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iodiglycol를 분해하는 Cupriavidus sp.의 분리와 특성

        박종덕,김지천,윤기홍,Park, Jong-Deok,Kim, Jee-Cheon,Yoon, Ki-Hong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4

        탄소원으로 thiodiglycol(TDG)을 함유한 배지에서 농후배양하여 인삼토양으로부터 TDG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 WS-32의 형태적, 생화학적,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이 Alcaligenes faecalis와 유사한 생화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16S rRNA 서열이 Cupriavidus 속 균주와 유사도가 높은 균주로 판명되었다. WS-32는 $33^{\circ}C{\sim}37^{\circ}C$, pH $6.0{\sim}8.0$에서 성장이 우수하였으며, TDG에 의해 성장에 약간의 저해를 받지만, 배양후기에서는 이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현상을 보였다. HPLC를 통해 배양액 내 잔존하는 TDG를 분석한 결과 2일 배양하였을 때 배지내 잔존하는 TDG가 상당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 WD-32의 균체 파쇄상등액은 TDG의 산화활성을 보였으며, pH 8.0과 $45^{\circ}C$에서 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다. A Gram-negative bacterium capable of degrading thiodiglycol (TDG), main hydrolysis product of sulfur mustard, was isolated from ginseng field in enrichment medium supplemented with TDG as carbon source. The isolate, WS-32, grew optimally at $30-37^{\circ}C$ and pH 6.0-8.0. It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genus Cupriavi연 on the basis of 165 rRNA sequence, while its biochemical properties were highly homologous to Alcaligenes faecalis. The cell growth of WS-32 strain was slightly inhibited on LB broth by TDG, but the maximum level of its growth was maintained stably in the presence of TDG. After incubation of inoculated LB medium or uninoculated LB medium containing TDG for 2 days, TDG amount of the culture filtrate was analyzed to decrease noticeably by HPLC. TDG and alcohols were also oxidized by cell-free extract of the isolate with maximum activities at pH 8.0 and $45^{\circ}C$.

      •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경로 분석

        박종덕,최진무,Park, Jong-Duk,Choi, Jin-Mu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최근 도시지역은 국지성 호우로 인한 범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중량천 수계에 대한 홍수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1m 간격의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하천 정보를 위해 HEC-GeoRAS를 이용하여 Geometry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홍수에 대한 가상시나리오를 홍수량이 100년 빈도일 경우 200년 빈도일 경우, PMF일 경우로 작성하여 침수 취약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구역화하고 대피소까지의 대피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가 밀집된 시가화 지역의 면적 비율이 범람지역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홍수 시 상당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었다. 범람지역에서 대피소까지의 최단거리 대피경로는 평균거리 1,000m로 대피 경보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도식지역의 홍수대피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urban area has suffered from frequent flood event by local heavy rain. This study performed flood tests for the Jungnang river using HEC-RAS model. Based on 1m LiDAR data, river geometry data were produced using HEC-GeoRAS. For 100-year frequency flood, 200-year frequency flood, and PMF, flooding areas were estimated. Ten sub-zones of the entire flooding area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nearest refugees and used to analyze evacuation paths to the refugees. The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70% of flooded area were residential, commercial, and transportation areas so that much loss of life and property could be possible.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shortest path distances to refugees were about 1000m average. Evacuation warning given at a proper period could minimize loss of life and property.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 for flood evacuation plan in urban area.

      • 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울퉁불퉁 종아리, 터질듯한 다리통증 '하지정맥류'

        박종덕,Park, Jong-Deok 한국건강관리협회 2012 건강소식 Vol.36 No.10

        가을은 단풍 산행을 위해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계절이다. 등산은 심폐와 온몸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지만, 등산 전 몸 상태에 대한 점검 없이 무리한 등산을 할 경우 평소 약해진 다리 혈관이 늘어난 혈액량을 감당하지 못해서 건강을 해칠 수가 있다. 더욱이 등산을 즐기는 중장년층이라면 종아리 근육의 탄력이 약화되어 정맥혈관이 확장되는 정맥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미 정맥류가 있는 경우라면 악화될 수 있다.

