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ostridium Ljungdahlii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pH가 미치는 영향

        박소정 ( So Jung Park ),홍성구 ( Sung Gu Hong ),강권규 ( Kwon Kyoo Kang ),김영기 ( Young Kee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를 기질로 Clostridium ljungdahlii를 생물촉매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pH가 미생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초기 pH 조건(pH 5~8)에서 pH제어 없이 발효실험을 수행한 결과, 부산물인 acetic acid의 축적에 따라 모든 조건에서 24 h 이내에 pH 4.5 이하로 감소되고 미생물의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된 pH 조건 중에서 가장 높은 초기 pH 8의 경우가 가장 높은 미생물 성장과 에탄올 생산량(0.53 g/L)을 보였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pH의 감소가 늦게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H를 제어할 수 있는 생물반응기를 사용하여 pH 7로 유지시키며 생물공정을 운전한 결과, 최대 미생물 농도 1.65 g/L과 최대 에탄올 농도 1.43 g/L를 24 h 이내에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pH를 중성영역에서 유지할 경우 C. ljungdahlii의 성장을 최대화할 수 있고, growth-associated production의 특성을 보이는 에탄올의 생산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bioprocess using Clostridium ljungdahlii as a biological catalyst to produce bio-ethanol, and the effect of pH on microbia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of fermentation at various initial pH condition without pH control, pH of fermentation broth decreased to 4.5 within 24 h due to accumulation of by-product acetic acid and both microbia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were stopped. The experimental result of initial pH 8 showed the highest microbia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0.53 g/L), since the pH drop was relatively slow. From the experiment of pH 7 maintained fermentation using pH controllable bioreactor, the maximum cell dry weight of 1.65 g/L and the maximum ethanol concentration of 1.43 g/L were obtained within 24 h. In conclusion, the C. ljungdahlii growth was enhanced by pH maintenance of neutral range, and the ethanol production was also enhanced based on the growth-associated ethanol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 ljungdahlii.

      • KCI등재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

        박소정(Sojeong Park)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3

        최근 한국 사회에는 연애 욕구를 생성해내는 분위기가 존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연애에 대한 담론이 삼포 세대를 중심으로 한 세대론에 포섭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연애정상화 담론이나 연애불가능 담론이 지닌 단면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오늘날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낭만적 사랑 복합체에서 유동적인 합류적 사랑 담론으로 이어지는 서구의 연애 담론에 대한 답습이나 통계상으로 파악되는 친밀성 영역의 변화로는 미처 다 설명되지 못하는, 한국 사회에서의 연애하기의 특수성을 포착하기 위해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재현에 주목한다. 최근 한국 로맨틱코미디 영화는 종래의 로맨틱 코미디 문법에서는 조금씩 벗어난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부터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가 어떠한 사회경제적 맥락 하에 특수한 양상을 지니고 실천되고 있는가를 읽어낼 수 있다. 오늘날의 연애주체는 신자유주의에 의해 형성된 물적 조건 위에서 상충하고 유동하는 가치체계 속에 놓여있다. 그로 인해 연애관계 속에는 도구적 연애관, 썸과 같은 새로운 관계의 문화, 첫사랑에 대하 노스탤지어, 남성성의 변화 등 다양한 면모가 존재한다. 이로부터 삼포세대나 연애불가능 세대라는 비관적 호명을 벗어나 젊은 세대가 친밀성 영역에서 보여주는 감수성과 실천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romantic relationship in neoliberal Korean society. In South Korea, ‘love’ carries a distinguished meaning, as Korean society’s particular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The term ‘N-po generation’ is a striking example that reflects the structural poverty of contemporary Korea’s young generation,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 on the impossibility of love. On the other hand, society encourages the youth to engage in romantic relationship as the media actively deals with romance and sexual issues. This paradox between the impossibility of love and the normalization of love in today’s Korean youth culture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o grasp the particularity of romantic relationship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in Korean romantic comedy movies since 2008, which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onventional romantic comedy movies. Through text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we can find out that the recent socioeconomic structure situates romantic relationship in the fluctuating and contradictory values, resulting in new practices, norms, and sensitivities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in romantic relationship implies a silver lining against all the superficial and pessimistic discourses that surround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 KCI등재

