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제의 컨설턴트 소개-차상란 가람감정평가법인 이사

        박수진,Park, Su-Jin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2004 컨설턴트 Vol.21 No.-

        한국경제신문에서 매주 1회 발행하는 비즈니스 전문지“한경비지니스”에서는 2004년 9월 20일자(제459호) “피플:프로의 세계”코너를 통해 차상란 경영지도사 프로필을 특집으로 소개했다.차상란 지도사는 본회 대외협력분과위원과 APEC CBC 평가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여성지도사회 부회장과 개인지도사 사무소“아트경영자문”도 운영하고 있다. 한경비지니스 459호에 게재된 차상란지도사 특집기사 전문은 다음과 같다.

      • KCI등재

        신생아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및 예후에 관한 고찰

        박수진,윤기태,김원덕,이상길,Park, Su-Jin,Yun, Ki-Tae,Kim, Won-Duck,Lee, Sang-Gee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신생아 폐출혈은 드물긴 하나, 일단 발생한 환아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급성 좌심실 부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관 개존증, 패혈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출생 체중에 따라 신생아의 폐출혈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 인자를 규명하고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117명을 대상으로 출생 체중에 따라 두 군으로 구분하였다. 폐출혈의 정의는 임상적인 정의를 적용하였고, 각 군에서 폐출혈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총 117례 중 폐출혈은 39례(33.3%)에서 발생하였으며, 출생 체중에 따라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환아 총 48례 중 17례(35.4%)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산전 산모의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는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대상 환아 총 69례 중 22례(31.9%)에서 폐출혈이 있었고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는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25). 저혈압, 산혈증, 혈소판 감소증도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다변수 분석에서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OR=0.203, 95% CI=0.044-0.934),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OR=5.992, 95% CI=1.145-31.351)와 산혈증(OR=4.434, 95% CI=1.279-15.376)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출생 체중이 적은 군에서 비교적 폐출혈이 늦게 발생하나, 일단 발생하면 사망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산전의 산모 스테로이드 치료가 환아의 폐출혈 발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저체중 출생아군에서는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우와 산혈증이 환아의 폐출혈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Purpose : Although neonatal pulmonary hemorrhage is rare, it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We ai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ulmonary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course, including neonatal morbidity, of infants who developed pulmonary hemorrhage.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f 117 newborn infants aged less than 37 gestational week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aegu Fatima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8. Control group infants without pulmonary hemorrhage were match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birth weight range (${\leq}100g$). Pulmonary hemorrhage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hemorrhagic fluid in the trachea and severe respiratory decompensation. Results : Pulmonary hemorrhage occurred in 17 cas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 birth weight < 1,500 g; median age, 3 days) and 22 case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LBW; $1,500g{\leq}$ birth weight < 2,500 g; median age, 1 day). Antenatal maternal glucocorticoid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VLBW infants. Low APGAR score (${\leq}3$ at 1 min) and acidosis at birth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pulmonary hemorrhage in LBW infants. Conclusion : Antecedent factors and timing of pulmonary hemorrhage of LBW infa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VLBW infants. The mortality rates of VLBW and LBW infants were 88.2% and 45.5%, respectively. Pulmonary hemorrhage was the principal cause of death in 66.6% VLBW infants and 40.0% LBW infants.

      • KCI등재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쿼럼 센싱 수용체인 QscR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 잔기 분석

        박수진,김수경,이준희,Park, Su-Jin,Kim, Soo-Kyoung,Lee, Joon-Hee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3

        그람 음성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다양한 환경에 존재하는 기회감염성 병원균으로, 병원성의 발현에 쿼럼센싱(QS) 기전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녹농균의 여러 QS 신호물질 수용체들 중 하나인 QscR은 다른 QS 수용체들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특성들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들 중 특히 넓은 신호물질 특이성을 QscR에 부여해 주는 아미노산 잔기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QscR의 72번째 threonine, 132번째 arginine, 140번째 threonine 잔기가 각각 isoleucine, methionine, isoleucine 잔기로 치환된 돌연변이 QscR들($QscR_{T72I}$, $QscR_{R132M}$, $QscR_{T140I}$)을 제조하였다. 이들의 활성을 측정해 보았을 때 $QscR_{R132M}$은 N-3-oxododecanoyl homoserine lactone (3OC12-HSL)에 대한 반응성이 사라졌고, $QscR_{T72I}$와 $QscR_{T140I}$는 민감성이 많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3OC12-HSL에 대한 반응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돌연변이 QscR들에 다양한 구조의 acyl-HSL을 처리해 보았을 때, $QscR_{T72I}$와 $QscR_{T140I}$는 야생형 QscR처럼 자기 자신의 신호물질인 3OC12-HSL 보다 N-decanoyl HSL (C10-HSL)이나 N-dodecanoyl HSL (C12-HSL)처럼 10개 혹은 12개의 탄소 사슬을 가지면서 3번째 탄소에 oxo-moiety가 없는 acyl-HSL에 대해 더 높은 반응성을 보였으며, $QscR_{R132M}$은 3OC12-HSL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어떤 acyl-HSL에도 반응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QscR_{T72I}$와 $QscR_{T140I}$는 QscR 억제제인 5f에 의해 야생형 QscR과 비슷한 수준으로 활성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130번째 arginine의 경우 QscR의 활성과 acyl-HSL들과의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72번째와 140번째 threonine들의 경우 QscR의 활성에는 중요하지만, 다른 구조의 acyl-HSL들에 대한 선택적 결합이나, 경쟁적 억제자들의 결합 간섭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Pseudomonas aeruginosa, a Gram-negative bacterium, is an ubiquitous and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which expresses many virulence factors through quorum sensing (QS) regulation. QscR, one of the QS signal receptors of P. aeruginosa, has unique features that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QscR from other QS receptors.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amino acid residues responsible for such a broad signal specificity of QscR. Thus we constructed mutant QscRs: $QscR_{T72I}$, $QscR_{R132M}$, and $QscR_{T140I}$ by substituting $72^{nd}$ threonine, $132^{nd}$ arginine, and $140^{th}$ threonine residues with isoleucine, methionine, and isoleucine, respectively by site-directed mutagenesis. When we examined the activity of these mutant QscRs, $QscR_{R132M}$ failed to respond to N-3-oxododecanoyl homoserine lactone (3OC12-HSL), but $QscR_{T72I}$ and $QscR_{T140I}$ remained the ability to respond to 3OC12-HSL despite much reduction of the sensitivity. When we treated a variety of acyl-HSLs with different structure, $QscR_{T72I}$ and $QscR_{T140I}$ showed better responsiveness to N-decanoyl HSL (C10-HSL) or N-dodecanoyl HSL (C12-HSL) that has no oxo-moiety at $3^{rd}$ carbon of acyl group than to 3OC12-HSL, and $QscR_{R132M}$ showed no responsiveness to any acyl-HSLs tested here. In addition, $QscR_{T72I}$ and $QscR_{T140I}$ were inhibited by 5f, a QscR inhibitor as similarly as wild type QscR w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he $130^{th}$ arginine is crucial in both activity and acyl-HSL binding of QscR, the $72^{nd}$ and $140^{th}$ threonines are important in the activity, but they are little responsible for the discrimination of acyl-HSLs or competitive inhibitor.

