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망에서 셀지연 발생기의 모델링과 구현

        박승현(Seunghyun Park),이정태(Jungtae Lee),한치문(Chimoon Han)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앞으로의 ATM망은 기존의 통신망과는 다르게 일정 크기의 셀을 단위로 해서 비동기식으로 전송, 교환, 그리고 다중화하는 통신망이다. ATM망에서는 통계적 다중화로 인하여 하나의 접속(Connection)에 속한 셀일지라도 각 셀마다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며, 이러한 각 셀에 발생하는 지연 특성은 ATM망에서 실시간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 따라서 ATM망의 셀지연을 여러 가지 환경에서 발생시키는 셀지연 발생기는 앞으로 ATM망에 접속할 종단장치의 성능측성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ATM망에서 셀지연에 대한 모델을 정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셀지연 발생기를 구현하였으며, 이 발생기로 부터 얻어진 셀지연 특성을 제시하였다.

      • RNA 이차구조 마이닝을 위한 특성 추출에 관한 연구

        박승현(Seunghyun Park),윤성로(Sungroh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C

        최근 기능성 RNA의 발견에 기인하여 RNA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RNA 이차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기존의 연구로 생성된 RNA 이차구조를 데이터 마이닝 및 기계학습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RNA 이차구조의 시각적인 특징을 벡터화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나 현재 이와 같은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NA 이차구조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NA 이차구조를 생성한 후 각 구조요소를 이진화 하는 방식으로 특징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하여 5s rRNA 구조에서 특징을 추출한 후 hierarchical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군집화하여 각 이차구조 사이의 유사도를 확인해 보았다.

      • KCI등재

        합성가스 연료의 수소 함량 변화가 SI 엔진의 연소특성에 주는 영향

        박승현(Seunghyun Park),이선엽(Sunyoup Lee),박철웅(Cheolwoong Park),이장희(Jang Hee Lee) 한국가스학회 2011 한국가스학회지 Vol.15 No.2

        합성가스는 Biomass, 석탄, 폐기물 등의 가스화 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대체연료로 저발열량에도 불구하고 수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엔진에 적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하지만 연료 조성 측면에서 합성가스는 가스화 원료의 종류에 따라 합성가스 내의 수소 함유량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함량 변화는 수소의 좋은 연소특성으로 인해 엔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소 분율을 갖는 합성가스를 동일 발열량 및 유량 조건에서 모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료 내 수소 비율(vol %)이 연소특성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로 각 수소 함량에 따른 최적 점화시기를 결정하였으며, 수소 비율의 변화가 연소특성, 엔진 출력, 효율, 배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As an effective utilization of biomass, organic wastes and coal, attention has been made to use syngas to a reciprocating engine to generate power. However, significant component variation of syngas depending upon origin and gasification conditions, and its lower heating value than that of LPG and CNG can create difficulties in stable engine oper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se issues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power generation engines. As a primary step to resolve these problems, effects of H2 content variation in syngas on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as H2 % in syngas increases, more stable combustion was achieved with retarded MBT spark timing and engine efficiency becomes maximum with syngas of 10% H2. In addition, NOx emission increased while THC emission decreased as H2 % rises in the syngas.

      • 합성가스 연료의 수소 함유량 변화에 따른 SI 엔진의 연소특성 비교

        박승현(Seunghyun Park),이선엽(Sunyoup Lee),김영민(Youngmin Kim),최영(Young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e interest on an effective utilization of biomass, organic wastes and coal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has been increasing due to not only energy security perspective but also environmental concerns raised by use of fossil fuels. To generate power, syngas can be used as a fuel to various engines such as gas turbine engine, reciprocating engine and Steriling engine. Among them, a reciprocating gas engine is known for its high efficiency when it is applied to small-size power plant. However, significant gas component variation of syngas depending upon origin and gasification conditions, and its lower heating value than that of other gas fuels such as LPG and CNG can create difficulties in stable operation of the engine. Thus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se issues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power generation engines. As one way to resolve these issues, effects of H2 content variation in syngas on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as hydrogen % in syngas increases, more stable combustion was achieved with retarded MBT spark timing and engine efficiency becomes maximum at syngas with 10% H2. In addition, NOx emission increased while THC emission decreased as hydrogen content rate rises in the syngas.

      • KCI등재

        바이오가스의 성분 변화가 엔진 성능에 주는 영향

        박승현(Seunghyun Park),박철웅(Cheolwoong Park),김영민(Youngmin Kim),이선엽(Sunyoup Lee),김창기(Changgi Kim) 한국가스학회 2011 한국가스학회지 Vol.15 No.5

