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질적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박애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고, 향후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 KISS, Dbpia, RISS에서 ‘자살’, ‘노인’, ‘프로그램’, ‘중재’, ‘효과’, ‘영향’의 검색어로 검색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총 10편의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연구설계의 질적지표와 박애실 외(2022)가 제안한 자살위험군 대상 자살 예방 집단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출판된 논문의 수가 2019년도에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코로나 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로 아직 한편도출판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위험군 선별방식은 우울 관련 검사와 자살생각 검사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독립변인은 매체적 접근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셋째, 종속변인은 자살생각 검사와 우울 관련 검사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Gersten 외(2005)가 제시한 실험설계 질적지표를 충족 여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질적지표를 다수 충족하나 프로그램 내용타당도 확보, 운영자 정보기술, 프로그램 종결 이후 유지효과 측정,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질적분석 병행 제시는 질적지표가 상대적으로 낮게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살위험군 대상 자살 예방 집단 프로그램구성요소를 살펴본 결과, 조망능력 함양과 정서조절 함양은 주로 포함하고 있으나, 안전계획수립, 대처기술향상, 치료적 관계 형성, 보호체계 형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자살위험군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 역량 연구의 동향

        박애실,박알뜨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garding competence among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latest 79 papers on this topic, with the focus being journal paper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studies on competence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began in 2008 and the field of competence research was expanded in 2020, 13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econd, regarding the purpose of competence research, competence model development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experience exploration and competence recognition, and finally,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Third, the research methods mainly used in counselor competence research were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mong individual research methods, the Delphi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Fourth, regarding research purpose according to the research field, in the case of career and multicultural counseling, research was conducted for various purposes, whereas in other fields, the purpose of research on competence was not as diverse as that in the aforementioned two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in finding a way forward for counselor competence research. 본 연구는 상담 및 심리 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진 상담자 역량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을 분석하여, 상담자 역량 연구의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최종 79편의 논문을 분석준거에 따라평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진로 상담 분야에서 역량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후로 2020년에는 역량연구의 분야가 확대되었으며, 13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역량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면, 역량모형개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경험탐색 및 역량 인식에 대한 연구, 역량척도개발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 역량 연구에 주로사용되는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혼합 연구, 질적 연구 방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별 연구 방법 중에서는 델파이 방법이 가장 많은 빈도로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 목적으로 살펴보면, 진로상담과 다문화상담분야의 경우 다양한 연구 목적으로 연구가 수행된 반면, 그 외 분야에서는 두 분야만큼 역량에 대한 연구의 목적이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자 역량 연구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에 대한 탐색

        박애실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contents requested by the counselors in the suicide crisis counseling supervision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To this e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unselors who had counseling sessions with their suicidal clients and had at least one professional supervision session. After collecting the basic idea statements indicating the needs for suicide crisis counseling supervision education, 67 final stat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Based on this information, sorting and rating were conducted on the 67 statements of suicide crisis counseling supervision education needs. Then concept mapping of suicide crisis counseling supervision educational needs were deriv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the counselors perceived the contents of the suicide crisis counseling supervision education needs in four clusters based on two dimensions: “Supervision contents: suicide risk assessment vs. counseling structuralizing and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focus: counselor vs. environment.” The four clusters are: “Counseling Structuraliza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Suicide Risk,” “Establishing Connection and Protection System,” “Suicide Risk Assessment and Case Conceptualization,” and “Counselor Empowermen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supervision education contents for suicide crisis counseling, it was confirmed that “Counseling Structuraliza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Suicide Risk” was the most important cluster. Implications for future suicide crisis education for the counselor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상담자가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에서 요구하는 교육내용을 탐색하기 위해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자살위기 내담자와 상담을 진행하고 이와 관련하여 수퍼비전을 1회 이상 받아본 상담자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여,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를 나타내는 기초 아이디어 진술문을 수집한 후, 종합 및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67개의 최종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 면접에 참가한 상담자에게 최종 추출된 67개의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에 관한 진술문에 대해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고,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 분석을 통해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에 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상담자는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를 ‘수퍼비전 내용: 자살위험평가 vs. 상담구조화 및 개입’과 ‘수퍼비전 초점: 상담자 vs. 환경’의 두 가지 차원을 기준으로 ‘자살위험을 낮추기 위한 상담구조화 및 개입 전략’, ‘연계 및 보호체계 구축’, ‘자살위험평가 및 사례개념화’, ‘상담자 임파워먼트’ 4개의 군집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자살위기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에 대한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자살위험을 낮추기 위한 상담구조화 및 개입 전략’이 가장 중요한 군집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상담자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애실,송주석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3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 연구 26편의 논문을선정한 뒤, 일반군과 위험군 대상 연구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 일반군 대상 프로그램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크기(g=0.63)가 나타났고, 노인 위험군 대상 프로그램 전체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g=0.91)가 나타났다. 자살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을 조절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 노인 일반군에서는 구분에 의한 효과그기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위험군에서는 억제요인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노인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노인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외상 후 인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박애실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cognitive factors in determining the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growth, by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the moderated medit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posttraumatic cogn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purpose, 248 adults aged over 19 who lived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were asked to complete surveys which used the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PTCI), Korean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K-ERRI),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and Korea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aire (K-CERQ).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proposed moderated mediation model showed a good fit for the data. Furthermore, the paths that posttraumatic cognition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by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which are sub-factor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필수적인 인지적 변인들을 밝히기 위해, 외상 후 인지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등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248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질문지, 한국판 외상 후 인지 척도,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그리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조절된 매개 연구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인지가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이중매개로 하여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가 침습적 반추에서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의 필수적인 인지적인 변인을 밝히고 이들의 통합적인 경로를 밝힌 데에 의의가 있다. 그 밖에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살위험군 청소년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박애실 ( Park Aeshil ),김희은 ( Kim Heeeun ),송주석 ( Song Jus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자살위험군 청소년 대상으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살위험군 청소년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16편을 분석 논문으로 선정하였고, Gersten et al. (2005)가 제안한 질적지표 12개와 자살위험군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구성요소 6개를 바탕으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대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많았으며, 둘째, 자살위험군 선별방식은 자살지표 관련 검사와 우울 관련 검사를 활용한 경우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가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독립변인은 언어적 접근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매체활동 접근을 활용한 프로그램보다 많았고, 다섯째, 종속변인은 자살관련 지표와 우울 혹은 자아존중감 척도를 함께 설정한 프로그램이 많았다. 질적지표의 충족여부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질적지표를 충족하나 연구대상자 무선 배치, 유지효과 측정, 프로그램 내용타당도 확보, 연구 효과의 질적 분석 병행, 운영자 정보기술에서는 상대적으로 질적지표가 낮게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위험군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구성요소 중에서는 조망능력 함양하기와 정서조절 함양하기, 치료적 관계 형성하기 주제는 주로 포함하고 있었지만, 안전계획 수립하기, 보호체계 형성하기, 대처기술 배우기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자살위험군 청소년 대상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last ten years of domestic studies on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t risk of suicide, and determine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to develop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such adolescents. A total of 16 articles on suicide prevention program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2 to 2021 were analyzed. The analysis was based on 12 quality indicators proposed by Gersten et al. (2005) and six component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suicide risk group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programs targeted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method of screening suicide risk groups was mostly based on tests related to suicide indicators and depression-related tests. Third, the number of pre- and post-design of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 studies was more than that of the single group studies. Fourth,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at there were more programs using language access than the program using media access. Fifth, the dependent variable had more programs that set both suicide-related indicators and scales of depression or self-esteem.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quality indicators were satisfied, while most studies satisfied the standard, the qualitative indicators were relatively low in random assignments of the study subjects, maintenance effect measurement, program validity, qualitative analysis, and operator information. The component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suicide risk groups included the topics of cultivating perspective taking ability, cultivating emotional control, and form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but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safety planning, protection system, and learning coping skills. Finally, the futur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t risk of suicide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 대상 비대면 집단상담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실시간 화상매체 활용을 중심으로

