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Alternating Attention and Context Use during Sentence Processing in Older and Younger Adults

        박영미,Park, Youngmi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노화로 인한 인지의 변화는 정상 노인들의 통사처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데 작업기억용량이 중요한 인지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명사구 연결 전치사구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문맥을 제시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정상 노인과 젊은 성인이 어떻게 명사구 연결 전치사구를 처리하는지 단어별 자율조절읽기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이 때 어떤 인지기능이 문맥 이용을 통한 명사구 연결 전치사구의 처리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정상 노인은 읽기과제에서 문맥유무에 상관없이 젊은 성인보다 읽기속도가 느렸다. 그러나 두 그룹 모두 문맥이 존재할 때 명사구 연결 전치사구의 처리 속도가 빨랐다. 즉, 노인들의 노화로 인한 인지의 저하는 처리 속도만 느리게 했을 뿐 질적인 면에서 차이는 없었다. 문맥을 이용한 명사구 연결 전치사구 처리 시 관련된 인지기능은 교대주의력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용량의 역할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노화가 통사처리에 끼치는 영향은 반드시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통사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통사 구문의 종류에 따라 관련된 인지기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gnitive decline in aging is known to yield detrimental effects in syntactic processing and working memory capacity is the most crucial cognitive function in understanding older adults' sentence processing skills. This study examined how young and older adults utilize contextual information while resolving NP-attached Ps vis word-by-word self-paced reading paradigm. In addition, the study asked which cognitive functions play roles on the use of a NP-supporting context during processing of NP-attached PP. When NP-attached PP was presented in a supporting context, both age groups performed faster than in the null context condition. Among different cognitive functions, alternating attention skills were correlated with the ability utilizing context during syntactic ambiguity resolution and working memory capacity was not found to be crucial for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ging does not always affect older adults' syntactic processing negatively and relevant cognitive fun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yntactic structure.

      • KCI등재

        孔聖學(공성학)의 『湯島紀行(탕도기행)』에 대하여

        박영미 ( Youngmi Park ) 우리한문학회 2015 漢文學報 Vol.32 No.-

        『탕도일기』는 공성학이 지은 여행기이다. 그는 개성출신의 인삼 거상으로 경학원의 부제학이 되었다. 그는 개성 지역의 문화 발전에 열심히 활동 하였으며 특히 김택영의 출판 사업에 있어 주요 패트런이었다. 그가 동경에 위치한 탕도에 간 것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었다. 그는 1935년 일본에서 개최된 탕도성당부흥기념 유도대회에 참가하고 『탕도기행』라는 보고서를 썼다. 그래서 『탕도기행』은 여행담이 소략하고, 유도대회와 관련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 대회는, 일본제국이 만주를 침략하고 국제연합을 탈퇴한 후 세계적으로 비난을 받고 고립되어가던 와중에 개최된 것이다. 중국에 대한 관계 개선을 목적으로 하였지만 동시에 결집된 동아시아를 보여주며 서방에 대해 시위를 하고자 기획된 것이었다. 일본제국은 ``왕도정치`` 의 구현과 도덕의 회복이라는 방법을 통해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킬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황도정치라고 하였다. 공성학은 유교의 부흥을 염원하였던 사람으로 일본제국의 선전에 깊이 매료되었다. 그는 조선에도 일본제국의 황도정치와 교화가 곳곳에 이루어지고, 민심이 변하여 도덕이 회복되길 기대하였다. 『A record of Kong``s travels Yusima(湯島紀行)』 is written by Kong, Sunghak (孔聖學). He contributed to the culture development on Kaesung province, and he was regarded as patron for Kim Takuyoung``s the publishing business. He attended Confucian`` Conference for Yusima Seito Reconstruction held in Tokyo. And he submitted the report A record of kong``s travels yusima (湯島紀行) . The contents of A record of Kong``s travels Yusima(湯島紀行) was the statement and sketch about Confucian`` Conference. This conference was held after Japanese colonial which caused the Manchurian Incident and withdrew from the United Nations. The world blamed for Japanese colonial. Japanese colonial wanted to mend to drive with China and demonstrate for the west. Japanese Colonial declared to keep the peace of Asia by ``the rule of royal``. Kong fascinated the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 He hoped for realizing the rule of royal by Japanese Colonial and It caused recovery of moral in Chosen.

