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한 쉴드 TBM 터널 리스크 분석

        박정준,정희영,문준배,최항석,이인모,Park, Jeongjun,Chung, Heeyoung,Moon, Joon-Bai,Choi, Hangseok,Lee, In-M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8 No.5

        본 논문에서는 쉴드 TBM 시공 시 발생 가능한 사건 및 원인의 규명, 리스크 발생의 인과관계 규명, 리스크의 위험도 판별, 리스크의 저감대책 제시를 통한 쉴드 TBM의 전반적인 시공 리스크 관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쉴드 TBM의 사고 사례에 대한 문헌조사, 설계 및 시공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리스크 사건은 절삭량 저하, 막장면 붕괴, 지반 침하, 지반 융기, 이수 분출, 배토 불능, 굴착 불가, 지하수 누수의 8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리스크의 원인은 지질 원인, 설계 원인, 시공관리 원인의 3가지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리스크 원인과 사건간의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식적인 관계도를 작성하였다. 리스크의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리스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한 다운타임 및 비용을 기준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수행하였으며, 위험도 결과에 기반하여 리스크 대응단계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리스크 발생사례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리스크 저감대책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구는 TBM 설계자 및 시공자가 현장의 조건을 고려하여 리스크 원인을 선정하고 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리스크의 위험도의 판별 및 그에 대한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저감대책을 통해 체계적인 쉴드 TBM 리스크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Overall risks that can occur in a shield TBM tunnelling are studied in this paper. Both the potential risk events that may occur during tunnel construction and their causes are identified,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vents is obtained in a systematic way. Risk impact analysis is performed for the potential risk events and ways to mitigate the risks are summarized. Literature surveys as well as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made for this purpose. The potential risk events are classified into eight categories: cuttability reduction, collapse of a tunnel face, ground surface settlement and upheaval, spurts of slurry on the ground, incapability of mucking and excavation, and water leakage. The causes of these risks a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geological,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factors. Bayesian Networks (BN) were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asses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vents. The risk impact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a risk response level by adopt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owntime and cost of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isk impact analysis, the risk events are divided into four risk response levels and these levels a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occurrences of risk events. Measures to mitigate the potential risk events during the design and/or construction stages are also proposed.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of the help to the designers and contractors of TBM tunnelling projects in identifying the potential risks and for preparing a systematic risk management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risk response level and the migration method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 KCI등재후보

        과테말라 국외입양 전개 과정 연구

        박정준 ( Park Jeongjun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70

        세계 최대 규모의 국외 입양송출국인 과테말라에서 국외입양은 사회의 고질적 병폐와 착종되어 왔다. 빈곤과 열악한 사회안전망, 확대 가족을 지탱시켜준 공동체붕괴, 선주민들의 궁핍, 아동 착취 상황은 국외 입양송출의 표면적 원인을 제공했다. 여기에 폭정의 시기 동안 자행된 실종 사건들은 국외 입양송출 실상을 은폐하는데 악용되기도 했다. 외국인 유괴 괴담이 한창이던 1980년대에 실종된 아동 중상당수는 기실 국외로 입양되었다. 당시 정부와 군에서는 진실을 은폐하며 무고한 희생자를 양산했는데, 일부 과테말라인들은 외국인들과 자국 내 방외인들을 유괴범이나 장기밀매 사범으로 단정했다. 외국인 집단 공격이라는 후폭풍이 벌어진 데는 36년간의 내전 기간에 자행된 제노사이드와 인권 유린으로 피폐해진 과테말라인들의 상처가 있었다. 내전이 끝난 이후 불법 입양이 기승을 부리면서 과테말라 아동은 여전한 위기에 처해 있다. 과테말라에서 국외입양의 제도화는 불법 입양이 활개를 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오늘날 과테말라 아동이 처한 인권 침해는 아동의 권익을 심대하게 침해하고 있다. 주요 입양송출국인 한국에서 과테말라의 사례를 교훈 삼아 제도를 정비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transnational adoption in Guatemala is closely linked with its social phenomena. Poverty-stricken households, lack of social welfare, abortion restriction have resulted in large number of abandonment of children. Moreover, the decay of extended families in poor neighbourhoods in Guatemala often leads to adoption. Above mentioned phenomena are said to be explicit reasons why transnational adoptions are widespread in Guatemala. Illegal adoption is also prevalent in Guatemala. There are side effects of transnational adoption in Guatemala. Some foreigners in Guatemala in the 1980s were sometimes mistaken for “child kidnappers” by Guatemalans. This rumour has been bruited about for many years. However, in reality, “kidnapped children” had been placed into foreign families. Whereas, in Guatemala, Government vowed to put an end to illegal adoption in their country, but has failed as many times. Furthermore, many thousands of children have become adoptees owing to human trafficking and coercion after long civil war in Guatemala. In Guatemala, human rights abuses of children after numberless false rumours about their children`s wellbeing give rise to illegal adoptions and fear.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스포츠 인성 척도 개발 및 수준 분석