      • KCI등재

        어성초 (Houttuynia cordata) 추출물을 장기간 투여한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에서 조직내 quercitrin 잔류 농도

        박수진,배준성,이채원,박관하,Bak, Su-Jin,Bae, Jun Sung,Lee, Chae Won,Park, Kwan Ha 한국어병학회 2018 한국어병학회지 Vol.31 No.2

        The Houttuynia cordata has been utilized for various beneficial purposes in humans mainly because of its potent antioxidant principle quercitrin present in this plan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functional sea food commodity containing active principle quercitrin by feeding H. cordata for a extended period.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were fed a diet containing H. cordata at 0.1-1.0% levels for 1 month and tissue concentrations of quercitrin were analyzed in serum, hepatopancreas and muscle. It was observed that quercitrin was found in the ranking order of hepatopancreas>muscle>serum. After a bolus administration of quercitrin (20 mg/kg, oral) to spotted sea bas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dential rank order was observed after 48 hr. In contrast, the order was liver>serum>muscle in rat and mice, indicating that higher quercitrin distribution occurs to the muscle in fishes compared with in mammals tested. High residue concentration of qeurcitrin in the edible tissue can be an advantageous property in terms of functional food production. High level H. cordata extract inclusion of 1.0% seems to have detrimental effects in spotted sea bass leading to growth retardation and hepatic damage. It was concluded that incorporation of H. cordata extract into diet can be a way of producing healthy foods. However the level of active extract needs fine tuning to avoid toxicity to fishes. 어성초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활성성분 중 강력한 항산화작용인 있는 quercitrin의 존재로 인해 건강식품이나 천연물의약품으로의 활용 목적으로 각광 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을 점농어의 사료에 첨가하여 장기간 급이함으로써, 가식부에 잔류하는 quercitrin으로 인해 식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지 하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점농어에 어성초 추출물을 0.1, 0.5 및 1.0%의 수준으로 1개월간 급이하면 quercitrin이 hepatopancreas>muscle>serum의 순으로 잔류한다. 한편 Quercitrin을 순수물질 상태로 점농어, 틸라피아, 랫드 및 마우스에 20 mg/kg로 단회 경구 투여하고 48시간 후 조직내의 quercitrin 농도를 측정하면 점농어와 틸라피아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을 투여한 것과 동일한 잔류 농도 패턴을 보이지만 시험한 두 종의 포유동물에서는 liver>serum>muscle의 순으로 잔류 농도가 관찰된다. 이 결과로부터, quercitrin의 어류 가식부 근육내에서 발견된 상대적으로 높은 축적성은 기능성식품의 생산 측면에서 유리한 패턴의 특성으로 생각된다. 한편 최고 농도인 어성초 1.0%의 1개월간 투여 후 점농어의 성장에서 유의한 수준의 저해가 관찰되었으며 동시에 이 농도에서 간장 손상지표인 혈청내 효소의 변화도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어성초는 기능성 수산식품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이때 어류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수준의 농도로 제한하는 것이 현명한 것으로 보인다.

      • 실시간 e-mail 대응 침입시도탐지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수진,박명찬,이새롬,최용락,Park, Su-Jin,Park, Myeong-Chan,Lee, Sae-Sae,Choe, Yong-Ra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9 No.3

        Nowadays, the hacking techniques are developed increasingly with wide use of internet. The recent type of scanning attack is appeared in against with multiple target systems on the large scaled domain rather than single network of an organization. The development of scan detection management system which can detect and analyze scan activities is necessary to prevent effectively those attacking at the central system. The scan detection management system is useful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various detection information that received from scan detection agents. Real time scan detec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do the integrated analysis of high lever more that having suitable construction in environment of large scale network is developed.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해킹기법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다. 최근의 검색공격 형태는 한 기관의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상위 도메인을 대상으로 대규모적인 공격 형태를 지니고 있다. 실질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앙시스템에서 취약점 검색공격을 탐지, 분석하고 조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침입시도탐지 관리시스템은 현재 국내 주요기관들에 설치된 다수의 침입시도탐지 시스템들로부터 받은 여러 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유용하다. 대규모 네트워크의 환경에 적절한 구조를 갖으며 보다 고수준의 통합된 분석을 할 수 있는 실시간 침입시도탐지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