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책 읽어주기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주현,박경희,이명규,Park, Ju-Hyeon,Park, Kyung-Hee,Lee, Myoung-Gy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2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3~5학년 학생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7개의 시 도, 10개의 초등학교에서 10개의 모둠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참여 학교의 특정 학년의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주1회, 60분씩, 총13회에 걸쳐 모둠별로 선정한 5권의 책을 읽어주었고 그 효과를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태도의 하위 영역인 인지, 행동, 정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에게 책 읽어주기와 같은 즐거운 독서 경험을 제공하는 독서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ading aloud has good influence on students from $3^{rd}$ to $5^{th}$ grade to improve their reading attitude and self-esteem. For performing the study, the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children of 10 groups in 10 elementary schools from 7 regions, while the control group is made up the class of certain grade in participation school.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are respectively read 5 books assigned from each group on total 13 times-for 60 minutes once a week. For measuring the reading attitude and self-esteem of students, we use modified questionnaires. The result in here statistically presents reading aloud activity have a meaningful effect to improve the overall reading attitude which includes subordinate areas such as awareness, behavior, emotional area of elementary students. Also, this activity gives elementary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to develop their self-esteem, but it does not mean statistically except self-esteem of social-peers. As a result, the reading aloud activity provides the schoolchild with enjoyable reading experience.

      • KCI등재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주현,홍현진,Park, Ju-Hyeon,Hong, Hyun-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1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고 학교도서관 문제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은 공교육 시설로서 단위학교의 교육목표로부터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달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이 학교도서관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학교도서관교육을 위한 컨설팅 장학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7개의 구성요소로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였고, 시 도교육청 평가, 학교평가, 학교도서관평가 영역과 지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6개의 평가영역과 72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기관은 자관 교육목표에 따라 제시된 평가지표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컨설팅 장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Individual School library should contribute from school educational objectives to national level educational objectives. When school libraries have accountability, consulting supervision and evaluation for the school library education is needed.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even components.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is proposed with seventy-two indicators in six categories. Results of the evaluation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consulting supervision.

      • KCI등재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박주현,Park, Ju-H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suggestions needed to measure reading attitude by obtaining the tacit knowledge. For this, a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eacher librarian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and Teachers divided standard and attribute for assessing reading attitudes as student's ability, personality and behavioral aspects towards reading. Stude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reading and accepted a pleasant feeling of reading. However, group of students with low reading skill recognized reading as an academic purpose as compared to other student groups and expressed a negative feeling on reading. Peer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were recognized as figures who make an impact on reading by students and further considered the subject, content and physical attribute of book as important factors. Teachers recognized reading attitude as a concept on attitude about book and book reading. Further they mentioned reading environment, interests, habits, books, and experience as factors affect reading attitude.

      • KCI등재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박주현,이명규,Park, Ju-Hyeon,Lee, Myoung-Gy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attitude toward reading. For that the concept and factors of reading attitude were examined and the preceding reading attitude models were critically studied to propose the new reading attitude model. The reading attitude model is consisted of three component named reading environment domain, reader domain and reading domain.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attitude toward reading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posed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check and measure the reading attitude in various aspects by dividing reading attitudes into cognition, affect and intention factors. Second, It reinforced the logicality on the construct of reading attitude by dividing behavioral factor of reading attitude into the intention and the behavior. Third, This Model reflected the importance of book with text by specifying physical books and reading a book in the model. Fourth, this model theoretically proposes the potential for change of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 by suggesting cognitive and affective schema from reading experience. Fifth, the developed reading attitude model helps to understand the form and process of reading attitude by presenting impact of reading environment and stimulation derived from reading environment on reader and reader's reading behavior and affective relation on feedback.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서태도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선행 독서태도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새로운 독서태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크게 독서환경 변인, 독자 변인 및 독서행동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독서태도 모델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지로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독서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둘째, 독서태도의 행동적 요인을 행동의지와 몸짓으로 드러나는 독서행동으로 구분하여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논리성을 강화시켰다. 셋째, 독서태도의 대상으로 물리적인 책(텍스트)과 책읽기를 모델에 명시화하여 책의 중요성을 독서태도 모델에 반영하였다. 넷째, 독서경험을 통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스키마를 제공하여 독서태도와 독서행동의 변화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독서환경과 독서환경으로부터 유발된 자극이 독자와 독자의 독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피드백 되는지에 관한 영향 관계가 제시되어 독서태도의 형성과 작동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문화재 보존 및 복원에 사용되는 천연 광물성안료의 물성평가 - 석청(石靑)중심으로

