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아동에서 두통과 우울성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노영일(Young-Il Rho),문경래(Gyoung-Rae Moon),박영봉(Young-Bong Park),양은석(Eun-Seok Yang),박상기(Sang Kee Park),김은영(Eun-Young Kim),박종(Jong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목적 : 두통은 학동기 아동에서 비교적 흔한 증상으로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인에서 두통과 우울증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소아기 아동에 있어 두통과 우울증과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교실에서는 소아에서 두통과 우울성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9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광주시내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011명(남자:510명 여자: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두통의 유병율, 발생 빈도와 초발연령, 발생부위, 두통의 양상과 정도, 두통의 발생시기, 두통의 전구 증상과 동반 증상, 두통의 유발인자, 두통의 가족력 등 두통의 치료에 관한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10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의 타탕성을 검증하였다. 우울성향을 알아보고자 한국판 Kovasc & Beck의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을 이용하였다. 결과 : 총 응답자 1011명 중 177명(17.5%)이 두통을 호소하였으며, 남아 87명(17.1%) 여아 90명(18.0%)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두통군과 대조군에서 평균우울점수는 두통군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통군에서 우울점수는 남녀의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성향을 보이지만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통의 발생시기, 발생 부위, 두통의 정도, 두통의 민도, 지속시간, 가족력, 두통의 발생 양상에 따라 우울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두통의 양상은 박동성인 경우가 둔통인 경우보다 빈도는 높았으나, 우울점수는 둔통인 경우에 높았으며,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루에서 두통의 발생 시기에서는 학교 가기 전, 학교 수업중에 발생한 두통이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두통의 전조증상으로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에서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두통의 유발요인 중에는 날씨가 좋지 않을 때가 우울점수가 높았다(P<0.05). 결론 : 두통은 소아과 진료에서 흔하게 접하는 증상 중에 하나로 두통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서 두통과 우울이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여 필요하면 정신과적인 치료도 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두통과 소아우울증 발생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one thousand and eleven children(510 boys and 501 girls) of grades 4 to 6 in Gwangju cit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 to June 30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aches and depressive trends was investigated with the Kovasc & Beck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modified for Korean. Result: The prevalence of headache was 17.5%(17.1% among males, 18% among girls). The mean depressive scores in the headache group was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pression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sex, and family history of headache. The depression scores did not correlate with the onset, location, severity, frequency, duration, and onset pattern of headache.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in the dull and tightness pattern(17.46±7.18)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ulsatile and other patterns. The mean scores of depression in the onset time of occurrence of headache were significantly high before school(24.33+5.69), at school(15.66}6.32, P<0.05).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in the aura was significantly high "inaudible(22.00±9.49)" and in the trigger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 weather change(16.18±6.85, P<0.05). Conclusion: Based on our analysi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o, we suggested that depressive trends should be evaluated in children with headache.

      • KCI등재후보

        식욕부진이 있는 4세 이하 영.유아의 식이 습관에 대한 조사

        윤영훈,박영봉,양은석,노영일,김은영,문경래,이철갑,Yoon, Young-Hun,Park, Yeung-Bong,Yang, Eun-Seok,Rho, Young-Ill,Kim, Eun-You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2