        바이오가스는 Biomass, 유기성 폐기물 등의 혐기소화 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신재생연료로 저발 열량에도 불구하고 탄소중립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엔진에 적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왔다. 바이오가스는 원료의 종류 및 혐기소화 공정 조건에 따라 그 연료 조성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조성 변화는 엔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열량을 갖는 바이오가스를 연료 내 불활성가스 비율을 변화시켜 모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 내 불활성가스 비율의 변화, 즉 발열량의 변화가 엔진 성능 및 배기 특성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로 각 불활성가스 함량에 따른 최적 점화시기를 결정하였으며, 발열량 변화가 엔진 출력, 효율, 배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Biogas obtained from the biodegradable organic wastes in an anaerobic digester consists of CH<SUB>4</SUB> and inert gases such as CO<SUB>2</SUB> and N<SUB>2</SUB>. Since the composition of biogas varies by anaerobic digester conditions and the origin of wastes,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se variations so as to make stable combustion and accomplish high efficiency when it is used as a fuel for power generating SI engines. In this study,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calorific values of biogas on the engine performance and exhaust characteristics. The biogas was simulated by supplying of CH<SUB>4</SUB> with N<SUB>2</SUB> dilution of various ratios, and ECM was developed to achieve accurate control of ignition and combustion. The results show that as the CH<SUB>4</SUB> concentration of the biogas decreases, the optimal spark timing is advanced due to the elevated thermal capacity and lowered O<SUB>2</SUB> concentration of the in-cylinder charge. Furthermore, since combustion temperature was reduced by increased inert gas, NO<SUB>x</SUB> emissions decreased, whereas THC emissions increased.

      • KCI등재

        주거복지의 후퇴와 거주의 빈곤: 전후 일본에서 "공공주택에 산다는 것"의 의미변화

        박승현 ( Seunghyu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2

        본 논문은 전후 일본의 공공주택정책을 검토함으로써, 왜 오늘날 도쿄의 공영주택이 ‘고령자 시설화’ ‘구빈주택화’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가의 질문에 접근하고자 한다. 또한 전후 부 흥의 상징이기도 했던 도쿄 북구 키리가오카 단지에서의 주거경험에 대한 필드워크를 통해 공공주택단지의 현장에서 어떻게 경험되는가를 드러냄으로써, 주거복지의 후퇴가 단지의 고령화를 부추기고 주민들의 주변성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커뮤니티의 쇠퇴와 긴밀한 연관 을 가짐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1951년 공영주택법이 제정될 당시의 공영주택이 ‘일본의 부흥에 기여’하는 노동자 가족을 위한, 민간주택을 선도하는 ‘국민주택’으로 탄생했다. 연구자가 필드워크를 수행한 도쿄 키리가오카 단지의 오래된 주민들은, ‘복권에 당첨된 것과 같은 입주 당시의 기쁨을 회상하곤 한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이후 일정 소득 이상의 세대는 공영주택에 거주해서는 안 된다 는 의식이 정착되고, 1980년대 이후 고령자, 신체장애자 단신입주제도의 도입되는 등, ‘노동 자 가족을 위한 주거’로서의 공영주택의 의미는 퇴색되기 시작한다. 1990년대 이후에는 공영주택을 늘리는 대신 가장 적확한 수혜자를 선정하여 주거복지에 ‘공평’을 기해야 함이 강 조됨으로써,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라는 정책적 방향이 본격화된다. 공영단지에 대한 사회적인 평가의 저하는 주민들에게도 내면화되어, 지역에 대한 자긍심이나 주민들 간의 상호존중감을 떨어뜨린다. 이에 기인하는 커뮤니티의 분열은, 주거복지의 후퇴가 현장에서 어떻게 경험되는가의 핵심일 것이다. 격차의 확대는 흔히 경제적인 양극화에 초점을 맞추지 만, 이 경제적 격차가 신자유주의적인 공간 배치 속에서 거주의 빈곤으로 이어지며, 이는 사회적 관계의 빈곤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public housing policies of postwar Japan, seeking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public housing complexes in Tokyo are criticized and have received derogatory names, such as “institution for the elderly” or “housing for the poor”. In particular, I explore how the implementation of neoliberal policies led to the retreat of housing welfare, and I discuss how the societal meaning of public housing, the personal experience of living in such houses, and aspects of regional communities are closely linked to the direction of public housing policies. At the time that the public housing law was put into effect on 1951, public housing was conceived as the “residence for nationals,” especially for laborer families who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Japan. The informants who participated in my fieldwork in kirigaoka public housing in Tokyo reminisced about the happy moments of moving into the complex, as if they had won a lottery. However, as the obligation for evacuation was enforced following the revision of public housing law in late 1960s, the idea that households. whose income exceeds a certain level were not entitled to live in the public housing became the norm. Furthermore, the practice from the 1980s onward of giving preference the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and the physically disabled signified that the role of public housing as the home for the laborer families was terminated. Moreover, the maximum income level allowable for living in the public housing was lowered in 1990s, which meant that the emphasis began to be placed more on selecting the families most appropriate to be privileged to be recipients of the public housing, rather than on increasing the supply of public housing. The decrease of the maximum allowable income level has distorted the residents’ family composition and worsened the aging profile of the residents in public housing complexes. Consequentially, the pursuit of “impartiality” in welfare contributes to marginalize the residents of public housing. It is getting harder to get into the public housing in Japan’s polarized, aging society. However, as the maximum allowable income is narrowed, the experience of having to prove that one is “suitable” to be entitled to live in public housing cannot be the same as it once was, charged with the ecstatic moments of feeling as if one had won a lotte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ld residents of public housing complexes, the unfamiliar occupants who do not share their life histories, are seen as a proof of the decline of the public housing complex. The lack of respect among the residents and the division that comes with the loss of a sense of community contribute to show how the decline of housing welfare is experienced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