        박정준 ( Jeongjun Park ),오승현 ( Seunghyeon Oh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and difference of sport personalitys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ir quality of sport participation. According to prior research(박정준, 2012; Beller & Stoll, 1996), we decided that faithfulness, cooperation, justice and consideration are the sub-components of sport personaliti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port Personality Index Questionnaire was verified through Cronbach`s α 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tudents (n=768) in an urban area of Seoul, thereby level and differences of sport personality were analysed by t-test, one-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As a result, male students had higher sport personalitys than female, with regard to the participants’ grade, frequency and duration of sports involvement. Disparities of gender and grade were revealed due to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their sports participat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sports activities, school-directed sports activities such as the after school sports programs or mandatory sports club activities had barely influenced building sport personality. In order to build students’ sports personalities, specific strategies are sorely needed to increase girl’s participation and to enlarge opportunity for regular and consistent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in order to develop participants’ sport personality within school-directed sports activities, those program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hould be deliberately approached with pedagogical intention and organization. 본 연구는 스포츠 참여 특성에 따른 중학생의 스포츠 인성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정준(2012)과 Beller & Stoll(1995)의 연구를 바탕으로 성실, 협동, 정의, 배려를 스포츠 인성의 하위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 확인적 요인 분석과 Cronbach’s α 검증을 통해 타당도,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수도권 소재 중학생 768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인성 검사를 실시하여 빈도 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스포츠 인성 수준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중학생의 스포츠 인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참여 빈도, 참여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는 스포츠 활동의 참여 빈도와 기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방과 후 특기적성, 동아리활동 등 학교의 공식적 체육 활동은 학생들의 자율적 체육 활동과 비교할 때 인성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인성 함양을 위한 체육활동은 여학생 참여율을 높이고, 학생들의 자발적이며 규칙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 기회가 보장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학교의 공식적 체육 프로그램에서 인성 함양을 위한 의도적, 체계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3국의 국외입양제도 전개 과정 연구

        박정준(Jeongjun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아시아리뷰 Vol.6 No.2