      • KCI등재

        대장균으로부터 생산된 Bacillus licheniformis WL-12의 Cellulase 특성

        박종덕,김연아,윤기홍,Park, Jong-Duk,Kim, Yeon-A,Yoon, Ki-Hong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3

        Bacillus licheniformis WL-12의 carboxymethyl cellulase (cellulase) 유전자를 함유한 대장균 균체 파쇄상등액으로부터 DEAE-Sepharose와 Q-Sepharo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cellulase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은 163 U/mg이었으며, SDS-PAGE에 의해 측정된 분자량은 약 49.5 kDa으로 나타났다. pH 5.5와 $55^{\circ}C$에서 최대 반응활성을 보였으며, SDS (5mM)에 의해서는 cellulase의 활성이 완전히 저해되었고 $Cu^{2+}$5mM)에 의해서는 약간 증진되었다. 정제된 cellulase는 CMC, konjac, barley $\beta$-glucan과 lichenan을 가수분해하였으나 xylan, locust bean gum 및 p-nitrophenyl-$\beta$-glucopyranoside를 분해하지 못하였다. Cellooligosaccharides를 정제된 WL-12 cellulase로 분해하였을 때 cellobiose와 cellotriose가 주된 최종 반응산물로 관찰되었으며 cellobiose보다는 중합도가 큰 cellotriose, cellotetrasoe와 cellopentaose는 분해하였으나 cellobiose는 분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arboxymethyl celluase (cellulase) was purified from cell-free extract of the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carrying a Bacillus licheniformis WL-12 cellulase gene by DEAE-Sepharose and phenyl-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with specific activity of 163 U/mg protein. Th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enzym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49.5 kDa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enzyme had a pH optimum at 5.5 and a temperature optimum at $55^{\circ}C$.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completely inhibited by SDS (5 mM), and slightly enhanced by $Cu^{2+}$ (5 mM). The cellulase was active on CMC, konjac, barely glucan and lichenan, while it did not exhibit activity towards xylan, locust bean gum, and p-nitrophenyl-$\beta$-glucopyranoside. The predominant products resulting from the cellulase hydrolysis were cellobiose and cellotriose for cellooligosaccharides including cellotriose, cellotetraose and cellopentaose. The enzyme could hydrolyze cellooligosaccharides larger than cellobiose.

      • KCI등재

        지하굴착 이격거리에 따른 흙막이벽체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종덕,안창균,김도엽,이석원,Park, Jong-Deok,Ahn, Chang-Kyun,Kim, Do-Youp,Lee, Seok-W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지상구조물 건설을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이용하여 지하굴착이 이루어진 지역에 근접하여 새로운 지하공간이 신설될 때, 지하굴착과 흙막이 벽체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고 있던 토압의 변화 및 지표 침하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지하공간 굴착 단계별로 흙막이 벽체의 토압 변화 및 지표 침하를 측정할 수 있는 길이 160 cm, 높이 120 cm의 모형 토조를 제작했다. 실험은 균일하게 조성된 사질토 지반에서 하부 지반에 변위를 가하고, 수직한 흙막이 벽체의 토압 변화 및 지표면 침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은 인접한 지하공간 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높이별 토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모사하는 우측 벽체 10개 및 지하공간 굴착을 모사하는 하부 벽체 5개로 구성하고 하부벽체를 거동시킴으로서 지하굴착을 모사하였다. 실험 결과, 하부 1단 벽체의 거동 시에는 흙막이 벽체의 토압에 변화가 발생하였으나, 하부 3단의 경우는 지하 굴착이 흙막이 벽체와 충분히 이격되어 토압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하부 1단 벽체를 굴착한 결과, 우측 하단부 벽체 주변의 응력이 감소되고, 우측 중간부 벽체 주변으로 응력이 재분배되는 아칭현상을 증명할 수 있었다. The changes in earth pressure and ground settlement due to the underground excavation nearby the existing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underground excavation and retaining wall, were studied experimentally. A soil tank having 160 cm in length and 120 cm in height,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underground excavation like tunnel by using 5 separated bottom walls.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ages by using 10 separated right walls simulating the retaining w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arth pressure was changed by the lowering of first bottom wall(B1), however the earth pressure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by the lowering of third bottom wall(B3) since B3 had sufficient separation distance from retaining wall. Lowering of first bottom wall(B1) induced the decrease of earth pressure in lower part of retaining wall, on the contrary, lowering of first bottom wall(B1) induced the increase of earth pressure in middle part of retaining wall proving the arching effect.

