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사천 수계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박종식,정정조,윤양호,Park, Jong Sick,Cheong, Cheong-Jo,Yoon, Yang H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We analyz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Isa Stream systems (ISS) from Sangsa Lake to Suncheon Bay. Sangsa Lake showed relatively oligotrophic and mesotrophic conditions, but the freshwater and mixed brackish water zones showed more severe eutrophication than Sangsa Lake and Suncheon Bay due to the influence of industrial waste such as livestock waste. In term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the number of phytoplankton species was higher in freshwater and mixed brackish water zones than in Sangsa Lake and Suncheon Bay, but the cell density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s (Chl-a) were relatively high in Sanga Lake and Suncheon Bay. In particular, the mesotrophic species Fragilaria crotonensis and Asterionella formosa showed different dominance i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and the influence of A. formosa was significant in the freshwater and mixed brackish water zones in spring and summer. However, Skeletonema costatum-ls, a eutrophic indicator species, dominated in mixed brackish water zones to seawater in autumn and winter. Thus, the severe eutrophication and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ISS could seriously damage the coastal ecosystem in Suncheon Bay. These ecosystem changes are threatening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UNESCO Suncheon Biosphere Reserve and Yeoja Bay including Suncheon Bay, which recorded the first Ramsar wetland in Korea.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an in-depth management plan. 상사호에서 순천만까지 짧은 수역 특성을 나타내는 이사천 수계(Isa Stream systems)의 수질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상사호는 상대적으로 빈영양 및 중영양 조건을 나타내지만, 순천만에 이루는 담수역과 기수역은 축산폐수 등 산업폐수의 영향으로 상사호 및 해수역보다 극심한 부영양상태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상사호와 순천만보다 담수역 및 기수역에서 출현 종수가 높았지만, 현존량 및 엽록소 a 농도는 상사호와 해수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봄과 여름 상사호는 중영양종인 Fragilaria crotonensis와 Asterionella formosa가 표층과 저층에서 서로 다른 우점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댐 하류의 담수역과 기수역에서는 A. formosa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을과 겨울은 기수역에서 해수역까지 부영양화 지표종인 Skeletonema costatum-ls가 극우점하였다. 즉 이사천 수계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순천만 연안생태계 구조를 심각하게 훼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급격한 연안생태계 변화는 한국 제1호 람사르습지인 순천만 및 순천 생물권보전지역 및 최대 꼬막 산지인 여자만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 그리고 보전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위협적인 내용이기에, 더욱 심층적인 관리방안 도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남서해역의 해양환경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특성

        박종식,윤양호,노일현,서호영,신현호,Park, Jong-Sick,Yoon, Yang-Ho,Noh, Il-Hyeon,Soh, Ho-Young,Shin, Hyeon-Ho 한국조류학회(藻類) 2008 ALGAE Vol.23 No.2

        A field survey for dinoflagellate cysts was carried out from May 2000 to November 2002 for the Southwest Sea of Korea. A total dinoflagellate cysts identified were 33 species, which belonged to 17 genera, 31 species, and 2 unidentified species. A cysts density were 16-1,501 cysts-gdry$^{-1}$. The dominant species of dinoflagellate cysts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were Spiniferites bulloideus and Scrippsiella trochoidea, which are autotrophic specie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using the dinoflagellate cyst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51 stations. From the score distribution map by the PCA,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regions according to the first primary component and the second primary component. In other words, Group 1 was the western sea area of Mokpo and Jindo, Group 2 was the outer sea area of the South Sea, and Group 3 was the coastal areas of the South Sea around the Archipelago. It was found that this division of sea area was influenced by effects of the sea environment of the coastal areas of Korea. The coastal areas of Mokpo and Jindo that belong to Group 1 were affected by the cold Yellow Sea water. The outer sea area of the central parts of the South Sea that belong to Group 2, which is the boundary betwee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Korea and the Tsushima warm water, was subject to the formation of temperature fronts throughout the year, while Group 3 was affected by the coastal waters of Korea. It was also found that this division was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istribution of sediment facies in the bottom layer. From the above results,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yst distribution in he Southwestern Sea of Korea were found to include the eutrophication status of the sea area,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environment such as the flow of sea current and fronts, the sediment facies in the bottom layer, and the appearance volume of motile cells.