        한국과 중국, 대만을 비롯한 동아시아 3국은 아동을 국외로 입양 보낸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한국전쟁 이후 본격화된 한국 아동의 미국 입양은 인종과 문화, 언어가 다른 국가 간 ‘아동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해왔다. 한국전쟁 직후 ‘예외상태’에서 임시방편으로 추진된 혼혈아동의 미국 입양 이후, 한국에서 60년 넘도록 국외입양제도가 아동복지의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1990년대 초반 국외입양제도를 본격 도입한 중국은 20세기 최대 입양송출국이던 한국의 전철을 답습한다. 중국에서는 한자녀정책과 남아선호사상으로 유기된 여아가 중국 내에서 입양되지 못한 채 국외로 입양되고 있다. 또한 대만에서는 경제 사정 악화와 미혼모 지원 부족, 비혈연 친족관계에 대한 반감으로 국외입양이 증가 추세다. 절대빈곤과 에이즈의 창궐, 자연재해, 불법 입양 등으로 아동을 국외로 입양 보내는 여타 입양송출국과 차별화된 국외입양 현상이 동아시아 3국에서 공히 나타난다. 오늘날 동아시아 3국에서는 미혼모 지원 부족과 남아선호사상, 한자녀정책이 입양송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점은 빈곤 문제의 개선만으로 동아시아에서 국외 입양송출이 중단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고령화 사회와 저출산 문제에 직면한 동아시아는 대부분의 입양수용국과 유사한 인구구조를 보인다. 국가 차원의 출산장려정책을 실시하는 한국과 중국, 대만에서 국외입양이 지속된다는 점은 국가 재생산정책의 허점을 보여준다. 20세기 후반부터 동아시아에서는 입양인들과 원가족, 미혼모, 시민활동가를 중심으로 국외입양제도를 비판하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China, Taiwan are commonly known as “sending countries” for transnational adoption. Many Korean adoptees who had been sent abroad after the Korean War have formed multi-ethnic families where family members do not share common race or culture. The early phase of transnational adoption in Korea was almost similar to being an “exceptional state.” Nonetheless, the placements of the Korean children into foreign families have lasted for more than six decades. China had kicked off its transnational adoption in around the 1990s. Now China has become the principal “sending country,” as how Korea was in the 20th century. The One Child Policy in conjunction with preference for sons are said to be the main reasons why some Chinese parents relinquish their daughters. The transnational adoption in Taiwan is on the increase owing to its weakening economy and lack of social welfare that is designed with the intention of keeping single mothers reinforcing parenthood. Extreme poverty, AIDS pandemic, catastrophic natural disasters and illegal adoption networking are the main reasons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other “sending countries” in Africa and Latin America, Southeast Asia. In contrast, non-economic factors are the principal reasons of transnational adoption in the East Asian countries. This fact indicat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solve adoption-related problems only by mean of economic development. The East Asian countries face severe aging population issues and the lowest fertility rates as many receiving countries. It is found that these countries try to solve the population crisis by way of helping families from falling apart. Nevertheless, numerous Korean and Taiwanese children, mostly abandoned by single mothers, are brought over from East Asia to be adopted by Western families.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girls have been adopted by Western parents. The East Asian countries are boasting economic miracles, the transnational adoption phenomena reveals these countries’ backwardness in social welfare and their dependence on the West. Such social phenomena give rise to collective shame among some East Asians. Transnational adoption has been increasingly criticized in recent years as being unfair to both the adoptees and their birth parents. Adoptees and their birth families, activists make their voices heard recently. This is the very time we should be thinking about the changeover of transnational adoption systems.

      • KCI등재

        미래사회 학교교육의 변화에 따른 체육교육의 방향 고찰

        박정준(Park, JeongJun),유창완(Yu, ChangW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의 변화가 학교교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학교교육과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체육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 중심적 관점에서 미래사회의 변화를 개인 생활양식의 변화, 과학 · 정보기술의 변화, 사회구조의 변화로 보고, 이러한 변화가 학교교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해본다. 둘째, 교육 중심적 관점에서 학교교육의 변화 방향을 지식 중심에서 감성 중심으로의 전이로 설정하고, 감성 중심 학교교육에서 체육교육의 역할과 가능성을 이론적 측면에서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감성중심 미래 학교교육을 위한 체육교육의 두 가지 방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과학적 접근에서는 미래 과학 기술의 발전을 수용하여 신체활동의 체험 영역과 수준을 확장하고 감성교육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인문적 접근에서는 신체활동 경험의 의미 발견과 간접체험을 통해 감성적 인식을 확대하고 다양한 미래사회의 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social change on school education and explore the role and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that can lead to desirable school education and social change. First, we look at changes in future society from a social-centered viewpoint as changes in individual lifestyles, changes in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predict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school education. Secondly, the transition of schoo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to the transition from knowledge-centered to emotional-centered is set as a theoretical aspect of the role and possibility of physical education in emotion-centered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we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wo directions of physical education for emotion-centered future school education. First, the science-oriented approach can accommodate the development of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expanding the experience domain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emotional education. Second, in the humanities-oriented approach,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emotional awareness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meaning of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and indirect experience,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improve various future social problems.

