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qualitative research for enhancing kitchen work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in Smart Kitchen environment - Focused on the information inequality between housewife and other family members -

        박윤이,박영춘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kitchen work experiences and its effects on family members, and analyzes the phenomenon ‘information inequality’ between family members and housewives. In order to approach the phenomenon more systematically,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three problem factors ‘lack of proficiency’, ‘invisible information’,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have been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se three problem factors are main predictors of frustrating the participation will of family members, which causes indirect inconveniences for housewives and these have also been found to sustain the information inequality in the kitchen work.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is issue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kitchen life of the whole family.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implications into the neglected area of the kitchen work of family members. The study i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equality’ phenomen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housewives, and reveals the components that can be used in Smart kitchen design in the future.

      • KCI등재

        공의자 적용이 자폐범주성아동의 교실내 문제행동과 주의집중 및 착석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윤이,박수현,유은영,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본 연구는 교실내 공의자 적용이 자폐범주성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집중 및 착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자폐범주성장애로 진단을 받은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개별사례 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중 ABAB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의 절차는 매일 이야기수업시간 15분씩 기초선Ⅰ에서의 4회 측정, 중재 과정 Ⅰ에서의 9회 측정, 기초선 Ⅱ에서의 4회 측정, 중재기간 Ⅱ에서의 6회 측정을 합하여 모두 23회기로 이루어 졌다. 자료의 측정은 대상자의 수업시간내 행동이 녹화된 동영상 장면을 관찰하여 10초 간격의 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초선과 공의자 적용 이후 문제행동과 수업집중 및 착석행동에 대한 차이를 백분율과 시각 적 그래프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 아동 모두 수업시간에 공의자를 적용하였을 때 문제행동은 완화되었고, 수업집중 정도는 증가되었으며, 착석행동이 향상되어 수업시간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수업시간에 공의자를 적용하는 것이 자폐성범주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집중 및 착석행동에 영 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실내 공의자를 적용함으로써 실제 교실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의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청소년의 글씨쓰기 명료도 향상을 위한 Cognitive Orient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중재법 효과 : 사례연구

        박윤이,유은영,이지연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청소년에게 Cognitive Orient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를 적용하였을 때 글씨쓰기 과제 수행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글씨쓰기 명료도에 문제를 가졌으며, ADHD로 진단받은 청소년 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각각 2회, 8회, 2회기로 총 12회기 시행되었다. 중재기간동안에는 CO-OP접근법으로 글씨쓰기 과제를 훈련하였고, 결과측정은 수행의 질을 평가하는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PQRS)를 사용하였다. 나머지 두 개의 과제는 훈련하지 않았으며 인지전략 기술이 일반화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중재 전․후의 대상자의 글씨쓰기 명료도를 비교하였으며, 중재기간 동안 활동의 수행의 질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PQRS 점수변화는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에 향상되었고, 재기초선 기간에도 유지되었다. CO-OP 중재 전․후 글씨쓰기 명료도는 42%에서 96%향상되었으며, AMPS 결과 처리기술은 0.21 로짓에서 0.8 로짓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적용한 CO-OP의 적용사례를 통해, ADHD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전략을 다른 과제로 일반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Cognitive Orient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had on the quality of the handwritten tasks performed by adolescent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This study used an ABA design, with a total of 12 sessions per week conducted twice(baseline; before intervention), eight times(during intervention), and twice again(after intervention) each session was for 30 minutes. Handwriting tasks executed intervention training through the CO-OP method approach for the outcome measurement a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PQRS). No traning was provided for the remaining tasks and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was used to verify whether the effects of training were generalized across skills. The handwriting legibility before, during,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was determined through a visual analysis. Results : The subjects’ PQRS score change improv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compared to baseline and was maintained during the recall period. Following the CO-OP intervention, handwriting legibility improved from 42% to 96%. The AMPS process skill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0.21 to 0.8.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OP approach positively affected the legibility of the writing of ADHD adolescents and confirmed that effects of training and the subsequent learning were generalized to other tasks.