      • KCI등재

        다중 센서 어레이 신호 검증을 위한 플랫폼 설계

        박종식,이성수,Park, Jong-Sik,Lee, Seong-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1

        최근 환경 감시용 센서장치,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지능형 로봇의 센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를 이용한 감지, 검출 시스템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의 물리적 상태 변화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센서의 노후화나 다양한 측정 환경으로 인하여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에 적용 가능한 신뢰성 있는 센서 신호 처리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동일 센서를 복수의 어레이 구조로 배치하고 사용하였다. 여러 센서의 측정된 데이터의 시간적 상관관계와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의 이상 유무 확인 및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랫폼 구성요소 간 통신을 위한 전용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As sensor technology grows up in fields such as environmental hazards detecting system, ubiquitous sensor network, intelligent robot, the sensing and detecting system for sensor is increasing. The sensor data is measured by change of chemical and physical status. Because of decrepit sensor or various sensing environment, it is problem that sensor data is inaccurate result. So the reliability of sensor data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proposes a reliable sensor signal processing platform for various sensor. To improve reliability, we use same sensors in multiple array structure. As sensor data is corrected by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 signal processing algorithm for measured sensor data, reliability of sensor data can be improved. The exclusive protocol between platform components is designed in order to verify sensor data and sensor state in various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메탄 활성화반응에서 산화칼슘 촉매의 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

        박종식,공장일,전종호,이성한,Park, Jong Sik,Kong, Jang Il,Jun, Jong Ho,Lee, Sung Ha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6

        순수한 CaO, Mn-doped CaO, Mn/CaO, K/CaO 촉매를 제조하고 이들의 메탄 활성화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을 600∼800$^{\circ}C$ 온도영역에서 실험하여 산화칼슘의 촉매활성에 대한 망간과 칼륨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촉매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선 분말회절분석(XRD), X-선 광전자분석(XPS), 주사전자현미경분석(SEM), 시차열분석(DSC) 및 열무게분석(TG)을 실시하였다. 촉매반응은 직결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단방향 흐름 반응기로서 이루어졌다. 표준반응조건은 $p(CH_4)/p(O_2)=250$ Torr/50 Torr이며 반응기체의 주입속도는 30mL/min, 그리고 He 희석기체와 함께 전체압력은 1 atm이였다. 실험한 촉매들 중에서 6.3 mol% Mn-doped CaO 촉매가 가장 우수한 $C_2$ 선택성을 보였으며 775$^{\circ}C$에서 $C_2$ 선택성과 $C_2$ 수율이 각각 43.2%와 8.0% 이었다. 적은 양의 망간을 도프한 산화칼슘 촉매들은 망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C_2$ 선택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많은 양의 망간([Mn]>6.3 mol%)을 도프한 촉매에서는 $C_2$ 선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금속이온이 도프되지 않은 6 wt.% Mn/CaO와 6 wt.% K/CaO 촉매는 700$^{\circ}C$에서 각각 13.2%와 30.9%의 $C_2$ 선택성을 보여 담지효과는 Mn보다도 K가 훨씬 우수함을 보였다. CaO와 Mn-doped CaO 촉매의 전기전도도를 $10^{-3}∼10^{-1}\;atm$의 산소분압 영역에서 측정한 결과 모두 p형의 전기적 특성을 보였으며 도프한 망간의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전기전도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촉매표면에 생성된 틈새형 산소이온이 메탄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틈새형 사소이온의 생성을 고체화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Pure CaO, Mn-doped CaO, Mn/CaO, and K/CaO catalysts were prepared and tested as catalysts for the oxidative coupling of methan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 to 800$^{\circ}C$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n- and K-addition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calcium oxide. To characterize the catalysts, X-ray powder diffraction(XRD), XPS, SEM, DSC, and TG analyses were performed. The catalytic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single-pass flow reactor using on-line gas chromatography system. Normalized reaction conditions were generally $p(CH_4)/p(O_2)=250$ Torr/50 Torr, total feed flow rate=30 mL/min, and 1 atm of total pressure with He being used as diluent gas. Among the catalysts tested, 6.3 mol% Mn-doped CaO catalyst showed the best $C_2$ yield of 8.0% with a selectivity of 43.2% at 775$^{\circ}C$. The $C_2$ selectivity increased on lightly doped CaO catalysts, while decreased on heavily doped CaO([Mn] > 6.3 mol%) catalysts. 6 wt.% Mn/CaO and 6 wt.% K/CaO catalysts showed the $C_2$ selectivities of 13.2% and 30.9%, respectively, for the reaction.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CaO and Mn-doped CaO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to 1000$^{\circ}C$ at Po2's of $10^{-3}\; to\;10^{-1}\;atm.$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Mn-dop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P0_2$in the range of $10^{-3}\;to\;10^{-1}\;atm,$ indicating the specimens to be p-type semiconductor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erstitial oxygen ions formed near the surface can activate methane and the formation of interstitial oxygen ions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solid-state chemistry.