      • KCI등재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 인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 탐색

        박정준(JeongJun Park),홍애령(AeRyung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 지식, 진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적 사례선택을 통해 선정된 체육계열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 연구자의 성찰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지식 측면에서 먼저 진로 · 직업 분야에 대한 지식은 소속 대학, 전공학과에 따라 매우 한정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준비 방법에 대한 지식은 대학 내 교과활동, 비교과활동, 개인적 부가활동으로 구분되었다. 체육계열 진로 · 직업 전망에 대한 지식은 체육계열 진로 준비 방법에 따라 대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진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육계열 직업에 대한 개인의 적성, 가족의 지원, 대학 교수의 상담과 조력, 특성화된 전공 교과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전공 교과과정에서의 진로교육의 미비, 비교과활동에서의 진로교육의 전공 특수성 및 다양성 부족, 체육계열 교수 및 지도자의 진로교육 관심 부족, 체육 진로 및 취업관련 실습환경 부족, 학생의 진로 개척 인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으로 체육계열 진로 방향과 범위의 확장, 체계적인 체육 진로교육과정의 개발, 현장 연계 진로체험 및 채용 연계과정의 도입, 체육계열 진로정보 구축 및 서비스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 sports-related universities, by grasping knowledge on career path perceived by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and problems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ing with nine research participants from sports-related universities, chosen through ideal case selection. The study endeavored to obtain research integrity through member-checking, peer consultation, and self-reflection. As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knowledge on career perceived by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very limited tendency depending on the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of major they belong to. In addition, knowledge on the methods of career preparation for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were mainly in the form of 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ther personal activities. Knowledge on prospects of sports-related career profession showed contrasting viewpoints depending on their sports-related career preparation methods. Second, factors that affect sports-related career preparation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e suitability of sports-related profession, support from family, university professors" consulting, and specialized major courses. Third, problems of sports-related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were pointed out, with items including, absence of career education as major courses, insufficiency in major specialty and variety of career education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lack of understanding from professors and leaders, shortage in career or employment-related practice environments, and deficiency in students’ awareness. Based on such findings, expansion of direction and scope of sports-related career, development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 introduction of field-connected work experience or employment-linked process, building sports-related career information and service support, were propo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오염지반 복원의 영향인자 분석

        박정준(Park Jeongjun),신은철(Shin Eunchul)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9 No.2

        개발사업과 산업발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과 유류사용량이 늘면서 화학물질과 유류를 저장하는 지하저장탱크에서의 오염물질 유출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또한,산업지역,공장지대가 밀집된 매립 지반에서는 투수계수가 낮아 오염물질 추출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복원기술인 토양세정공법의 효율을 증진시킨 연직배수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염된 지반의 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유효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을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파일럿 규모의 실내 오염복원 실험을 통한 오염물질의 복원효율 등을 분석하였다.또한,염화나트륨을 복원실험의 추적자로 사용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SEEP/W와 CTRAN/W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력수두와 지속시간에 따른 농도변화, 각각의 지반조건에 대한 복원률의 오염물질 흐름 해석을 통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결과,오염지반의 투수계수는 흐름속도와 연직배수재를 통한 추출률과 관계되며, 흐름속도와 추출률은 분산지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원위치 오염복원 과정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Due to the growth in industrialization, potential hazards in subsurface environments are becoming increasingly significant. The extraction of the contaminant from the soil and movement of the water are restricted due to the low permeability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claimed soils.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es to in-situ remediation that are used in contaminated sites for removing contaminants. These include soil flushing, dual phase extraction, and soil vapor extraction. Among these techniques, soil flushing was the focus of the investigation in this paper. Incorporated technique with PVDs has been used for dewatering from fine-grained soils for the purpose of ground improvement by means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systems. The laboratory model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flushing tracer solutions for silty soils and recorded the tracer concentration changes with the elapsed time and flow rates. The modeling was intended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and time dependence of the remediation process. Modeling has been performed on the extraction, considering tracer concentration and laboratory model test characteristics. The computer model used herein are SEEP/W and CTRAN/W, this 2-D finite element program allows for modeling to determine hydraulic head and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 efficiency of remediation for the subsurface environ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contaminated soil is related with vertical velocity and extracted flow rate. The vertical velocity and extracted flow rate have an effect on dispersivity and finally a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situ soil reme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