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제를 넘어선 변형가능성으로서의 재생산: 발터 벤야민의<재생산기술시대의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박영욱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6 No.-

        It is the most well-known theme in the essay "The Art of 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that the original is devaluated and its Aura is fallen with the advent of the technology of reproduction and the flood of replicas. And this situation is considered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art of work ceases to be an idealogical object with the ritual value and become an object enjoyed by everyone. But this kind of narrative reveals the limitation in exposing the radical quality of the work of art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age of the technical reproduction. The nature of the new technology such as photography and film analyzed by Benjamin in the essay "The Art of 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is summarized as 'reproduction' or 'reproducibiliy' including the meaning of 'mutability'. It is just an occasional case that Benjamin's 'reproduction' means 'replication' which (re)produces the copies of the original. The key concepts such as the falling of Aura, the transition from the ritual value to the value of display and distraction in the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well only if the technological reproduction is considered not as the replication but as the reproduction with mutability. It is more evident when we read the essay "The Art of 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in the political context. When we regard the reproduction not as the mere duplication but the reproduction with the mutability, we come to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of the 'aestheticizing of the politics' commited by fascism and the exact meaning of the 'politics of the art' as the revolutionary tactics against the fascism.

      • KCI등재

        증강현실과 디지털 이미지 -20세기 이후 미술의 흐름에서 본 디지털 예술의 의미-

        박영욱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4

        We tended to approach digital media in terms of the paradigm of ‘virtual reality’ when we analys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This approach disseminated the general belief that digital images are perfectly represented images hardly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actual worlds. Although this approach has a partly accepted validity, it falls short of the merit revealing many positive potentials in the digital media.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tues digital images is that digital images are newly found images of the world which seemed very strange to the existing mind. Digital images are the images of Augmented Reality which are really new faces of the real world not exposed to people yet. Therefore we might be led to the misconception that digital arts are completions of the traditional arts prevailing until 19th century based on the logic of the representation of real world. This paper suggest that we should find the meaning of digital arts in the context of the arts after 20th century. After 20th century the main trends of arts changed the direction from the paradigm of virtual reality to the paradigm of augmented reality. In other words artists after 20th century didn’t try to represent the real world but to reveal new faces of the world, namely augment the reality. 디지털 매체를 가상현실의 패러다임에서 접근할 경우 그것은 자칫 디지털 이미지가 현실과 구별되지 않는 완벽한 재현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는생각을 낳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생각이 전적으로 틀린 것이라고 할 수는없지만, 적어도 디지털 이미지가 지닌 잠재적 가능성에 대한 평가에 바탕을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이미지의 미덕은 현실과 구별되지 않는 재현의 이미지가 아닌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 즉 관습적으로 굳어진 현실의 모습과는 다른 현실의 세계를 제시하는 데 있다. 그러한 제시를 통해서 우리가 경험하는현실의 세계를 증강시킨다. 따라서 재현의 논리에 바탕을 두고 현실과 닮은 가상을 창출하고자 하였던 19세기까지의 회화의 맥락에서 디지털 예술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은적절하지 않다. 그보다는 오히려 회화를 현실에 대한 가상적 재현으로 보는것을 절대적으로 거부한 20세기 이후 회화의 맥락에서 디지털 예술의 의미를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20세기 이후 회화의 주도적인 방향은 현실과 닮은 가상현실을 창출하고자 하지 않고 우리가 현실로 받아들이는 현실 자체를 끊임없이 거부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현실의 은폐된잠재적 역량을 펼쳐보이고자 함으로서 현실을 증강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우리는 가상현실이 아닌 이러한 증강현실의 패러다임에서 바라볼 때 디지털예술, 나아가 디지털 매체에 대해서 생산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 KCI등재

        쇤베르크 음악과 현상학적 환원

        박영욱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3 音樂論壇 Vol.30 No.-

        Schoenberg’s new musical methods are not mere results form the negation of the traditional tonal music. It is an unacceptable opinion that Schoenberg’s new music can be regarded as a musical expression of ‘Avant Garde’ movement which negates all the established orders. Schoenberg’s antipathy against the tonal music lies in the narrow attitude embedded in it. Schoenberg’s music can be interpreted as a musical trial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which demands the change of attitude from the natural attitude to the phenomenological one. The goal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ot merely the negation of our empirical world but the searching for the universal. 전통적 조성음악과 다른 새로운 기법을 창안한 쇤베르크의 음악적 시도는 단순히 조성음악 자체를 거부하고자 한 데서 나온 결과물이 아니다. 쇤베르크의 음악이 마치 기존의 질서를 거부하는 아방가르드 정신의 음악적 표현이라는 것은매우 설득력이 떨어지는 주장이다. 앞서 밝혔듯이 전통적 조성음악에 대한 반감의 핵심은 특정한 조성과 화음을 미리부터 주어진 것으로 전제하는 조성음악에내재된 태도에 관한 것이다. 현상학적 용어를 빌어 표현하자면, 쇤베르크의 음악적 시도는 자연적 태도로부터 현상학적 태도로 변경하는 현상학적 환원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상학적 환원의 목표는 우리가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는 이 경험적 세계를 단순히 부정하는데 있는 것이 아닌 그러한 부정을 통해서 보편적인 것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쇤베르크의 무조음악 시기 작품의 몇몇 사례를 들어 그가 사용하는 새로운 법칙들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 충북지역 한지형 마늘에서의 해충 발생현황

        박영욱,전종옥,권영희,정재현,이상영,안기수,김길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최근 기후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한 잦은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충북지역 한지형 마늘재배지 에서 발생되는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청주, 보은, 증평, 제천, 단양지역 마늘재배지역 5곳 18농가이며, 조사결과 응애류 2종, 톡토기류 2종, 파리류 3종, 잎벌레류 1종, 나방류 1종, 총채벌레 1종, 진딧물류 1종, 선충류 1종으로 조사되었다. 돌발해충으로 씨고자리파리가 3월초순 트랩당 20.8마리에서 3월말경 389.9마리로 다발생하였다. 마늘 주요 해충인 뿌리응애는 5개지역중 보은과 증평지역에서 각각 구당 34.9, 32.0마리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Epidermal Growth Factor 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α가 인체 구강편평상피세포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영욱,Park, Young-Woo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1998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0 No.4

        Stimulatory effects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alpha}$($TGF-{\alpha}$) on the growth of squamous cancer cell lines established from human oral cancer tissue with moderate differentiation were studied in vitro. After culturing in serum-free media for 24 hours, growth factors-EGF only, $TGF-{\alpha}$ only and EGF, $TGF-{\alpha}$ together-were added to the media and numbers of cells were analyz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96, 144 hours. Each of EGF and $TGF-{\alph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imula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cells respectively. Dose-dependent relationship of the stimulatory effects were not clearl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EGF were higher than those of $TGF-{\alpha}$ and combinative administration showed higher effects than those of single uses. In conclusion, EGF may play an important and major role in differentiation and growth of human oral squamous cancer cells. $TGF-{\alpha}$, produced from cells activated by EGF, also can stimulate the cell growth and could be an alternative ligand for EGF recep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