        목 적: 성장 장애의 비기질적 원인인 식욕부진의 원인으로 부적절한 양육, 부적절한 칼로리의 섭취, 부적절한 식이 습관 등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영양 지도 및 평가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성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욕 부진이 있는 4세 이하의 영 유아에서의 식이 습관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02년 5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4개의 개인 병원을 방문한 504명의 아이들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본 교실에서 제작한 설문지를 보호자가 기재하도록 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 138명과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 366명의 체중 증가의 정도, 신생아 시기의 수유 방법과 수유량, 수유시기,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과 시기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대상아 중 식욕부진이 있는 아이는 138명(27.4%)이었고,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는 366명(72.6%)이었다.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 중에서 남아는 전체의 14.7%이었고, 여아는 12.7%이었으며, 식욕부진이 없는 경우는 남아가 전체의 39.1%이었고, 여아는 33.5%이었다. 2) 식욕부진이 있는 아이의 체중 분포는 3 백분위수 미만이 8.7%, 3~10 백분위수가 15.9%, 10~25 백분위수가 20.3%, 25~50 백분위수가 23.3%, 50~75 백분위수가 18.8%, 75~90 백분위수가 5.8%, 90~97 백분위수 5.1%, 97 백분위수 이상이 2.2%이었다. 3) 모유수유율은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는 18.8%,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는 20.3%이다. 4) 6개월 이내의 짧은 모유수유기간은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는 70.5%,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는 58.5%이다. 5) 이유식의 시작 시기는 식욕 부진이 있는 아이의 경우에 2~4개월 때 15.9%, 4~6개월 때 32.7%, 6~8개월 때 38.1%, 1세 이상일 때가 18.8%로 식욕 부진이 없는 아이의 경우 2~4개월 때의 5.6%와 비교하면 이유식을 4개월 이전에 너무 빨리 시작한 경우가 15.9%로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6)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은 식욕 부진이 있는 경우는 80.4%에서 식욕 부진이 없는 경우도 66.6%에서 젖병을 이용하는 잘못된 이유 방법을 하고 있었다. 7) 식사시에 항상 다른 일을 하는 경우는 식욕 부진이 있는 경우는 17.3%, 식욕 부진이 없는 경우는 10.7%이었으며, 항상 식사에만 집중하는 경우는 식욕 부진이 있는 경우는 2%, 식욕 부진이 없는 경우는 12.7%이었다. 8) 식욕 부진으로 상담을 받았던 곳은 한방병원 68%, 소아과 20%, 내과 3%, 약국이 8% 순이었다. 9) 식욕 부진으로 복용한 약물의 종류는 한약이 77%, 영양제가 15%, 비타민제제는 8% 순이었다. 결 론: 영 유아의 식욕부진은 낮은 모유 수유율과 짧은 기간, 잘못된 이유 시기 및 방법, 식사시의 집중도, 편식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식욕 부진아의 대부분이 소아과의원 이외의 다른 기관에서 진료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책 강구와 올바른 영 유아의 영양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between poor feeding and non-poor feeding children. Methods: We performed questionnaires on 504 children under four years of age who visited hospitals in Gwangju city and JaollaNamdo from May to August, 2002. Results: 138 (27.4%) children were included in poor feeding group, and 366 (72.%) children were in non-poor feeding group. Breast feeding rate was 18.8% in the poor feeding group and 20.3% in the non-poor feeding group. Duration of breast feeding for less than six months were noted in 70.5% of poor feeding group, and 58.5% of non-poor feeding group. The time at starting solid food in the poor feeding group was as follows; 15.9% of infants started on solid food when they were 2~4 months old, 32.7% during 4~6 months, 38.1% during 6~8 months and 18.8% over one year of age. Solid food was given in wrongly manners in both groups by nursing bottles, including 80.4% in poor feeding group and 66.6% in non-poor feeding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close relationships among poor feeding children under four years of age with history of low rate and short duration of breast feeding, inappropriate time to start on solid food, less interest in food during mealtime, and unbalanced diet. Pediatricians should make an effor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nutritional education and treatment in children.

      • SCOPUSKCI등재

        초기 정복에 실패한 장중첩증 환자에서 반복 지연 정복술의 임상적 의의

        신송희,노영일,박영봉,문경래,Shin, Song-Heui,Rho, Young-Il,Park, Young-Bong,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2