        이혜은,박애실,김현정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n depth the experience of group counselors who operated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attempting to implement real-time video media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ight counselors with a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and had operated more than on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program respectivel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presented as situated structural statements and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that incorporate the derived supertopic. The result produced 69 meaning units, 18 sub-topics, and 4 super-topics. The 4 supe-rtopics in the study are: ‘New Challenges due to COVID-19’,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Concerns and attempt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Growing up while adapting to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 we explore what group counselors experienced in operating their first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on necessary topics for educating non-face-to-face group counselors.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실시간 화상매체를 활용한 비대면 집단상담에 집단운영자로서 참여한 집단상담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관련 전공 석사 재학 이상이면서 대면 집단상담 1회 이상, 비대면 집단상담 1회 이상 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상황적 구조 진술과 도출된 상위주제를 통합하는 일반적 구조 진술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69개의 의미단위와 18개의 하위주제, 4개의 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4개의 상위주제는 ‘COVID-19로 맞닥뜨린 새로운 도전’, ‘비대면 집단상담의 어려움과 난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고민과 시도’ 그리고 ‘비대면 집단상담에 적응하며, 성장하게 됨`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화상매체를 활용하여 비대면 집단상담을 처음 운영하면서 집단상담자는 무슨 경험을 하였는지를 살펴보고, 비대면 집단상담에 대한 교육에 필요한 주제에 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상담자가 심리검사 수행에서 겪는 어려움과 교육요구에대한 탐색적 연구

        조은이,박애실,민예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본 연구는 대학상담자가 심리검사의 선택, 실시 및 채점, 해석, 결과 작성 및 전달 과정에서 겪는어려움과 교육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41명의 대학상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CQR-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검사 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내담자에게 적절한검사를 판단하기가 어려움, 온라인 심리검사의 증가로 인한 혼란, 투사검사 및 지능검사 실시의 어려움, 검사결과의 통합적 해석이 어려움, 해석상담의 어려움 등 18개의 범주와 43개의 하위범주가도출되었다. 그리고 심리검사 수행에 대한 교육요구로 사례에 적합한 심리검사 선택방법에 대한 교육, 투사검사 및 지능검사의 실시 및 채점에 대한 교육, 심리검사 결과의 통합적 해석에 관한 교육,해석상담 교육 등 13개의 범주와 3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의심리검사 활용 역량 증진을 위해 고려할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that university counselors encounterin the process of selecting, conducting, scoring, interpreting, and delivering psychologicalassessment. A total of 41 university counselo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CQR-M. As aresult, 18 categories and 43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for difficulties in performingpsychological assessment, including determining appropriate tests for clients, confusion due tothe increase in online psychological tests, conducting projection/intelligence tests, integratinginterpretation of test results, and difficulty in interpretation counseling sessions. In addition, 13categories and 37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educational needs concerning psychologicalassessment, including selecting suitable psychological tests for each case, implementing andscoring projection/intelligence tests, integrating test results, and interpretation counselingses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ent and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initiatives aimedat enhancing counselor psychological assessment abilit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