      • KCI등재

        사질토 지반에서 흙막이벽체-지하공간 연속 굴착에 따른 지반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박종덕,유정선,김도엽,이석원,Park, Jong-Deok,Yu, Jeong-Seon,Kim, Do-Youp,Lee, Seok-Wo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흙막이벽과 같은 수직굴착과 터널과 같은 지하공간의 연속적인 굴착에 따른 지반 거동과 토압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굴착 단계별로 벽체 거동, 토압 변화, 그리고 지표 침하의 측정이 가능한 길이 160cm, 높이 120cm의 모형 토조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균일하게 조성된 사질토 지반에서 벽체에 임의의 변위를 가하고, 토압 변화와 지표 침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은 흙막이벽과 지하공간의 연속적인 시공을 모사하기 위하여 흙막이벽 굴착을 모사하는 우측벽체 10개 및 지하공간 굴착을 모사하는 하부벽체 5개를 순서대로 거동시켜 모사하였다. 실험 결과, 벽체의 주동변위로 감소된 토압이 주변 벽체로 분담되는 아칭현상이 모든 벽체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연속되는 시공을 모사한 실험에서 phase마다 아칭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나, 하부1단 벽체의 거동 시, 우측10단 벽체는 다른 경우와 달리 토압이 50%정도만 회복됨을 보였다. The ground movement and changes in earth pressure due to the consecutiv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and underground space were studied experimentally. A soil tank having 160 cm in length and 120 cm in height,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vertical excavation like retaining wall by using 10 separated right side walls and underground space excavation like tunnel by using 5 separated bottom walls. The variation of earth pressure and surface settlement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crease of earth pressure due to the wall movement can cause the increase of earth pressure of the neighboring walls proving the arching effect. Experiments simulating continuous construction sequence also identified arching effect, however only 50% of earth pressure was restored on the 10th right side wall due to the movement of 1st bottom side wall unusually.

      • KCI등재

        한국과 독일 방문요양의 등급별 급여 비교 연구

        박종덕,Park, Jong Duk 한국가정간호학회 2016 가정간호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multiple forms of home care services from a service user's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German system to the Korean one, this study seeks to find better ways of enhancing client-centered care. Methods: The data of 121 home care users were collected from six home care centers that had under the management of nursing managers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researcher used a German instrument to estimate the level of care. Results: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German and Korean assessment criteria (r=0.81, p<.001). However, compared to their German counterparts, Korean home care providers allocated more time towards provision of domestic help per daily visit. German home care providers allocated more time towards services relating to provision of support for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personal hygien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are in Korea does not correlate with either the categories of home care services and duration. Conclusion: Therefore, care services should be offered according to long-term care needs.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systematic care aimed at strengthening the client's autonomy which should be properly planned, implemented, and managed.

