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연구

        박진경,김유승,Park, Jinkyung,Kim, You-se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현존하는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적극적 이용자 참여와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을 살피고, 사례연구를 통해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사례는 일반, 참여, 정책, 서비스 영역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 속성으로 운영 주체, 지속 기간, 수집 주체, 기술을 살펴보았다. 기술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종류, Open API 제공 여부, 모바일 웹 제공 여부, 오프라인 아카이브 보유 여부로 다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방식은 이용자 참여도에 따라 적극적 참여, 허브 방식 참여, 소극적 참여로 구분하고, 각 아카이브가 제공하는 참여 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정책 영역에서는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저작권 정책, 수집정책의 보유 여부와 각 아카이브의 주요 수집물, 수집 범주, 분류 방식, 기술 요소를 논하였다. 서비스는 콘텐츠, 검색, 커뮤니케이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는 참여, 정책, 콘텐츠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lternative strategies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participatory archives. It focuses on user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digital archives beyond providing simple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doing so, the study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that analyzes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Moreover, it examined several cases of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as to how they apply for user participation, policy, and service. As a general property, main participants, duration, and technology were examined. Technology was further subdivided into open source software, availability of Open API, availability of mobile web, and offline archives. Participation method was divided into active participation, hub participation, and passive participation according to degree of user participation, and the participation functions provided by each archive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policy area, terms of us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policy, copyright policy, collection policy, major collections, scope of collections, classification methods, and descriptive elements of each archive were discussed. Services were divided into content, search, and communication area.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ways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in terms of participation, policy, content service, and communication service.

      • KCI등재

        지방 SOC의 지역생산성 효과분석

        박진경(Jinkyung Par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wo types of regional productivity chang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gional infrastructure in regional economy. Two types of regional productivity are one with ignoring accidents (M productivity) and the other with considering of accidents (ML productivity). In order to estimate productivit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Directional Distance Function (DDF) designed to treat good output,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bad output, accidents costs. Also, this paper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ional infrastructure in productivity growth using Tobit regression model. Firstly, The results from 13 regions except Seoul City and Kyeonggi Province over period of 2006 to 2013 show that on the average, the efficiency of the 13 regions is 13.0% with considering accidents costs. Also, productivity increased regardless of accidents costs over time and the ML productivity is a little higher than M productivity, which means that most regions experienced more of a reduction ratio of accident costs than a reduction ratio of inputs. Secondly, when regional infrastructure increases, regional inefficiencies are tend to be reduc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accident costs considered and influences of local management roads are found to vary from region to region. In addition, the local management roads rather than centralized management roads appear to affect more significantly to the regional economy.