        목적: 공기 정복술은 조작이 간단하고 정복 시간이 빠르며 방사선 노출 시간이 짧고 천공 이환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장중첩증 치료에 정복술에 실패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되는데 대부분은 장절제 없이 단순 도수 정복만으로 치료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당수에서는 이미 정복된 상태로 발견되기도 한다. 일차 공기 정복술에 실패한 장중첩증 환자에서 반복 지연 정복술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 및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일차 공기 정복술을 시행하여 실패한 환자 중 복막염, 쇼크, 독성 증상이 없는 임상적으로 안정된 21명을 대상으로 1시간에서 3시간(평균 2.2 시간)후에 이차 지연 정복을 시행하였다. 결과: 정복술 시행 전 환자들의 증상 및 징후의 지속 시간은 6~48시간이었으며 평균 24시간이었다. 일차 정복 후 1~3시간 후(평균 2.2 시간)에 이차 지연 정복술을 시행하였고 76.2% (21례 중 16례)에서 성공적으로 정복되었으며 나머지 5례는 수술적 치료를 하였다. 이중 4례는 도수 정복되었으며 1례는 자연 정복되어 있었다. 결론: 초기 정복에 실패한 장중첩증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안정적일 경우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지연 정복술을 시행하는 것은 불필요한 수술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dvantages of air reduction are the ease of performing the procedure, reduced radiation time and lower morbidity rate if perforation occurs. But, patients who fail air reduction undergo a laparotomy at which 10% have spontaneously reduced. The first enema decreases the edema and venous congestion of bowel wall, thus repeated reduction may succe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elayed repeated pneumatic reduction of intussusception in patients with failure of an initial attempt.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1999, 21 patients with proven intussusception received repeated delayed reduction 1 to 3 hours following the first failed attempt. These patients were in stable condition and did not have peritonitis, shock or toxic sign. Results: Before reduction, the patients had symptoms and signs for 6 to 48 hours (median 24 hr). The interval from the first reduction to the repeated was 1 to 3 hours (median 2.2 hr). The success rate of repeated reductions was 76.2% (16 of 21 patients), and 23.8% (5 of 21 patients) required surgery. Four of 5 patients requiring surgery were manually reduced and 1 spontaneously reduced in the operating room. Conclusion: We recommended a repeated reduction in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 who are in stable clinical condition after an unsuccessful initial reduction attempt.

      • 비씨지 접종부위에 심한 궤양과 육아종을 보인 고면역글로불린 E 증후군 1례

        노정아,노영일,문경래,박영봉,양은석,Rho, Jeong A,Rho, Young Il,Moon, Kyung Rye,Park, Young Bong,Yang, Eun Seo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3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0 No.1

        Hyperimmunoglobulin E syndrome(HIES) is a primary immunodeficiency characterized by severe recurrent soft-tissue infections, pneumonias, pruritic dermatitis and markedly elevated serum IgE levels. Pneumatocele and empyema develop as result of recurrent pneumonias. It is inherited in an autosomal dominant fashion, with variable expressivity. We experienced the case of a 10 month old girl with hyper IgE syndrome. Patient was admitted for local ulceration and muscle soreness at the site of BCG inoculation. The diagnosis of hyper IgE syndrome was made because she had a coarse facial appearance, pruritic dermatitis, pneumatocele and markedly elevated serum IgE level with a past history of frequent skin abscess and pneumonia.

      • SCOPUSKCI등재

        Mycolasma pneumoniae 감염에 의한 뇌경색증 1례

        안영준,최기철,양은석,박영봉,박상기,문경래,김영숙,Ahn, Young Joon,Choi, Ki Cheol,Yang, Eun Seok,Park, Yeong-Bong,Park, Sang-Gi,Moon, Kyung Rye,Kim, Young Sook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2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is usually confined to the respiratory tract but it can cause a variety of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such as rashes, myalgia, hemolytic anemia, cerebral infarction, transverse myelitis, cerebellar ataxia, Guillain-Barre syndrome and meningoencephalitis. Neurologic complic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have been rarely reported until now. Cerebral infarction as a complication of mycoplasma infection in children has been very rarely reported. In our case, in a young girl with M. pneumoniae infection, a cerebral infarct resulted in persistent and significant neurological dysfunction. We report a 11-year-old girl with cerebr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clinical and serologic evidence of Mycoplasma infection.