        박주현,정혜영,고인희,정서린,조아현,Park, Ju-Hyun,Jeong, Hye-Yeong,Go, In-Hee,Jeong, Sir-Lin,Jo, A-Hyeon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保存科學硏究 Vol.36 No.-

        문화재 수리, 복원재료 및 회화용으로 사용되는 천연광물성 무기안료인 석청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청색계열의 안료(KA-한국, JA, JB, JC-일본, CA, CB, CC-중국)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앞서 XRD, XRF분석을 통하여 안료의 결정구조 및 조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안료는 Azurite가 주원료임이 확인되었다. 조성물을 확인한 안료는 입도, 색도, 비중, 흡유량 등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입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안료는 입도가 작아짐에 따라 명도는 커지고, 청색도는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특성이 있으며, KA가 안료번호에 따라 가장 잘 분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중은 입자크기가 커질수록 커지고, 흡유량은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커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안료의 기초적인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문화재 수리, 복원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roperties of natural mineral pigments used in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For this study blue-based pigments that are sold in market were selected. The component analysis using by XRF and XRD shows that blue pigment consist of Azurite. And each specimens were evaluated particle size, chromaticity, specific gravity and oil-absorption according to rating system of pigments particle siz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of L* increase with the decrease in particle siz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which is specific gravity, oil-absorption and chromaticity depend on the particle sizes of pigments. When it comes to particle size of pigment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chromaticity related to particle size. The result from this study expects to be used as useful referencing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understanding phenomena of the properties according to various particle size of Seokcheong pigment.

      • KCI등재

        스타형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화 및 술폰화

        박주현,김진봉,양갑승,이무성,Park, Ju-Hyeon,Kim, Jin-Bong,Yang, Kap-Seung,Lee, Moo-Sung 한국섬유공학회 200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4 No.3

        매트릭스가 폴리스티렌이고 분산상이 폴리부타디엔인 스타형 블록공중합체의 물성을 개선하고 고분자 전해질의 매트릭스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타형 폴리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화/술폰화 개질 실험을 행하였고,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수소화제로 p-toluenesulfonylhydrazide/tri-n-propyl amine을 사용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수소화 반응 속도의 변화로부터 구한 스타형 SB 공중합체의 수소화 반응 활성화 에너지는 89kJ/mol이었다. 2. 수소화 반응에 의해 부타디엔 단위가 지방족 탄화수소로 변화되어 분산상인 PB 영역의 유리전이온도가 $50^{\circ}C$ 정도 증가하였으나, 열안정성은 다소 감소하였다. 3. 수소화된 SB(H-SB)를 acetyl sulfate를 사용하여 술폰화한 결과, $65^{\circ}C$의 반응온도에서 60분 이상 반응시키면 한계 술폰화 정도에 도달하며, 술폰화제이 양이 증가할수록 술폰화 정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계 술폰화제의 양을 넘어서면 불용의 전해질이 얻어진다. 4. 술폰화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화함수율과 이온전도도 모두 증가하며, 23 mol% 정도 술폰화된 경우 함수율과 이온전도도는 각각 18%, $1.6{\times}10^{-3}S/cm$이었다. Hydrogenation and sulfonation of a star-type styrene-butadiene copolymer (SB), in which styrene domain is matrix,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polymer electrolyte. Mixtures of ${\rho}-toluenesulfonylhydrazide$ and tri-n-propyl amine and acetyl sulfate were used as hydrogenating and sulfonating agents, respectively. Activation energy for the hydrogenation of SB was 89 kJ/mol. The degree of sulfonation in hydrogenated SB (H-SB) was dependent on the reaction time and the amount of acetyl sulfate. After 60 min at $65^{\circ}C$, the degree of sulfonation does not change further and insoluble products were also obtained above 40 mol% of the degree of sulfonation. Both the water uptake and proton conductivity of sulfonated H-SB (SH-SB) were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sulfonation. For the SH-SB with 23 mol% of sulfonic acid moiety, ionic conductivity was $1.6{\times}10^{-3}S/cm$.