      • KCI등재
      • KCI등재

        타소에 나타난 아리오스토

        박진경(Park, Jin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7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와 타소의 『해방된 예루살렘』은 두 작품 모두 중세 기사들의 이야기를 노래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본 연구는 아리오스토의 것을 모방한 듯한 타소의 인물상과 사건들 가운데, ‘여인의 도주’라는 공통 소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슬람 국가의 공주 에르미니아는 『해방된 예루살렘』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 등장인물로, 그리스도교 진영의 영웅 기사 탄크레디를 사랑하게 되면서 그녀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탄크레디를 만나러 가기 위한 그녀의 여러 행보들 가운데 그리스도교 진영의 기사들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으며 쫓기게 되는 상황이 벌어지는데, 이 사건은 ‘여인의 도주’라는 소재는 물론, 사건의 발단부터 과정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면에서 아리오스토의 안젤리카의 도주를 떠오르게 한다. 안젤리카와 에르미니아의 도주는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유사점을 보이지만, 타소는 아리오스토로부터 모방한 요소들이 자신의 작품 속에 완전히 녹아들 수 있도록 섬세한 차별화를 이뤄낸다. 두 사건의 발단이 된 소재인 Fortuna와 fortuna의 의미와 그 역할의 차이라든지, 도주하는 여인의 모습을 묘사하기 위한 비유 대상의 차별화 등이 그 예이고, 무엇보다 타소의 글쓰기 특징 중에 하나인 등장인물의 심오한 심리 묘사는 사랑으로 고통 받는 에르미니아의 번뇌를 탁월하게 표현해 준다. 이러한 것들이 바로 『해방된 예루살렘』을 단순히 『광란의 오를란도』의 모방작일 뿐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Although both tell stories of medieval knights Ariosto’s Orlando Furioso and Tasso’s Gerusalemme Liberata differ in significant ways.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ose storylines where Tasso appears to have imitated Ariosto, endeavors to single out and deal with a theme common to both authors, i.e. two episodes where we encounter female characters on the run. The Muslim Princess Erminia’s story begins when she falls in love with the heroic Christian knight Tancredi. In an attempt to reach him she almost gets caught by her enemies (i.e. the Christian knights) and ends up fleeing for her life. This scene calls to mind Angelica’s escape as described by Ariosto not only because there also appears a woman on the run, but also because of the way the action starts and develops. Several similarities between Erminia’s and Angelica’s escapes were detected under several aspects. However, Tasso managed to modify Ariosto’s material so as to make it consistent with his own work. For instance, Ariosto’s concept of fortuna is a contrast to Tasso’s fortuna, and the two concepts play different roles in the two works, even though both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escape. Furthermore, the figures of the two women on the run are described using different metaphors. Especially Tasso, through his technique of psychological description, has fully succeeded in rendering Erminia’s torment and painful love. Such outstanding achievements of Tasso testify against the opinion according to which Gerusalemme Liberata would be nothing but an imitation of Orlando Furioso.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와 타소의 『해방된 예루살렘』은 두 작품 모두 중세 기사들의 이야기를 노래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본 연구는 아리오스토의 것을 모방한 듯한 타소의 인물상과 사건들 가운데, ‘여인의 도주’라는 공통 소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슬람 국가의 공주 에르미니아는 『해방된 예루살렘』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 등장인물로, 그리스도교 진영의 영웅 기사 탄크레디를 사랑하게 되면서 그녀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탄크레디를 만나러 가기 위한 그녀의 여러 행보들 가운데 그리스도교 진영의 기사들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으며 쫓기게 되는 상황이 벌어지는데, 이 사건은 ‘여인의 도주’라는 소재는 물론, 사건의 발단부터 과정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면에서 아리오스토의 안젤리카의 도주를 떠오르게 한다. 안젤리카와 에르미니아의 도주는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유사점을 보이지만, 타소는 아리오스토로부터 모방한 요소들이 자신의 작품 속에 완전히 녹아들 수 있도록 섬세한 차별화를 이뤄낸다. 두 사건의 발단이 된 소재인 Fortuna와 fortuna의 의미와 그 역할의 차이라든지, 도주하는 여인의 모습을 묘사하기 위한 비유 대상의 차별화 등이 그 예이고, 무엇보다 타소의 글쓰기 특징 중에 하나인 등장인물의 심오한 심리 묘사는 사랑으로 고통 받는 에르미니아의 번뇌를 탁월하게 표현해 준다. 이러한 것들이 바로 『해방된 예루살렘』을 단순히 『광란의 오를란도』의 모방작일 뿐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Although both tell stories of medieval knights Ariosto’s Orlando Furioso and Tasso’s Gerusalemme Liberata differ in significant ways.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ose storylines where Tasso appears to have imitated Ariosto, endeavors to single out and deal with a theme common to both authors, i.e. two episodes where we encounter female characters on the run. The Muslim Princess Erminia’s story begins when she falls in love with the heroic Christian knight Tancredi. In an attempt to reach him she almost gets caught by her enemies (i.e. the Christian knights) and ends up fleeing for her life. This scene calls to mind Angelica’s escape as described by Ariosto not only because there also appears a woman on the run, but also because of the way the action starts and develops. Several similarities between Erminia’s and Angelica’s escapes were detected under several aspects. However, Tasso managed to modify Ariosto’s material so as to make it consistent with his own work. For instance, Ariosto’s concept of fortuna is a contrast to Tasso’s fortuna, and the two concepts play different roles in the two works, even though both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escape. Furthermore, the figures of the two women on the run are described using different metaphors. Especially Tasso, through his technique of psychological description, has fully succeeded in rendering Erminia’s torment and painful love. Such outstanding achievements of Tasso testify against the opinion according to which Gerusalemme Liberata would be nothing but an imitation of Orlando Furioso.