      • SCOPUSKCI등재

        학동기 아동의 비만유병률과 체중조절 실태에 관한 연구

        노영일,김강호,양은석,박영봉,박상기,박종,문경래,Rho, Young-Ill,Kim, Kang-Ho,Yang, Eun-Seok,Park, Young-Bong,Park, Sang-Kee,Park, Jong,Moon, Kyung-Ry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2

        목 적: 초등학교 아동에서 체중조절 실태를 조사하고 비만도, 체형인식 정도와 체중조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무분별한 체중조절에 의한 건강장애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1997년 5월부터 1997년 6월까지 광주시내 5개 초등학교 5, 6학년 1,741명을 대상으로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비만도를 계산하고 체형인식과 체중조절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결 과: 1) 비만도를 기준으로 남학생에서는 비만 19.5%, 정상 70.5%, 야윈 경우 10.1%였으며, 여학생에서는 각각 10.5%, 66.3%, 23.1%였다. 설문조사에서 자신의 체형을 비만, 정상, 야윈 경우로 응답한 경우가 남학생는 각각 18.4%, 58.4%, 23.2%이었으며, 여학생는 각각 24.5%, 58.6%, 16.9%이었다. 2) 체형을 인식하는 기준은 체중을 직접 재보고 88.0%, 친구와 비교해서 77.9%, 부모가 뚱뚱하다고 해서 62.7% 등의 순이었다. 3) 체중조절을 위한 정보을 얻은 곳은 라디오. TV 44.%, 책.신문.잡지 30%, 가족.친척 17%, 친구.선배 9%순이었다. 4) 비만도를 기준으로 정상이거나 야윈 남학생의 6.8%, 여학생의 19.4%는 자신이 비만에 속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비만도를 기준으로 비만인 남학생의 32.6%, 여학생의 28.7%는 자신이 정상 체중에 속한다고 응답하여 여학생이 비만에 대해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5) 비만도를 기준으로 남학생에서는 야윈 경우 18.0%, 정상 18.7%, 비만아의 36.7%에서, 여학생에 서는 야윈 경우 17.8%, 정상 22.4%, 비만아의 46.3%에서 한가지 이상의 체중조절 방법을 2주 이상 하였다(p<0.0005). 6) 실제체중이 정상 이하인데 정상이라고 인식하는 아동의 17.3%, 비만하다고 인식하는 아동의 37.2%에서 2주 이상 계속 한가지 이상의 체중조절을 하였다(p<0.001). 결 론: 학동기 아동에서 심지어 야윈 경우에서조차 체중조절 방법을 실시하고 있어 무분별한 체중 조절로 인하여 성장장애, 영양결핍 등의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적절한 보건교육의 도입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revalence of obesity by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and the relationship of the body image to dieting methods for weight control in children.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by an anthropometry and a special questionnaire on children in grades 5 to 6 at elementary schools from May to June 1997 in Kwangju city. Results: 1) Selected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obese, normal, thin by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and body image. The prevalence of obesity by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was 19.5%, normal was 70.5%, thin was 10.1% in males and respectively 10.5%, 66.3%, 23.1% in females.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regards to body image was 18.4%, normal was 58.4%, thin was 23.2% in males and respectively 24.5%, 58.6%, 16.9% in females. 2) The obese body image was 6.8% in normal and thin groups in males and 19.4% in females. The body image of obese children who do not perceive themselves as obese was 32.6% in males and 28.7% in females. 3) The standard body image was 88.8% as realized by themselves, 77.9% when they compared themselves to friends, 62.7% as told by parents, 56.8% as told by friends, and 29.9% when they compared themselves to celebrities. 4) The source of information for dieting treatment was 44% from radio and television, 30% from books, newspapers, magazines, 17% from family and 9% from friends and seniors. 5) The prevalence of diet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weight for height was 18.0% in thin, 18.7% in normal and 36.7% in obese group in males and respectively 17.8%, 22.4%, 46.3% in fema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005). 6) The prevalence of dieting up to 2 weeks in the thin and normal groups as recognized by weight centile was 17.3% according to body image. The prevalence of dieting up to 2 weeks in the obese groups was 37.2% according to body image (p<0.001). Conclusion: We suggest that many students perceived their body size incorrectly and tried weight control. The incorrect perception of body size seems to cause the problem of failure to thrive, malnutrition etc. It is necessary for further study to find and prevent side effects by unnecessary weight control and to provide proper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about obesity.