      • KCI우수등재

        도시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 쾌적성 증대를 위한 효율적 가로녹지 조성방안 연구 - 계획 및 설계를 위한 매개변수 도출과 녹지조성 방법 제안을 중심으로 -

        박주현,엄정희,Park, Ju-Hyeon,Eum, Jeong-Hee 한국조경학회 2024 韓國造景學會誌 Vol.52 No.2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efficient street green area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and enhance pedestrian thermal comfort.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d parameters applicable to green space planning and design, analyzed thermal environment mitigation mechanisms for each parameter, and, based on these findings, proposed methods for tree species selection and planting in green space planning and design. To achieve this, 61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a four-stage process from both domestic and foreign source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derived: In open street canyons with high stress levels due to low aspect ratios and high sky view factors(SVF), broadleaf trees with wide crown widths, low trunk heights, high leaf area index(LAI), and high crown heights were found effective in reducing heat,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and quality of shade. In contrast, in deep and narrow street canyons with relatively low heat stress due to high aspect ratios and low SVF, broad-leaved trees with narrow crown widths, high trunks, low crown heights, and low LAI were effective in reducing heat by enhancing ventilation. This study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street green spaces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of street canyons and enhance thermal comfort of pedestrians. Additionally, it can be valuable when selecting the location and prioritizing street green spaces. Moreover, it is anticipated to be a foundational resource for creating guidelines for green space planning and desig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아동의 독서태도 검사도구 개발

        박주현,Park, Ju-H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이 연구는 아동의 독서태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선행 독서태도 검사 도구, 독서태도 모델과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를 토대로 구성요인을 설정하고 문항을 작성하였다.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차와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서태도 검사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개의 구성요인에서 8개의 하위요인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8개의 요인은 전체변량의 66.29%를 설명하였다. 문항내적 상관계수 r값은 모든 문항에서 0.4이상으로 나타났고, 독서태도 검사도구의 Cronbach ${\alpha}$값이 0.950으로 나타나 개발된 독서태도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지, 정서, 행동의지를 독서태도 구성요인으로 하고 독서효용성과 독서효능감, 여가, 자극, 몰입, 표현, 학습, 적극성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독서태도 검사도구는 아동의 독서태도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검사하기에 유용한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st tool that can be measured in various aspects for the reading attitudes of children. For that it was set the configuration based on the preceding reading attitude survey and models and tacit knowledge of attitude toward reading and wrote the questions for reading attitudes. It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8 factors of the reading attitudes measurement tool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 described 66.29% of total variable. the r-value for inter-item consistency about reading attitudes were above 0.4 on all questions. The Cronbach ${\alpha}$-value of reliability coefficient about reading attitudes measurement tool was 0.950. Therefore Reading attitude test tool have reading usefulness, reading efficacy, leisure, stiumulation, flow, expression, study, assertiveness as sub factors of reading attitude has been shown that it can serve as a useful tool for measuring various aspects of the reading attitude for children.