      • KCI등재

        자연인 아리오스토의 시각으로 바라본 궁정인의 삶 : 「풍자시 I」 연구를 중심으로

        박진경(Park, Jin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80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시작된 아리오스토의 궁정인으로서의 삶은 1517년 그의 후원자인 이폴리토 추기경이 헝가리로 교구를 옮기게 되면서 일단락된다. 추기경은 아리오스토에게 헝가리로 함께 갈 것을 제안했지만 시인은 건강상의 문제를 핑계로 거절한다. 그렇게 15년 만에 자연인의 삶으로 되돌아오게 된 아리오스토는 첫 번째 풍자시 「풍자시 I」를 집필한다. 「풍자시 I」는 이폴리토 추기경의 제안을 거절한 이유에 대한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들로 시작된다. 건강상의 문제를 비롯하여 노모의 부양 문제 등을 거론하지만, 사실 그보다 더 결정적인 이유는 이폴리토 추기경의 부당한 처우에 관한 문제와 궁정인의 삶에 대한 작가의 회의적인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아리오스토가 「풍자시 I」에서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는 이폴리토 추기경은 권위적이고 세속적으로 변한 당대의 예술 후원 문화의 폐단을 단적으로 드러내 주는 대표성을 띤 인물로 이해할 수 있다. 예술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조예가 바탕이 되어 엘리트 예술가들에게 자유로운 창작의 장을 열어주고자 했던 궁정의 전통적인 예술 후원 문화는 어느 순간부터 예술가들의 재능을 실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세속적인 목적으로 변질되어 갔고, 후원금의 진정한 의미 또한 점차 퇴색되면서 예술가는 후원자의 경제적인 속박 속에 자유로운 예술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었다. 이처럼 아리오스토가 경험한 당대의 궁정 문화에는 더 이상 진정한 의미의 패트런도, 진정한 의미의 예술가도 존재하지 않았다. 속박된 궁정인의 삶에 마침표를 찍고 마침내 자유를 되찾은 아리오스토는 그동안 묵인할 수밖에 없었던 궁정인의 삶과 궁정 문화에 대한 내면의 소리를 서간문 형태의 풍자시 속에 재치 있게, 때로는 신랄하게 담아냈다. 다분히 자전적인 이야기로 운을 뗀 아리오스토의 첫 번째 풍자시는 결국 16세기 궁정의 예술 후원 문화의 실태를 고발하기에 이른다. In the first Satire, Ariosto narrates his contrasts with the Cardinal, who had asked to be escorted to Hungary. The writer refused to follow his patron although he is well aware of the risks that every courtier runs when he opposes the demands of his master. Ariosto explains the reasons why he decided not to leave. Ariosto’s Satire thus starts with an autobiographical note and then extends to a socio-cultural reflection on the reality of sixteenth-century courts. The quarrel with Cardinal Ippolito d’Este offers the author an opportunity to compose the first of his seven Satires, which make use of personal biographical cues to reflect on issues concerning the society of his time and human relations in general. In this case, the topics are court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ful and the subdued, as well as between power and literature. The theme that Ariosto wanted to expose is, in short, the absence of a true patron in his tim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여말선초(麗末鮮初) 이후 동경(銅鏡)의 장의적(葬儀的) 용도와 의미

        박진경(JinKyung Park) 한국중세고고학회 2021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0