      • KCI등재

        『만인보』의 중복 텍스트 연구

        박종덕 ( Jong Deok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만인보』 전 30권에는 사물을 포함하여 약 7,224명의 인물이 호명되고 있다. 본고는 『만인보』 전권의 인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매우 독특한 점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동일한 이름이 반복적으로 호명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단순히 이름만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서사가 연속되는 경우도 상당수 발견되었다. 먼저 한국 현대사의 핵심적 인물인 이승만과 박정희가 반복적으로 호명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고은의 시선은 대단히 부정적이다. 이승만은 국가를 분열시킨 장본인으로 그려지고 박정희는 도덕적, 사상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인물임이 폭로된다. 4·19 희생자와 5·18 희생자들도 반복적으로 호명되고 있다. 이들은 대개 희생자와 가족의 이름이 연쇄적으로 호명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것은 희생자가 겪은 고통이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감당해야 하는 고통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만인보』에서 호명되는 인물은 한국 현대사가 대화합과 상생의 역사가 아니라, 반목과 투쟁의 역사라는 사실을 알게 한다. 고은이 『만인보』에서 송시열을 반복 호명하여 맹렬히 비판하고, 탕평책을 외친 영조를 반복적으로 호명하는 이유는 대화합과 상생을 소망하는 고은의 바람이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기황후에 대한 반복 호명은 기황후를 통해 고려의 문화가 원나라에 종속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우리가 주체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염원을 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bout 7,224 characters including things are mentioned in a total of 30books of Maninbo. Something very unique was foun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the whole series of Maninbo. The same names are often called repeatedly. Names are not only repeated but also a considerable number of narrations are consecutively found. For instance, Rhee Seung-man and Park Jeong-hee are repetitively called as historic figures. Nevertheless, Go Eun’s view of them is very negative. Rhee Seung-man is illustrated as the author of divisions in the nation and Park Jeong-hee is disclosed as a very negative person morally and politically. Victims of 4·19 Revolution and those of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re repeatedly called. Mostly a series of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are called. This is to reveal that the suffering the victims went through was not merely individual but it was something the whole families had to manage. The characters called in Maninbo lead us to know that modern Korean history is not the history of coexistence and the grand national harmony but that of struggle and antagonism. Why Go Eun criticizes neo-Confucianism and Song Si-yeol but repetitively calls King Yeongjo, who spoke of Tangpyeongchaek(a policy of maintaining balance and equality between the factions), is the reflection of Go Eun’s desire of wishing for coexistence and the grand national harmony. Repetition of calling Empress Gi can show the fact that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was not subordinated to the Yuan Dynasty and refect the aspiration that we should restore our national pride.

      • KCI등재

        영상 기법을 통한 백석 시의 공간 설정에 관한 연구

        박종덕(Jong-deok Park) 어문연구학회 2007 어문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pace" with screen technique in Baek Seok"s poems. Especially I studied Baek"s four poems, Namshinuiju Yudong Park Si-bong"s room, Noodles, wooden vessel, and There is a white windy wall with shot, mese-en-scene and scroll. The meanings of the various Spaces studied in letter text weren"t clear but they are distinct in screen technique. So I tried to study "space" with screen technique which is not embodied in the poetic statement.<BR>  First, I studied Namshinuiju Yuodong Park Si-bong"s room with shot. I think shot is the tool not only showing the writer"s reality and the plot of text in the writer"s side but also explaining the text in detail in the reader"s side. "Sky" researched by shot in Namshinuiju Yuodong Park Si-bong"s room is the space show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As the poetic language "wife", "house", "parents" is the significance of earth-real, so the poetic language "buckthorn tree" is the significance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universe. Though "buckthorn tree" stands on the ground, it longs for the sky, for it spreads branches toward the sky. As you know, "buckthorn tree" is the significance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universe, the possibility of the reading like this is embodied by shot.<BR>  Second, I used mese-en-scene in Noodles and wooden vessel. mese-enscene is the technique meaning the setting of the character or the space in screen. "a kitchen" and "warehouse" studied by mese-en-scene in Noodles and wooden vessel are not only a historical space connecting the present and the past but also the universal space-time. "storeroom" that keeps the wooden vessel is described as the house. The house is the corner of us, the space of the universe and the core of the universe structure. If someone can communicate with the universe through the house, the wooden vessel as mese-en-scene can be a very important tool connecting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refore the wooden vessel is the tool communicating with the future and the object communicating with the universe.<BR>  Lastly, "wall" investigated by scroll in There is a white windy wall is the space looking at the poetic speaker"s whole life and anticipating his future life. "wall" is the symbolic space representing the speaker"s past and present and the narrative space dreaming of the recovery of family community. Also, the speaker repents his life through the wall and decides to live the new life. Consequently, the screen of the wall shows the speaker"s whole life and presents his decision firmly.<BR>  Like this paper, I know that the role of the space in Baek Seok"s poems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pace in screen. Accordingly, this screen technique embodies the poetic speaker"s feature and reveals the feature of the image in Baek Seok"s poems very clearly.

