using AI.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GPT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support individualized learning according to learners prior knowledge and AI proficiency.

      • KCI등재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한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유형화 연구

        박하나(PARK, Hana),류다현(RYOO, Da-H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을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교수자 특성(연령, 교육경력, 직책)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편의표집된 수도권 A대학의 교수인 125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ulivariate analysis of varianc)을 실시하였다. 이후 교수역량의 유형화 분석을 위해 주어진 군집 수에서 군집 내 거리제곱합의 합을 최소화하여 k개의 군집으로 도출하는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역량 군집별 특성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과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교수역량을 진단한 결과, 교수역량 중 테크놀로지 활용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의 평균 4점대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교수 전체를 대상으로 집단 특성(연령, 교육경력, 직책)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교육경력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직책에서 학습상담만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Scheffé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가 외래교원보다 학습상담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교수역량을 4유형으로 유형화하였으며, 각 군집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천가’, ‘잠재적 실천가’, ‘불확실한 실천가’, ‘비활동적 실천가’로 명명하였다. 셋째,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교수역량 유형에 따른 교수자 특성(연령, 교육경력, 직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교육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직책에서 교수역량 중 학생상담만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Scheffé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가 외래교원보다 학습상담 역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직책에 따른 전반적인 교수역량의 추이에서 부교수가 조교수, 교수, 외래교원에 비해 모든 역량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역량 유형에 따른 집단에 대한 생애주기별 교육과정 운영전략 및 지원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특히, 교육경력별로 교수역량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연차에 따라 효과적인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경력 초기인 조교수 때부터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rofessor competencie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education career and position. Methods First, MANOVA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among 125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Secoend,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k clusters by minimizing the sum of the squares within the given number of clusters. Finall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ing competency cluster, ANOVA and Scheffé test were perform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using SPSS. Result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was 4 points except for technology utiliz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teaching career, and only learning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on. Assistant professors, associate professors, and professo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counseling than adjunct professors. Second, Four types were identified: practitioners, potential practitioners, uncertain practitioners, and inactive practitioners. Third, Analyzing instructor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career, position) by one-way ANOV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or competencies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career. However, in terms of overall professor competencies by position, associate professors showed higher levels in all competencies than assistant professors, professors, and adjunct profess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life cycle curriculum management strategies and support plans for groups according to professor competency types. Specially, as professor competencies differs according to education career, it is needed to cultivate effective professionalism from the early days of assistant professors.

      • 스칸디나비아 섬유예술의 특징에 관한 연구

        박하나(Park, Hana)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스칸디나비아는 지리적으로 북쪽에 위치하고 유럽의 변방에 고립되어 독특한 스타일을 나타낸다. 즉, 남북으로 넓게 펼쳐진 지형 때문에 나타나는 오로라, 백야 등의 자연현상은 이 지역의 특징이며, 자연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마음은 자연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생활에 되비추는 사람들의 정신으로 자리한다. 간결성과 소박성으로 대표되는 스칸디나비아의 스타일은 디자인·공예·예술 분야에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이것은 이 지역의 민족성에 바탕이 되며 수공예를 비롯한 전통에 녹아들어 척박함을 따뜻함으로 바꾸는 스칸디나비아의 섬유예술을 발달시켰다. 스칸디나비아 섬유예술은 특히 자연을 테마로 많이 차용한다. 그 바탕에는 파격이나 파괴가 아닌, ‘조화’와 ‘수용’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선행 작가 연구를 통해 스칸디나비아 섬유예술의 특징을 세 가지 측면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주제로서의 자연, 두 번째는 기법의 계승과 변형이며 마지막은 민속예술의 재해석이 주된 내용이다. 스칸디나비아 섬유예술의 기원과 특징에 대한 고찰은 동시대 스칸디나비아 섬유예술의 현 주소를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지역적 특수성에 의해 형성된 그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기회도 될 것이다. 또한 50년이 지난 지금에도 “스칸디나비아 스타일(Scandinavian style)”이라는 고유명사가 된 국가 경쟁력을 갖춘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Scandinavian region shows very unique geological features being isolated in northern area of Europe. Several natural phenomena like aurora, midnight sun etc, shown in the area are caused by its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 nature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people living there and they really love and respect the nature. Scandinavian design style represented by the brevity and simplicity naturally comes out in field of design, handicraft and art. This became the basis of local ethnicity and has developed Scandinavian textile art which can change infertility into warmness by melting into tradition including handicrafts. Usually, Scandinavian textile art borrows the theme of nature a lot. It is because "harmony" and "embracement", not "breakaway" or "destruction", indwell in its foundation. Three kinds of the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n textile art was found by study of leading artist. First is Mother Nature as a theme, second is succession of technique and the last is reinterpretation of the ethnicity. It will be helpful to study about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n textile art for searching for the location of contemporary one. Futhermore, it will be the opportunity to see there culture made b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finally, it is considered to be a good chance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Scandinavian design which has been national brand power ever since 50 years ago.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분석

        박하나 ( Park Hana ),진명화 ( Jin Myunghwa ),박지우 ( Park Jiu ),임규연 ( Lim Kyu Y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디지털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의 필수 역량 중 하나로, 각 국가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반영하여 균형 있고 충분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일랜드, 영국, 호주, 캐나다 5개 국가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각 국가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에 따라 구성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 역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에 영국과 캐나다에서는 디지털 윤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Tyler가 제시한 교육목표 유형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목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분석대상 5개 국가의 교육목표가 모두 정보 획득과 사고력 개발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igital litera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competency in modern society, and related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across the world. As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has gradually changed and expand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literacy curricula provide diverse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experience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digital literacy to derive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ive countries, South Korea, Ireland,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were selected for the curricular analysis.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a were analyzed regarding th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suggested by Tyl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digital literacy components vari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ach country. Specifically, computational think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and Ireland, while digital ethics accounted for the highest in England and Canada. Additionally,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biased towar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most countries.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 curriculum for digital literacy.