      • KCI등재

        선행 제왕절개술 후의 질식 분만의 성공 인자에 관한 연구

        박종식 ( Park Jong Sig ),김기용 ( Kim Gi Yong ),나기훈 ( Na Gi Hun ),오관영 ( O Gwan Yeong ),박미혜 ( Park Mi Hye ),양윤석 ( Yang Yun Seog ),황인택 ( Hwang In Taeg ),박준숙 ( Park Jun Su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1

        목적 : 최근 반복 제왕절개술의 증가로 20년간 상승하고 있는 제왕절개율을 낮추기 위하여 선행 제왕절개 임부에서 자연분만을 시도하는 것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왕절개후 질식 분만을 원해 내원한 산모를 대상으로 성공군과 실패군으로 나누어 자연분만 시도의 안전성과 성공에 관여하는 인자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3월 1일부터 2002년 2월 28일까지 선행 제왕절개 산모 중 본원에서 질식 분만을 시도했었 Objective : Recently, with rising rates of repeat cesarean sections, enormous amount of the studies about trial of labor after cesarean section have been reported to decrease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regar

      • KCI등재

        퇴계 경(敬) 사상에 대한 칸트 선험윤리적 해석

        박종식 ( Park Jong-si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퇴계의 경(敬) 사상을 칸트의 선험윤리적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성학십도』의 경 사상을 『실천이성비판』의 도덕법칙과 비교하고자 한다. 퇴계의 리(理), 기(氣), 성(性), 정(情), 심(心) 등의 개념을 칸트의 자유, 선의지, 도덕법칙, 의무, 존경 개념과 연관해서 탐구할 것이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 개념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경은 유가의 수양론의 핵심에 해당되는데, 퇴계는 경을 학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주장한다. 퇴계는 사물과 접촉할 때 생기는 인간의 욕망을 경 개념을 통해서 다스리고자 한다. 경은 인간의 욕망과 행위를 규제하는 개념이다. 외부의 욕망에 지배되지 않는 마음의 태도를 유지하려는 것이 경이다. 퇴계의 경 사상은 칸트의 도덕법칙과 선의지에 대한 존경 개념과 연결된다. 인간의 행위는 개인적 욕망에 근거한 준칙이 아니라, 보편적 도덕법칙을 따를 때 도덕적 행위가 된다. 선의지와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의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된다. 이 점에서 퇴계와 칸트는 인간의 욕망에 굴복하지 않고 도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수양의 방법론으로서 경과 도덕법칙을 강조한다. 경향성과 애착으로부터 생기는 욕망을 억제하고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을 통해서 현상계를 넘어서는 것이 도덕적 행위이다. 도덕적 행위의 동기는 바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과 의무이다. 칸트는 인간은 현상 세계와 이념의 세계를 살아가는 이중성의 존재라고 한다. 욕망능력이 선의지와 도덕법칙을 향할 때 도덕적 존재가 되고, 욕망능력이 욕망 대상을 향할 때 현상적 존재가 된다. 퇴계는 이러한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마음을 하나에 집중하는 경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한다. 칸트에게는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은 현실의 욕망대상이 아니라, 예지계의 도덕성을 향하게 하는 동기가 된다. 욕망과 도덕의 갈등을 주체의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서 극복하는 것이 경의 활동이며,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이다. 이런 측면에서 퇴계와 칸트의 문제의식과 갈등의 해결방식은 유사하다.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 본성에 근거한 보편적 도덕성은 유사한 형식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oegye's moral theory and Kant's moral theory. In particular, I examine Gyeong i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and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refore, I explore the similarities by comparing the concepts in Toegye's thought with the concepts moral law, duty, respect for moral law in Kant's moral theory. The concept Gyeong is the main concept to understand cultivation theory of Confucianism. The concept Gyeong claims to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Sage Learning(聖學). The concept of Gyeong is to reflect on human desires and delicate movements in mind when coming into contact with objects. The concept of Gyeong is a concept that defines human moral behavior. The role of Gyeong is to remove human desires that occur at every moment. Kant also rejects sensory desire and tries to act in accordance with innate moral laws. Toegye's concept Gyeong is connected with Kant's concept respect for moral law.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s is the motive for moral behavior. Toegye and Kant emphasize concept Gyeong, moral laws as a methodology of cultivation that control one's desire and mind. Moral behavior is to suppress desires and emotions arising from tendency, and it is to lead to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Physical human beings have the duality living in the real world and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at the same time. Physical human beings constantly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reality and ideal. It is a human being who is of duality that has the ability to transcend human limits. It i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at he can transcend his own limits. In this way, Toegye's concept Gyeong and Kant's moral theory presuppose the good nature of human beings. The realization of nature in specific situations is explained by the revelation of innate nature(性) and emotions(情). Toegye tries to overcome this moral conflict through the activity of Gyeong, which focuses his mind on one. The feeling of respect for the moral laws is the driving force that directs the morality, not the desire of reality. Human beings have the dualtiy that live in the phenomenal and intelligible world. In this respect, the structure of moral theory between Toegye and Kant is similar, an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is similar. Morality appear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imes and cultures, but morality based on human universality is essentially similar. Toegye and Kant argue that the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human desires is contrary to universal mor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