      • KCI등재

        ‘설(說)’을 활용한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 제언

        박종덕(Park Jong-deok)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이 논문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를 보다 수월하게 가르치기 위한 방안으로 고전문학의 ‘설(說)’을 활용하여 글쓰기 훈련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새로운 사유를 발견하는 과정을 창의 또는 창의적 사유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선행지식이다. 선행지식이 있다면 창의적인 지식을 만들어 내는 데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글쓴이가 학습자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설을 제공하는 의도가 여기에 있다. 설은 유추적 구조로 이루어진 글로서 학습자들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글이다. 또 설을 통해 올바른 사유, 깊이 있는 사유를 유도할 수 있다. 글쓴이는 학습자들에게 이규보의 괴토실설 과 이옥설 을 읽기 자료로 나누어 주었다. 자료를 강독한 후 학습자들에게 분량에 얽매이지 말고 글을 써서 제출하라고 요구하였다. 이때 글을 방향을 ‘반성적 깨달음’으로 지정해 주었다. 그 이유는 글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지 않을 경우 학습자들이 어떤 내용으로 글을 써야 하는지 모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제출한 글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다양한 사건에서 사유를 발견하는 의미 있는 글쓰기 결과를 보여주었다. 글쓰기 과제가 아니었다면 의미 없이 지나쳤을 것이라는 코멘트나 사소한 사건에도 의미가 담겨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는 피드백은 사건과 의미의 구조로 이루어진 설을 읽힌 효과를 방증하게 하였다. 쓰기가 서툰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은 더욱 쉬운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글쓰기가 ‘어쩔 수 없이 이수해야 하는 필수과목’에 그치지 않고 즐거운 일이 되려면 글쓰기에 대한 공포를 없애야 한다. 공포를 없애기 위해서는 글쓰기가 쉽다는 것을 확인시켜야 한다. 바로 이 지점이 읽기 자료 ‘설’이 가지는 효용이다. This paper is a result of writing training using Seol of classical literature as a way to teach writing more easily for university students. The process of discovering a new cause is called creative or creative reason. What is needed at this time is prior knowledge. If there is prior knowledge,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creating creative knowledge. Here is the intention of the writer to provide a lecture in the course of teaching learners to write. Theory is a text with a trac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ad and understood by learners. In addition, it can induce correct thinking and deep thinking through the theory. The writer gave to the learners Lee Kyu-bo s Geotosilseol and Yiokseol as reading materials. After reading the material, the learner was asked to write in writing without being bound to quantity.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article was designated as reflex enlightenment . This is because the learners may not know what to write if they do not give specific dire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missions, the learners showed meaningful writing results to discover the reason in various incidents. If it were not for the writing task, the feedback that it was meaninglessly passed or the fact tha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it contained meaning in a minor case also disproved the effect of reading the theory of the case and structure of meaning. College writing education aimed at learners with poor writing skills should be done in an easier way. College writing is not only a mandatory course that must be taken, but it is also necessary to eliminate the fear of writing in order to be enjoyable. To eliminate fear, you must make sure that writing is easy. This point is the utility of the reading material ‘se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