      • KCI등재

        신약 성서 본문의 문맥에 대한 인지 언어학적 고찰

        박윤만(Yoon Man Park)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9 Canon&Culture Vol.7 No.1

        문맥은 지난 세기 괄목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한 성서 신학, 특히 성서 본문 해석 분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언어학 용어 중 하나이다. 그래도 문맥이 무엇인지 언어학적 고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신약 성서 학자들이 어떤 본문에 대한 특정 해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문맥이라는 이름으로 가져왔던 정보에는 임의적인 성격이 없지 않아 있었다. 이 연구는 현대 언어학 특히 인지 언어학에서 논의되어 온 틀 의미론을 살펴본 후, 거기에서 나온 통찰들로 신약 성서 본문의 문맥 읽기의 언어학적 토대를 제공한다.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은 문맥을 순수 본문이나 언어 정보로 다루어왔다. 하지만 인지 언어학에 바탕을 둔 틀 의미론은 문맥을 언어적 정보를 기초로 떠 올린 배경 지식을 사용하여 언어 사용자가 구상한 머릿속, 개념 지식 구조로 이해한다. 본 논문은 신약 성서 본문 주해에 중요한 도구로 이해되어 온 문법, 어휘, 이야기 구조 논의에서 언급한 문맥의 구성 요소와 기능을 ‘틀 문맥’을 사용하여 재정의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신약 성서 헬라어의 다양한 문법적 항목들[서술적 분사, 접속사(κα? δ?) 동작주 부재 구문, 수사 의문]은 틀을 전제로 사용되고 있기때문에 청자의 입장에서 그러한 문법적 사용으로 의미 전달을 성공적으로 하려면 경험 지식을 기반으로 한 틀 문맥에 반드시 익숙해져야 한다. 둘째, 신약 성서의 명사나 명사구, 다의어, 은유적 표현의 의미 이해는 사전식 지식을 뛰어넘어 문화적, 관습적 지식으로 구성된 틀 문맥을 환기할 때만 가능하다. 셋째, 틀 문맥은 이야기 이해, 특히 흥미로운 이야기와 긴장 유발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 구조이다. Context is one of the linguistic concepts most frequently referred to by biblical scholars in relation to exegetic studies of the New Testament text, which has been remarkably advanced over th last decades. In contrast to such a increasing concern about context, any attempt to define what is context in linguistic terms has not been made yet by the scholars. It is undeniable that there is arbitrary features with information which exegetes assume in the name of context to interpret text. The approach of this study to the context of the New Testament text is twofold: We survey, first, cognitive linguistics’ understanding of context, relating it to the concept of ‘frame’(or frame semantics); and next, we attempt to read contextually the New Testament text in light of insights from cognitive linguistics, particularly frame semantics. Structural linguists have understood context as some kind of linguistic situation or co-text of previous words, sentences, propositions, utterances. But cognitive linguists" claim is that contexts are not just objective linguistic situation, but rather subjective mental or conceptual situation which language users construct on the basis of background(or world) knowledge evoked by linguistic or grammatical items. With frame-based understanding of context(frame context),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it may contribute to comprehending the New Testament Greek grammars, words and narrative flow. The achievement of the present study, as a result, may be concluded as follows: a. Since various grammatical items, such as predicative participle, conjunction(κα? δ?) agentless construction, rhetorical question, presuppose the use of frame, in order to for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 and the text by way of such grammatical items it is necessary to be familiar with frame context on the part of the audience. b. The semantics(meaning) of nouns or nominal constructions, polysemy, metaphorical mapping can be understood only when language users are able to evoke frame context that forms social, cultural(encyclopedic) knowledge going beyond dictionary knowledge. c. Frame context is some kind of knowledge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how people find certain story interesting and suspenseful.

      • KCI등재

        Association of Dietary Vitamin D and Calcium With Genetic Polymorphisms in Colorectal Neoplasia

        박윤,김정선 대한암예방학회 2015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20 No.2

        The incidence trends of colorectal cancer have varied over time, and there is wide geographical variation across the world. Regarding colorectal cancer, diverse modifiable environmental or intrinsic risk factors have been investigated. This review summarizes the effects of both dietary intake of vitamin D and calcium in particular and diet-associated genetic factors on colorectal cancer risk. Wesearched the electronic database PubMed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0 and March 2015. We reviewed case-control studies that included dietary factors, genetic polymorphisms, and gene-diet interactions in association with colorectal cancer risk. Overall, 21 studies were selected as eligible studies. These studies demonstrated that dietary consumption of vitamin D and calcium may decrease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or adenoma. Colorectal carcinogenesis wa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dietary factors and mediating genetic factors. The epidemiological findings suggested that the gene-diet interactions may possibly alter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intake, genetic polymorphisms,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However, the reported effects of the same potential factors on colorectal cancer risk were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study population and geographical location. This finding may imply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and genetic variations existing between individuals or specified population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modifiable risk factors in diverse locations to derive useful implications for colorectal neoplasia

      • KCI등재

        Is Paul a Rhetorician? ‒ An evaluation based on Paul’s own biographical statements