      • 소아 비만아의 사춘기 이후까지 장기간 추적 관찰

        조성종,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영봉,문경래,이철갑,Cho, Sung-Jong,Kim, Eun-Young,Rho, Young-Il,Yang, Eun-Suk,Park, Young-Bong,Moon, Kyung-Rye,Lee, Chul-Gab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1

        목 적: 소아 비만의 관리에 도움이 되는 평가자료를 삼고자 성장이 완료되는 사춘기 이후까지 비만아의 변화 상태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방 법: 1992년에 7세였던 아동들 중 13세(1998년)와 17세(2002년)에 추적이 가능하였던 학생 1559명(남아 753명, 여아 806명)을 대상으로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여 비만도를 계산하였다. 비만도는 1998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측정한 한국 소아의 신장별 체중의 50백분위수를 표준 체중으로 하여 비만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1) 7세 때 비만의 유병률은 3.1%였고 13세 때 7.1%, 17세 때 13.0%로 증가하였다(p<0.05). 2) 남아에서 7세 비만아 중 66.6%가 17세에도 비만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아에서는 68.4%가 17세에도 비만을 유지하고 있었다. 3) 비만아에서 비만율의 변화를 보면 남아에서 는 7세 때 경도 비만 60%, 중등도 비만 37.7%, 중증 비만 2.3%였고, 17세 때는 각각 50%, 41.1%, 8.9%였다. 여아 비만아에서는 7세 때 경도 비만은 73.7%, 중등도 비만은 21.1%, 중증 비만은 5.2%였고, 17세 때에는 각각 66.7%, 30%, 3.3%였다. 4) 성별에 따른 비만의 발생율은 7세 때 정상이었던 남아들 중에서는 12.7%가 17세 때 비만이 발생하였고, 여아 중에서는 9.8%가 17세 때 비만이 발생하였다(p>0.05). 결 론: 소아 비만아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춘기 이후에도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고, 남아에서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비만한 남아에서는 여아와 달리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도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경도와 중등도의 비만한 남아들이 중등도 비만이나 고도 비만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여아에 비해 많았다. 따라서 소아 비만아에서 학동기 뿐만 아니라 사춘기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치료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studied the prevalence and long-term trend of childhood obesity after puberty to help in managing and treating obesity. Methods: We surveyed obesity index of children at age 13 and 17 who was diagnosed as obesity at their age 7. 1,559 students consisting of 753 boys and 806 girls had followed up since 1992 until 2002. Obesity was defined as the obesity index over 20 percent.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3.1% at age 7, 7.1% at age 13 and 13.0% at age 17, whic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getting older in age in both sex. Among obese children at age 7, 67.5 percent remained obese at age 17. 66.6% of the obese boys at age 7 and 68.4% of the obese girls at age 7 remained obese at age 17. The proportion of severe obesity in obese boys was increased as they were old, but not in obese girls. The progression to moderate and severe obesity at age 17 was prominent for obese boys at age 7, compared to the obese girls. 12.7% of normal weight boys at age 7 and 9.8% of normal weight girls at age 7 became obese at age 17.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during puberty is as important as those in the childhood.