      • 중소형조선소 생산계획을 위한 중일정 계획 시스템 구조 연구

        박영미(Youngmi Park),박대희(Dae-Hee Park),이필립(Philippe Lee),남승훈(Seunghoon Nam),정용국(Yong-Kuk Jeong),류철호(Cheolho Ryu),최양열(Yang-Ryul Choi) (사)한국CDE학회 2016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동계

        대형 조선소에 비해 정보화 및 PLM 분야에 가용한 자원이 부족한 중소형조선소에서 필요한 생산계획 시스템 중에서 전산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최종 단계를 중일정으로 볼 수 있다. 중일정을 효과적으로 전산 시스템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과 연관 관계를 분석해야 중소형조선소의 중일정에 대한 생산계획 시스템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이상적인 수준의 중소형조선소 중일정 생산계획 시스템의 구조를 연구하고 각 조선소별 평가를 위해 기초를 마련하는데 주목하였다.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참여유형과 참여기간을 중심으로

        박영미(Park Youngmi),제갈돈(Jegal Don),김병규(Kim Byungkyu)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 중 어떤 유형이 상대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와 참여기간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의 궁극적 목적 중 하나인 노인의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감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A도 A시에 거주하는 노인 가운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8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신뢰도 분석, F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질은 교육형이 준거기준인 고유형에 비해 노인의 삶의 질 하위요소인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 존중감,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복지형이 노인의 삶의 질 하위요소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기간이 주관적 경제 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일자리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typ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ore positively, a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eriod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hich are composed of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financial conditions, self-worth, self-efficiency, and depression For the study, 833 of the elderly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t the time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results, the education type influences subjective physical condition, self-worth, and self-efficiency positively than the original type does. The welfare type influences self-worth and self-efficiency more positively than the original type does. The length of participation period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of the life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lternatives are presented.

      • KCI등재

        17세기 성균관의 인적 구성과 역할

        박영미 ( Park Youngmi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3

        이 연구는 17세기 성균관의 인적 구성과 역할을 『태학성전(太學成典)』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균관은 관원, 실무직, 유생의 세 종류의 인적 자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원은 ‘관원(官員)’ 항목에서 총 19개를 확인하였다. 전체 인원은 40명이나, 성균관에 상주하는 인원은 약 27명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경국대전』 규정에 좨주(祭酒)와 사업(司業), 겸관(兼官) 등이 추가된 것이며, 겸관을 제외하고는 『속대전(續大典)』 규정에도 포함되어 있다. 『태학성전』과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에서 추출한 교관의 역할은 의례(儀禮) 업무, 유생 지도, 성균관 내 행정 업무 등이며, 타관(他官)의 업무를 겸임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무직은 ‘차역질(差役秩)’ 항목에서 총 21개의 직명을 확인하였다. 실무직은 행정 업무와 의례 보조, 식사 제공을 위한 식당 업무, 물품 공급 등의 일을 하였다. 『태학성전』에 나오는 실무직의 직명과 인원 등 간단한 내용은 『육전조례(六典條例)』, 『태학지(太學志)』,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유생(儒生)에 관해서는 『태학성전』에 직접적으로 기록된 바는 없으나 『태학성전』 내의 ‘재중규식(齋中規式)’ 등의 항목에 산재해 있는 기록을 모아 볼 때, 성균관 운영의 기준 인원은 75명으로 추정된다. 생원과 진사, 하재생 등 거재 유생 외에도 방외유생(方外儒生)과 사학유생(四學儒生) 또한 성균관의 관리 아래에 있었다. 이들은 거재하여 생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의례 참여와 학습활동, 자치활동 등의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성균관에 관한 사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태학성전』을 통해 성균관의 인적 구성 상황을 대략적으로나마 그릴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이후 성균관 연구에 있어서의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태학성전』에서 성균관의 인적 구성과 역할에 관련된 조항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므로, 『태학성전』의 다른 부분에 대한 연구와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균관에 필요한 비용과 보유 자산에 대한 내용, 양현고 관련 내용은 당시 성균관의 재정 규모가 어느 정도 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다른 사료들과의 교차 검증과 비교를 통해서 성균관의 모습이 더욱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onstituent and role of human resource of Sungkyunkwan(成均館) of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at focus of Taehakseungjeon(太學成典). Sungkyunkwan consisted of three human resources, instructors(官員), workers(實務職), and students(儒生). There were 19 job titles of instructor. It is estimated that about 27 instructors were stationed in Sungkyunkwan. They performed the following roles; ritual task, instruction, and administrative work, etc. There were 21 job titles of workers. They performed the following roles; practical affairs, assistant of practical affairs, cooking and supply goods to Sungkyunkwan. Although there was no direct record of the student in Taehakseungjeon, to sum up like ‘Jaejunggyusik(齋中規式)’, the criterion of number of student was 75. They had to live in Sungkyunkwan in principle. They were Saengwon(生員) and Jinsa(進士) at base. Bangwoe students(方外儒生) and Sahak students(四學儒生) were also included in the management scope. They did the following activities; participation in ceremony, learning, and self-governing activities, et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onstituent and role of human resource of Sungkyunkwan in 17th century was able to be approximately drawn. Through this, basic data of Sungkyunkwan research in the latter Joseon dynasty can be prepared. This study is focus on human resource, so there is a need to research the other parts. Especially the cost and assets information can be used examine the financial scale of Sungkyunkwan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hat Sungkyunkwan can be shown more specifically through cross verification with other records.