        박윤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2 신약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고린도교회에서 만들어진 바울의 지도자 상(image)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바울의 수사적 능력에 집중할 것이다. 이는 1세기 그리스-로마 문화에서 수사학적 능력은 한 공동체의지도자의 역량을 판단하는 잣대였다는 확신 때문이다. 지난 세기 많은바울 학자들은 바울을 수사학자로 보면서 그의 서신을 그리스-로마의수사학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본 고는 바울을 교육받은 그리스-로마 수사학자로 보는 입장이 정당한지를 유대 종교와 교육적 배경(빌 3:5; 갈 1:13; 고후 11:22), 그리스-로마의 수사적 능력(고후 10:10‐11; 11:6; 고전 2:1-5)에 대한 바울의 자서전적 주장을 근거로 논의할 것이다. 바울은 그의 서신에서‘설득력 있는 기술’을 이용한 언변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며(고전 2:1-5), 더불어 고전 수사학적 기술에 있어서 ‘아마추어’(ivdw,thj)로서 그의 실제 사역과 선포는 수사적 기술과 효과에 의존하지 않았다는 것이 밝힐 것이다. 물론 여러 학자들이 지적한 것처럼바울서신에는 그가 당대의 여러 수사학적 기술을 사용한 흔적으로 볼수 있는 증거들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증거들 자체가 그가 수사학을전문적으로 받았다는 것을 증명해주지 못한다. 오히려 바울의 수사적기술로 알려진 것들은 회심 후 그가 그리스-로마 지역 선교여행 중익혔던 대중적인 의사소통 기술이라는 주장과 그 당시의 대필 문화의관점에서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관측으로 세 가지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첫째, 바울서신을그리스-로마의 수사학적 표준에 맞추어 분석하려는 일련의 학자들의시도는 바울의 자서전적 고백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둘째, 반대로 바울의 문학적 수사적 능력 자체에 회의적인 학자들 역시 바울이 보이는 언어적 수사적 능력이 1세기의 구술-청각 의사소통 문화를 고려할때 불가능한 것이 아님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위의 결론은 수사학적 능력에 비례하여 지도자 역량이 판단된 그리스-로마 사회의의사소통 문화에서 수사학적으로 아마추어였던 바울의 리더십이 고린도 교회에서 어떻게 비춰졌는지 고려해 보아야 한다. 그리스-로마 문화권에서 수사적 기술은 대중적인 지도자에게 필연적으로 요구되었던자격 조건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울의 아마추어적 의사소통 전달기술은 그의 고린도 교인들에게 그는 육체에 자랑할 것이 없는 지도자라는 상(image)을 만들기에 충분한 조건이었다. 수사학과 관련해서 만들어진 ‘육체’에 자랑할 것이 없는 바울의 지도자 상은 고린도후서 13:4이 밝히듯이 그는 복음의 내용(message)‒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말로만 전하는 사역자가 아니라 복음을 전하는 전파자(messenger)의 삶의 모습으로도 그 복음의 주체이신 예수를체현하려 한 사도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예수의 구약 해석

        박윤만(Yoon Man Par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5 신약연구 Vol.14 No.1

        Jesus incorporates and makes use of Scripture mainly by use of three characteristics which are authoritative, embodied, and subversive.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tative reading is demonstrated in the Sabbath controversy. Jesus makes direct references to the story of David(I Samuel 21:1-6) in order to justify the actions of his disciples. And through the use of this reference, which consists of David authority, which was bestowed upon him via being anointed, being used to protect and shield his companies illegal actions, Jesus argues that his disciples actions can thus be justified because they were with him and their deeds were made for the benefit of Jesus. In addition, Jesus argues that the disciples' deeds which may seem heretical on the day of Sabbath can be justified based on God s original intentions for the Sabbath day which emphasize that the Sabbath is for the benefit of human beings. Jesus identifies himself with the Son of Man , and pronounces that he is able to interpret the true meaning of Sabbath by the authority of the Son of Man. The embodied way of reading the Old Testament is made clear in the conversation with the rich man(10:17-31). Jesus suggests keeping the Ten Commandments to the man who raises the question of what he should do to inherit the eternal life. But after hearing that he had kept them the commandments from his childhood, Jesus calls him to follow him after selling and giving all that he had. The soteriological implication beyond ethics is made clear in Jesus suggestion. This is because keeping of the commandments was understood as a way of securing eternal life and wealth was considered to be a sign of the blessing of God which would be given to the well-keeper of the Torah. Instead, Jesus proposes that the way to eternal life is to be a follower of his own, forsaking an attempt to keep the soteriological sense of security in terms of obtaining the wealth. It is clear that the belief that he is the eschatological revealer of God who does not only know Gods will perfectly but also acts according to it must be behind his proposition that following him is a way of obtaining eternal life. The subversive way of reading of Scripture is demonstrated in the parables of the seed growing by itself (4:26-29) and the mustard seed (4:30-32), each of which refer to texts respectively from Joel (3:12-13) and Daniel (4:11-12). The parable of the seed growing by itself is focused on the sovereignty of God and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is mainly concerned about demonstrating the power of the kingdom of God which grows beyond human expectations. Such an emphasis on God s sovereignty is highlighted by incorporating into Jesus own discourse texts from the Old testament which are at the end of each parable. In the parable of the seed growing by itself, Jesus changes the metaphor of harvest from God s judgment of nations (Joel 3:12-13) to that of harvest for God s grace. The big tree with shelter for many birds and animals (Daniel 4:11-12), of which Jesus uses in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originally refers to king Nebuchadnezzar who brought the Israelites into Babylon as captives. But Jesus makes use of the parable to refer to the kingdom of God which he proclaims and under which many nations find shelter. In such a subversive reading Jesus shows that the kingdom of God progresses towards its fulfillment by itself and beyond human expectations. Finally, the present study makes an attempt to show that the source of Jesus distinctiv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is his self-understanding as an eschatological revealer of God s will.