      • SCOPUSKCI등재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문경래,노영일,서우철,박영봉,김만우,서재홍,박상기,Moon, Kyung-Rye,Rho, Young-Ill,Seo, Woo-Chul,Park, Yeong-Bong,Kim, Man-Woo,Seo, Jae-Hong,Park, Sang-K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2

        Purpose: Proliferation of bile duct-like structures and fibrosis is a hepatic cellular reaction observed in most forms of human liver disease and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liver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Ito cells and bile duct proliferation in the rat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CBDL). Methods: Hepatic morphological abnormalities were examined in rats whose bile ducts had been irreversibly ligated for 15, 21, 24 and 28 days. The liver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alpha}$-smooth muscle actin, the known marker of activated Ito cells, and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Results: After CBDL, the bile canalicular proliferation and interstitial fibrosis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periportal areas extended to hepatic sinusoids. Ito cells positive for ${\alpha}$-smooth muscle actin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periductular space and in perisinusoidal space of Disse. Ito cells and myofibroblasts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interstitial fibrosis until the 28th day after CBDL. Ito cells and myofibroblasts had microfilaments with dense body at the periphery of the cell.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Ito cells may be fibroblastic or myogenic. It has also been postulated that during the development of hepatic fibrosis, Ito cells become myofibroblasts or fibroblast like cells.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의 발열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 인자 :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노정아,노영일,양은석,김은영,박영봉,문경래,Nho, Jeong A,Rho, Young Il,Yang, Eun Seuk,Kim, Eun Young,Park, Yeong Bong,Moon, Kyung Ry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저자들은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3세 이하의 소아에서 초기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 정량적 검사를 통해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으로 선택하여 세균성 감염의 고위험군을 예측하고 항생제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입원치료 하였던 환아 중 진찰 소견에서 발열에 대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었던 1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7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들을 세균성 감염과 비세균성 감염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진단 기준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를 계산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를 차단점(cut-off point)으로 선택하여 그 수치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71명(남아 44명, 여아 27명)이고, 평균 연령은 12.7개월이었다. 세균성 감염인 경우는 20례(28%)이었으며, 요로 감염 12례, 세균혈증 5례, 뇌막염 3례 순이었다. 감염균은 E.coli 6례, K.pneumoniae 3례, E. faecalis 3례, Streptococcus ganguinis 3례, Salmonella 2례, S.aureus 1례,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1례, Streptococcus constellatus 1례였다. 총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성 단백질은 세균성 감염군과 비세균성 감염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8, 0.009, 0.002). 양성예측치와 우도비는 총 백혈구 수는 20,000/mm^3$ 이상에서 75%, 7.65이었으며, 적혈구 침강 속도는 30-50 mm/hr에서 60%, 3.83이었다. C-반응성 단백질의 양성 예측치와 우도비는 3-6 mg/dL에서 63%, 4.25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치에 이르는 수치는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이었으며, 이 값에서의 민감도는 각각 75%, 79%, 83%, 특이도는 75%, 68%, 77%이었다. 결 론 : 비특이적 소견을 보이는 3세 이하 발열 환아에서 차단점을 총 백혈구 수 20,000/mm^3$, 적혈구 침강 속도 30 mm/hr, C-반응성 단백질 3.0 mg/dL으로 적용할 때 세균성 감염에서 선택적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Our examination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agnostic properties of the cutoff point for the prediction of bacteremia in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Cutoff point is the value that simultaneously maximizes bo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who clinically have no identifiable source of fever. Peripheral blood leukocyte count(WBC), absolute neutrophil count(ANC),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 and C-reactive protein(CRP)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All patients received blood culture, urine culture and/or CSF culture. Bacterial infection was defined as single pathogen isolated from the CSF or blood or a urinary tract infection (UTI). Patients were dichotomized into two groups : those with bacterial infection and no bacterial infecti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two groups. Results : Seventy-one patients(44 males; 27 femal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nty patients (28%) had a serious bacterial infection(twelve urinary tract infection, five bacteremia, three meningitis) and fifty-one(72%) had no serious bacterial infection. WBC, ESR and CR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0.05). The cutoff point of WBC, ESR and CRP were $20,000/mm^3$, 30 mm/hr and 3.0 mg/dL,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cutoff point were WBC(75%, 75%), ESR(79%, 68%) and CRP(83%, 77%),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data show the ability of predictors to identify febrile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with bacterial infection. Febrile children who reach the cutoff point must be treated intensively and those who do not reach the cutoff point can be carefully managed without administering antimicrobial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