      • KCI등재
      • KCI등재
      • Management of Side Effects in HCV Patients with Antiviral Agents

        Hana Park(박하나) 한국간담췌외과학회 2014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4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has dramatically improved over the past decade. Unlike any other chronic viral infectio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can be cured. In addition, first generation protease inhibitors (boceprevir and telaprevir) in combination with PEG-IFN/RBV are a major advancement in the treatment of both naive and treatment-experienced genotype 1 patients. Despite these advances, side effects of treatment in HCV patients with antiviral agents are common. The management of the various side effect profiles is recognized as the challenging problems. This review describes the side effects of current standard therapy of pegylated interferon/ribavirin and new generation DAAs (boceprevir and telaprevir) and proper management of the complications in HCV patients with antiviral agents.

      • KCI등재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을 위한 논의 및 방안 탐색

        박하나 ( Hana Park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산업과 경제의 확대,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경제활동 증가, 사회과 경제 교과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 연계 필요성에 따라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경제 환경 변화와 특성, 소비자, 기업과 노동자, 정부, 시민공동체 등 경제행위자로서 필요한 능력과 역할을 살펴보는 등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이론적 논의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디지털 경제 시민성을 개념화하였으며, ‘개인과 집단이 디지털 경제에 참여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안전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하며, 시민으로서 비판적이고 책임감 있게 행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목표 및 디지털 경제 시민성의 세 가지 범주(디지털 경제의 안전과 웰빙, 디지털 경제에의 참여, 경제 정보/미디어 리터러시)를 도출하였다. 셋째,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구체적 주제 및 내용요소를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의 현장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교육 전문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서면검토 절차를 거쳤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경제 시민교육의 방향으로서 가치(자유, 자율, 신뢰, 존중, 연대, 정의)에 기반한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의 ‘디지털 기초 소양 교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디지털 리러터시 함양을 위한 사회과 경제 교과 연계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to link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social studies and economics subjects. To this end, theoretical discuss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examining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economy environment and the capabilities and roles required as economic actors such as consumers, companies, workers, governments, and civic communities. As a result, first,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was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of individuals and groups to safely and actively use digital technologies to participate in the digital economy and to act critically and responsibly as citizens’. Second, the goal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hree categorie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safety and well-being in the digital economy, participation in the digital economy, and economic information/media literacy) were derived. Third, specific topics and content elements of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oposed step by step. Lastly,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based on values (freedom, autonomy, trust, respect, solidarity, and justice) was suggested as a direction for digital economic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사유와 경험 이해: 학업중단 예방 정책에의 시사점

        박하나(Park, Hana),김성은(Kim, Sungeun),김현수(Kim, Hyeons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두는 복합적, 근본적 사유가 무엇이었는지, 그 과정에서 주변인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였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학업중단 예방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FGI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중단의 심층적 사유로서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진로 유형’에서는 고등학교 진학과정에서의 고민, 특성화고등학교 부적응, 전편입학 절차의 어려움의 경험을, ‘학업 유형’에서는 대학입시에 대한 부담, 자유로운 시간과 경험 추구를, ‘관계 영역’에서는 친구 및 교사와의 갈등 경험을 생생하게 드러냈다. 주변인 중 특히 상담(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학업중단 보호 역할을 하였으며, 위클래스와 대안교실은 ‘쉼과 완충지’의 공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학업중단숙려제를 신청하는 단계에서 이미 자퇴의 결심이 확고한 경우가 많아, 조기대응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학업중단 예방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 측면의 정책적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진로변경전입학제, 직업위탁교육, 중학생 대상 진로교육, 진로맞춤형 숙려제 프로그램, 계열 간 전편입학제). 둘째, 학업중단예방업무 인식 제고, 문제해결을 위한 개별맞춤형 접근을 위해서 소통 및 협의 기구(학업중단예방위원회) 강화가 필요하다. 그밖에 상담 체계 구축 및 인적 자원 확보, 상담의 질 관리 필요, 학업중단숙려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조기 발견 조기 대응 강화, 위클래스와 대안교실의 양적·질적 확장 등이 필요하다. 더불어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학교 만들기를 위해 고교학점제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fundamental reasons why adolescents drop out of school and how they interacted with others in the proces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10 out-of-school youth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GI. The results revealed the existence of three in-depth reasons for dropping out, which are ‘Career’, ‘Academic, and ‘Relationship’ reasons. In each area, these experiences were seen and expressed very vividly. In particular, interactions with the counselor played a role in protecting students from dropping out. Moreover, Weclass and the alternative classroom had the effect of creating a form of ‘rest and buffer’ spac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dropout prevention policies were drawn as follows. Career support, appropriate organization & policy committees, a counseling system and an early warning and early response mechanism are clearly needed. Additionally, the WeClass and alternative classroom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youths at risk of dropping out of school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