        조선시대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동경이 복완(服玩)으로 흉례 때 사용되었던 사례를 살피고 무덤 속에 부장된 동경의 장의적 의미를 고찰한 글이다. 주로 상장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전례서(典禮書)와 함께 국상을 치르기 위해 세워졌던 흉례도감에서 의례를 진행하고 남긴 여러 의궤를 통해 나름 상세한 내용을 살필 수 있다. 먼저, 조선 전기부터 시작해 조선 말까지 상장례와 관련한 의례용품으로 동경이 제작 및 준비되었던 상황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실제 사용했던 동경을 부장품으로 활용하기도 했지만, 원경(圓鏡) 또는 병경(柄鏡)으로 지름 7.2cm 정도로 제작해 명기처럼 크기를 줄여 소형으로 경갑(鏡匣), 경대(鏡臺)와 함께 준비되었다. 고대부터 매납해왔던 동경의 장의적 성격이 조선에 들어와 체계적으로 제도화되었던 상황을 보여준다. 둘째, 여말선초 이후 분묘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소형경(小形鏡)에 대해서도 살필 수 있었다. 주로 원경, 병경의 형태로 문양이 없는 무문이거나 범자문으로 장식되었고, 때로는 소형의 백자 명기와 함께 출토되어 유교적 상장례에 따라 동경을 매납했던 풍습이 확인되었다. 이는 여말선초 이후 유교적인 상장례의 시대적 흐름과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호부용의 기능과 더불어 소형경의 제작과 확산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로 볼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 문헌에서 동경은 유교적인 사후 세계관을 상징하는 기물로 거론되었다. 마치 무덤 속에 피장자와 함께 금속으로 만든 동경을 매납함으로써 땅 속에 있는 육체가 백(魄), 귀(鬼)와 함께 사후세계로 돌아가는 것으로 상징되었다. 이러한 기록 속 동경에 관한 인식은 장의적 성격과 의미가 전통적으로 강했던 이유를 설명해준다. It is noteworthy that the specific contents of bronze mirrors used as Daily Goods(服玩) in the tomb can be seen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They are mainly about funeral rites and can be examined through the documents left by hyungryedogam(凶禮都監) which were established to perform royal funerals in the Joseon Dynasty and books on the national rites(國家典禮). It shows the aspect that the funeral character of mirrors was systematically institutionalized. First, the detailed contents that were prepared by making bronze mirrors as a Daily Goods (服玩) ceremonial goods for the royal funeral rites can be seen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19th century. The shape of the mirror had changed from circular to handle-mounted, but the diameter of the mirror is about 7.2 cm, both identical. The diameter of the mirror was smaller than that actually used, and it was prepared as a concept of miniature item for the burial ritual, and sometimes used what was actually used when it was alive. Second, small mirrors excavated around the tombs of Joseon were also considered. They were understood as products reflecting the flow and influence of Confucian funerals since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Also, such the small mirrors was excavated with small white porcelain miniatures, ritually made to be buried in the tomb, and clearly shows the Confucian funeral ceremony. Third, mirrors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ere mentioned as objects symbolizing the Confucian view of life after death. The act of burying a metal mirror in a tomb with a body might mean to return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order and order of nature with the mirror corresponding Beak(魄) and Gui(鬼).

      • KCI등재

        S2S 멀티 모델 앙상블을 이용한 북극 해빙 면적의 예측성

        박진경(Jinkyung Park),강현석(Hyun-Suk Kang),현유경(Yu-Kyung Hyun),Tetsuo Nakazawa 한국기상학회 2018 대기 Vol.28 No.1

        Sea 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surface conditions at high and mid-latitudes. It reacts rapidly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a good indicator for capturing these changes from the Arctic climate. While many models have been used to study the predictability of climate variables, their performance in predicting sea ice was not well assessed. This study examines the predictability of the Arctic sea ice extent from ensemble prediction systems. The analysis is focused on verification of predictability in each model compared to the observation and prediction in particular, on lead time in Sub-seasonal to Seasonal (S2S) scales. The S2S database now provides quasi-real time ensemble forecasts and hindcasts up to about 60 days from 11 centers: BoM, CMA, ECCC, ECMWF, HMCR, ISAC-CNR, JMA, KMA, Meteo France, NCEP and UKMO. For multi model comparison, only models coupled with sea ice model were selected. Predictability is quantified by the climatology, bias, trends and correlation skill score computed from hindcasts over the period 1999 to 2009. Most of models are able to reproduce characteristics of the sea ice, but they have bias with seasonal dependence and lead time. All models show decreasing sea ice extent trends with a maximum magnitude in warm season. The Arctic sea ice extent can be skillfully predicted up 6 weeks ahead in S2S scales. But trend-independent skill is smal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lead time over 6 weeks only in sum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