      • KCI등재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박영미(Park, Youngmi),김병규(Kim, Byungkyu)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살률의 지역적 편차에 기초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에 따라 자살률이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자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적 의지라고 볼 수 있는 자살예방에 관한 조례 제정과 실행정책으로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설치・운영이 지역의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분석하 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13~2015년 자살률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자치단체의 자살예방 조례 제정과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설치・운영 각각은 지역의 자살률을 낮추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살예방 조례를 제정하는 동시에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운영하는 기초자치단체들에서는 다음 해의 자살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조례 제정과 더불어 실질적인 자살예방사업을 수행하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운영이라는 정책수단이 동시에 병행될 때 자살률 감소라는 긍정적 효과를 거둔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on suicide rat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Specifically, how the enactment of ordinance for suicide pre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center influence suicide rates with 226 local government data. In results, the enactment of ordinance for suicide pre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running of mental health center do not affect decrease in suicide rates respectively. However, local governments who enact ordinance, and establish and run mental health center at the same time reduce suicide rates. It means that the ordinance for suicide prevention as the local government policy initiative alone does not reduce suicide rates, and mental health center program as practical suicide prevention program alone does not reduce suicide rates. To reduce suicide rates, the enactment of ordinance should be run parallel with the establishment and running of mental health center.

      • KCI등재

        집중치료를 통한 소뇌운동실조증 환자의 말운동개선 가능성

        박영미(Youngmi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소뇌운동실조증(SCA)은 유전성, 진행성 신경장애로 SCA 환자는 소뇌위축으로 인한 실조형 마비말장애를 보인다. 본 연구는 집중 말운동치료를 통해 SCA환자의 진행성 실조형 마비말장애의 개선의 유무를 확인하고, 개선이 있는 경우, 치료전후의 변화의 정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55세의 SCA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말운동 기능 개선을 위한 SPEAK OUT!<SUP>Ⓡ</SUP> 치료프로그램을 시행 후, 큰 효과크기 수준에서 MPT와 과제별 음량의 개선이 관찰되었고, 음도의 경우 적은 효과크기의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음도의 폭은 큰 효과크기의 변화를 보였다. 음질은 jitter, shimmer, HNR 모두에서 큰 효과크기 수준에서 긍정적 개선을 보였고, 모음면적도 넓어졌는데 이때 F1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또한 심도 수준의 VHI점수는 치료 후 경도 수준으로 낮아졌다. 집중 말운동치료 프로그램인 SPEAK OUT!<SUP>Ⓡ</SUP>의 시행을 통해 SCA 환자의 음량, 음도, 음도의 폭, 음질, 모음면적의 증가를 관찰하였고, 음성장애에 관한 주관적 인식의 변화도 긍정적으로 감소하였다. 기초연구로서의 본 결과를 바탕으로 SCA환자의 진행성 실조형 마비말장애 개선을 위한 SPEAK OUT!<SUP>Ⓡ</SUP>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eople with spinocerebellar ataxia, a hereditary and progressive neurogenic disorder, suffer from ataxic dysarthria due to cerebellar dystroph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f intensive motor speech treatment yields improvement in progressive ataxic dysarthria and if then, to investigate magnitude of therapeutic effect. SPEAK OUT!<SUP>Ⓡ</SUP> was provided to a 55-year old female diagnosed with SCA for improving motor speech functions. Magnitude of therapeutic effect was large in changes of MPT and vocal intensity across speech tasks. Small effect size was found in changes of fundamental frequency, however, large therapeutic effect was observed in changes of frequency range. In addition, improvement of vocal quality based on jitter, shimmer, and HNR was observed with large therapeutic effect size and vowel space was expanded, particularly, due to F1. Lastly, VHI scores were decreased. Intensive motor speech treatment, called as SPEAK OUT!<SUP>Ⓡ</SUP> was effective enough to observe improvement in vocal intensity, frequency range, and vocal quality, expanding vowel space and lowering VHI sc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further efficacy evaluation of SPEAK OUT!<SUP>Ⓡ</SUP> for improving progressive ataxic dysarthria in people with SCA is required.