      • KCI등재

        고난 받는 인자에 대한 “기록” : 막 9:12와 4:21에 드러난 예수의 구약 사용 연구

        박윤만(Yoon Man Par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9:12와 14:21에서 예수님이 인자의 고난이 “기록”되었다고 하셨을 때 구약성경 중 어떤 구절을 염두에 두셨는지를 연구한다. 다수의 학자들이 인정하는 것처럼 예수님의 인자 사용은 다니엘 7장을 그 배경으로 한다는 해석이 가장 설득력 있다. 하지만 다니엘의 “인자 같은 이”(13절)는 고난 받는 존재가 아니다. 논자는 9:12의 “인자에 대하여 기록하기를”과 14:21의 “인자는 기록된 대로 가거니와”를 예수께서 말씀하셨을 때 다니엘 7장의 “인자 같은 이”와 함께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에 관한 구절을 심중에 두셨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논자는 근접, 원접 본문의 고난 받는 인자 어록의 도움을 받아 9:12와 14:21을 주해하면서 다니엘 7장과 이사야 53장의 언어와 주제가 해당 본문의 인자 어록에 어떻게 반향 되고 있는지를 논증할 것이다. 그런 후 제 2 성전 시기유대 문헌에서도 예수님처럼 다니엘의 인자의 사역과 역할을 이사야에 등장하는 여호와의 종의 사역과 역할에 비추어 이해하는 해석적 전통이 1 Enoch 36-71(『에녹의 비유』)에 역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런 논증을 기반으로 논자는 9:12와 14:21의 ‘고난 받는 인자’와 관련한 예수님의 구약 사용은 “인자 같은 이”가 등장하는 다니엘 7장과 고난 받는 종이 언급된 이사야 53장을 융합하는 방식이었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The phrase ‘Son of Man’ recurs fourteen times in the Gospel of Mark, in which the suffering of the Son of Man is the most prominent theme. As a result, it is that the suffering Son of Man is characteristic of the Son of Man in the second Gospel. The Old Testament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the theme because Jesus in 9:12 and 14:21 states that the passion of the Son of Man is “writte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Jesus has in mind when he says that the suffering of the son of man is “written.” As many scholars argue, it seems convinced that Jesus’ use of the Son of Man as a self-designation is in a reference to the figure “like a son of man” in Daniel 7:13-14. But the problem is that “one like a son of man” in Daniel 7:13-14 is not a suffering figure. My argument is that Jesus has in mind that figure, his role in Daniel 7, the Suffering Servant, and his role in Isaiah 52:13-53:12 when he utters “it is written about the Son of Man”(9:12) and “the Son of Man goes as it is written of him”(14:21). In support of this argument the exegesis of 9:12 and 14:21 will be processed particularly by the help of ‘co-texts’ in which the suffering of the Son of Man has been uttered whether it be directly or indirectly. The purpose of the exegesis is to show the words and themes of Daniel 7 and Isaiah 53 echoed and alluded in 9:12 and 14:21. And then 1 Enoch 36-71 (the Similitude) will be studied as an example to show that the fusion of the “one like a son of man” in Daniel 7 and Yahweh’s Servant in Isaiah 40-53, which is similar to 9:12 and 14:21, was already made in order to define the role and function of a messianic figure in the second temple Juda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