      •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및 관련계획과의 연계방안 마련

        박주현 ( Ju-hyeon Park ),엄정희 ( Jeong-hee Eum ),손정민 ( Jeong-mi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최근 국내외적으로 미세먼지 증가, 폭염 및 열대야 현상 등의 도시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미기후 문제는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높은 밀도의 토지이용과 공간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교외지역과 비교하여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도시구조와 공원 및 녹지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 그리고 산림계획 전반에 걸쳐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개념이 ‘바람길’이다. 산림청에서는 2019년부터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추가적으로 시행하게 될 8개 도시를 포함하여 총 25개 도시에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 및 환경부에서도 바람길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관련계획 및 법ㆍ제도가 이미 운영되고 있으며, 실효성 증진을 위해 법·제도적 바탕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바람길 및 바람길숲에 대한 세부내용 및 법ㆍ제도적 근거가 정립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바람길숲 조성사업의 추진은 물론 공간 및 환경계획 수립 시 바람길을 고려한 계획 작성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내용적 정립 및 법ㆍ제도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과 관련된 주요 법ㆍ제도를 검토하여 각 부처별로 바람길의 개념이 기존의 법ㆍ제도 내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바람길 및 바람길숲과 관련 법ㆍ제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바람길숲의 실효성 있는 도입을 위한 제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2년 3월 기준으로 시행중인 법령, 행정규칙, 자치법규를 대상으로 바람길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법ㆍ제도를 살펴보고자 바람길 개념과 관련된 키워드(바람길, 바람유동, 바람통로, 열섬현상 등)를 중심으로 국가법령정보센터(http://law.go.kr)을 이용하여 관련 법ㆍ제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국토교통부, 환경부, 산림청 소관의 법ㆍ제도를 중심으로 바람길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법ㆍ제도를 검토하여 바람길과 해당 법ㆍ제도와의 관계 및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바람길숲 활성화 및 관련 계획과의 연계를 위한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국토부 관련계획 및 법률 내에서 바람길 관련 주요 쟁점을 살펴보면 크게 2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토 관련 계획 수립 시 바람길 및 바람길숲 개념의 도입은 도시 공간구조의 설정, 토지이용계획, 공원 및 녹지계획 수립 시보다 합리적인 계획안 도출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관련 법ㆍ제도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계획을 수립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바람길의 개념을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이를 강제할 수 있는 법ㆍ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바람길숲의 개념을 공간계획 수립 시 반영하기 위해서는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모든 결과물을 공간환경계획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요 공간계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바람길 관련 기초자료의 항목 도출이 요구되며, 이렇게 도출된 항목은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항목으로 법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환경부 관련계획 및 법률 내에서 바람길 관련 주요 쟁점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환경계획 수립 시 생태축의 설정 및 보전지역 설정, 기후환경지도 작성 등에 바람길 및 바람길숲 개념을 반영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법ㆍ제도의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바람길숲에 대한 공간환경계획은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도시기후지도’와 연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바람길숲의 개념이 지자체 환경보전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법ㆍ제도의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환경부의 기초데이터와 여러 가지 환경지도 및 공간환경계획은 향후 「바람길숲 기본계획」작성 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작성된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공간환경지도 역시 환경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자료의 규격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아이러니하게도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산림청 소관의 법률에는 바람길, 바람통로 등의 바람길의 개념과 관련된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법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수립된 산림청 상위계획 중 하나인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2037)」과 「제2차 도시림기본계획(2018~2027)」에서 바람길 및 바람길숲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으며, 계획의 주요과제로서 이에 대한 관련 규정 및 지침 마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산림청에서는 「제2차 도시림기본계획」과 바람길숲 조성사업 등을 통해 바람길숲의 조속한 현황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법ㆍ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지 않아 추후 지자체에서 작성될 「도시숲등 조성ㆍ관리계획」에 바람길숲에 대한 내용이 구체화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산림 관련 계획 및 법률에서의 바람길 관련 주요쟁점은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바람길숲의 실행화를 위해서는 바람길숲의 용어 정립 및 명확한 유형화가 필요하며, 이를 법ㆍ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화가 필요하다. 