      • KCI등재

        ‘書物 道樂家’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와 한국본

        박영미 ( Park Youngmi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書物道樂家’ 도쿠토미 소호는 1910년 언론통폐합을 위해 조선에 왔다. 도쿠토미는 1906년 창간된 『京城日報』 감독직으로 부임한 이후, 일본어 신문 『京城日報』, 조선어 신문 『每日申報』, 영자 신문 『Seoul press』만을 남겨 놓고 통폐합하여 버렸다. 조선에 체류하는 동안 도쿠토미는 한국본을 수집, 구매하였으며 이를 成簣堂文庫에 소장하였다. 성궤당문고 소장 한국본은 일찍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실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체적인 전모를 지금까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성궤당문고 소장 한국본 조사를 위한 예비 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고에서는 도쿠토미의 한국본 수집 경위, 소장한 한국본의 특징을 개관하며 아울러 도쿠토미의 한국본에 대한 연구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일본 제국의 괴벨스’인 저널리스트 도쿠토미 소호에 집중되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道樂이라고 할 정도로 책을 사랑한다고 했던 도쿠토미의 장서와 그의 목록, 관련 논저를 통해 그의 수집과 연구를 살펴 보았다. 도쿠토미의 수집과 연구 활동은 1910년 전후의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 사업, 在朝재일본인들의 한국본 수집 및 연구도 동시에 고려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 소장 서목의 목록화 작업을 통해 일본 제국의 지식인들이 가진 한국본 수집과 그 의미를 통찰할 필요가 있다. Tokutomi Soho came to Joseon in 1910 to merge the media. After Tokutomi took over as the director of 『京城日報』의, which was founded in 1906, it merged with only 『Kyozo Press(京城日報)』 in Japanese, 『Daily press(每日申報)』in Joseon, and 『Seoul press』 in English. Before this, Tokutomi purchased a collection of Shimada Kha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eonggwedang(成簣堂文庫) Library. In addition, he expanded his books by collecting Chinese characters stored in Japanese temples and purchasing Western books. And a large amount of Joseon books were collected from Joseon. Joseon books, the collection of Seonggwedange, has been known for its existence since early on. However, as due It has not ye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he specific scale has not yet been identifi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first step to investigate Joseon books housed in the Seonggwedang Library. We learned about the old books of Joseon collected by Tokutomi and the knowledge of the old books of Joseon and the inspection to find out about them. In addition, I tri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examples of Joseon books owned by Seonggwedang. Previous studies was focused on journalist Tokutomi Soho, Goebbels of the Japanese Empire. This paper attempted to show the appearance of Tokutomi, a collection and a reading. Tokutomi's collection and research were examined through his books, his list, and related thesis, which he said he loved books to the extent that it was called ‘enjoy good book’. Tokutomi's collection and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s the Joseon Governor-General's historical investigation project around 1910, and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Joseon books by the Japanese. In addition, due investigation and cataloging of the Seonggwedang Library must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