용어의 정립은 관련계획간 연계를 위해서도 선행되어야 할 필수요소이다. 둘째,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법적 근거 마련이 요구되며, 더불어 기존계획과의 위계 정립,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과의 연계 방안 검토 등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성격과 지위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 25개 도시에서 ‘도시바람길숲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관련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 등이 마련되지 각 지제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람길숲 조성에 우선되는 「바람길숲 기본계획」수립에 대한 수립지침이 필요하며, 바람길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작성이 요구된다. 넷째, 국토부 및 환경부 관련 법제도와의 연계를 위해서는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모든 결과물을 공간환경계획화 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와 관련된 법·제도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바람길숲 활성화를 및 관련계획과의 연계를 위한 제도화 방안은 크게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과 관련계 획과의 연계방안 마련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먼저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는 크게 4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용어의 정립 및 법·제도적 근거 마련 방안으로는 바람길숲에 대한 법적 용어 정립과 함께 바람길숲 유형 및 그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을 제안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바람길숲 기본계획 수립지침’을 통해 법·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둘째, 「바람길숲 기본 계획」의 위계 및 법적 근거 마련 방안을 제안하였다.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위계는「도시숲등 조성·관리계획」의 기능별 도시숲 조성 및 육성에 관한 계획 중 하나로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세부계획으로도 수립될 수 있다. 또한 「바람길숲 기본계획」은 도시숲법 시행규칙 제3조(도시숲등의 기능구분)의 내용 중 ‘기후보호형 도시숲’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하여 「바람길숲 기본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근거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 ‘기후보형 도시숲’의 정의에 기존 법·제도에서 사용되고 있거나 쉽게 연계가능한 용어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된되며, 이를 위해 도시숲법 시행규칙 제3조(도시숲등 기능구분)에 관련 내용을 보완하였다. 셋째, 「바람길숲 기본계획」작성 시 구축될 자료의 공간환경계획화에 대한 법·제도적 근거 마련 방안은 ‘바람길숲 기본계획 수립지침’ 중 계획수립의 기본 원칙의 내용으로서 제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구축된 공간환경계획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관련 공간 및 환경계획 작성 시 요구되는 기초 자료 항목에 대한 연구 및 제도화가 요구된다. 넷째, 바람길 숲 활성화를 위해 ‘바람길숲 기본계획 수립지침’ 및 ‘바람길 숲 조성·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과 함께 포함되어야 할 내용에 대해 제안하였다. 「바람길숲 기본계획」과 부처별 관련계획과의 연계방안 마련은 먼저 부처별 관련계획 간의 연계방향의 틀을 제시하였으며, 그 틀을 바탕으로 계획단계별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부처별 관련계획간 연계방향의 틀을 살펴보면, 환경계획과 「바람길숲 기본계획」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면서 기초데이터의 현황 및 구축된 자료를 공유·보완하는 관계로 정의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국토계획의 경우는 환경계획 및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결과로 구축된 공간환경계획을 활용하여 합리적인 계획안을 수립하는, 데이터 제공과 활용의 관계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계획단계별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과의 연계 방안에서는 계획의 단계를 조사단계, 작성단계, 평가단계, 실행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여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의 경우 바람길 관련 자료가 활용될 수 있는 계획 및 평가의 목록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시했으며, 이와 더불어 「바람길숲 기본계획」에서 구축된 자료 중 관련계획 및 평가 작성 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목록을 계획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바람길숲 기본계획」에서 작성된 공간환경자료가 각 단계별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도시 및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바람길숲 조성과 관련하여 바람길숲의 실효성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바람길숲 관련 법ㆍ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제도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바람길숲 조성과 관련하여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바람길숲 기본계획」과 부처별 관련계획 간의 연계방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