        도가적 공존: 벗으로서의 가족

        박소정 ( Park So Jeong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4 No.-

        본 논문은 도가 문헌에 나타나는 가족과 벗 사이의 인간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도가가 바라보는 이상적인 공존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혈연과 혼인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이 여러 가지 면에서 도전 받고 있다. 친족 간의 친밀감을 도덕적 감정의 원천으로 삼았던 유가사상은 가족 내의 도덕규범을 확대하여 전체 사회의 도덕률로 삼는 사회적 모델을 수립하였고 이는 전통 사회에서 도덕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일정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다양한 유형의 가족이 등장하고 기존의 가족 형태가 해체되고 재구성되기를 반복하는 현대 사회에서 혈연으로 맺어진 친족집단을 가족 개념의 핵심으로 삼는 유가적 관점은 다양한 유형의 가족을 설명하는 데 역부족일 뿐 아니라 부모와 자녀로 구성되는 전통적 가족 형태에서 벗어나는 유형의 공동체를 비정상으로 간주하여 이들을 차별하고 질시하는 근거로 삼게 될 우려마저 있다. 필자는 유가적 가족 관념과 이에 기초한 예의규범을 비판적으로 사유했던 도가 사상으로부터 전통적 가족 개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혜안을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도가 사상은 흔히 생각하듯이 전통적인 가족의 가치를 완전히 부정한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의 핵심에 친족 관계 대신 정서적 교감과 도와 덕을 매개로 한 소통을 두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도가가 유가적 친친(親親) 관념을 비판하는 이유는 인간 사이의 친밀감을 부정해서가 아니라 친밀감을 혈연관계에 배타적으로 연관시키는 이론을 반대했기 때문이다. 도가 사상의 관점에서 볼 때 예의규범은 사람 사이의 친밀감을 높이는 이상적인 방식이 아니라 참된 친밀함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을 때에 비로소 요구되는 부득이한 수단이다. 그러므로 도가는 유가의 혈연관계를 기초로 한 “친친(親親)”의 규범화를 비판하는 동시에 “마음에 거리낌이 없다(莫逆於心)”는 의미로 “친밀감(親)”을 재해석한다. 두 사람 사이에 아무런 거리낌 없이 서로 진실하고 담백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들은 마치 가족과도 같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진실한 정감의 교류를 사회적 규범보다 더 중시하는 것은 도가 사상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인데, 특히 『장자(莊子)』에서는 벗의 관계를 통해 실현되는 친밀한 정서의 교류나 가족 사이에서 예의규범의 한계와 범위를 뛰어넘어 나누는 친밀함 등과 관련한 많은 일화들이 나타난다. 서로 거리낌 없는 친밀함을 통해 벗과 가족은 서로 이어지며 벗으로서의 가족, 가족과도 같은 벗이야말로 도가에서 꿈꾸는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도가적 공존의 이상이 가족 개념의 외연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보며,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가족의 가치를 재건하는 데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고 본다. This paper explores the ideal of coexistence of human beings in Daoism by analyzing how the Daoist texts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friends. Daoist criticism of Confucian norms of human relationship has often been misunderstood as a total denial or negligence of human relationship. Having a closer look at Daoist texts, however, we will find that their criticism is to break the limits of Confucian ethics, which defines intimacy based on blood relationship as the source of moral sentiment. Unlike Mozi, who regarded the formation of intimacy as a source of immorality, Zhuangzi sees intimacy as an important basis of human relationship and this intimacy can be developed into the fundamental factor in forming a mature human relationship beyond blood relationship. Many stories in the Zhuangzi shows a new perspective on human relationship, through which we can regard friendship as the most intimate relationship and regard family as friendship. From this perspective, a family is not simply defined as a blood-related or socially obligated unit, but can be expanded to include human relationships that have built intimacy with one another through genuine communication.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for Youth in Korea

        박소정(Sojung, Park),안태용(Taeyong, Ah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방법 이를 위해, 원척도를 국내 청소년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고, 대구⋅경북의 중학생 757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K-SCS-Y는 자기친절, 자기판단, 보편적 인간성, 고립, 마음챙김의 5요인구조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자비와 마음챙김, 우울, 행복, 삶의 만족, 회복탄력성, 성취목표,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K-SCS-Y를 타당화 하여 척도 부재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청소년의 심리적 상황에 적극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도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어,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e SCS-Y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Nef et al. (2020) for domestic adolesc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of self-compassion among domestic adolescents. Methods To this end, the original scale was translated so that domestic adolescents could underst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757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he measurement identity of accredited validity, gender, and grade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study 1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bes the five-factor structure(subscales of self-kindness, self-judgment, universal humanity, isolation, and mindfulness) as the most valid. Study 2 established construct validity for the SCS-Y by demonstrating that SCS-Y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indfulness, happiness,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resil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expected direction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alidated K-SCS-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used by the absence of a scale and to help adolescents actively intervene in psychological situations. Subsequen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부산 지역 대학생의 ‘ㅂ 불규칙 활용’ 양상에 대하여

        박소정(Sojeong Park),이진욱(Jinwook Lee) 한국어문교육학회 2012 어문학교육 Vol.45 No.-

        이 논문은 부산에서 태어난 부신교육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ㅂ 불규칙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경상도 방언은 ㅂ 불규칙 활용을 ㅂ 규칙 활용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부산교육대학교 학생은 초등학교 교사가 되어 초등학생을 가르친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표준어와 방언에 대하여 학습하게 된다.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때 교사의 언어는 절대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상도 방언을 사용하는 예비교사를 분석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조사방법으로는 질문지법과 관찰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각 용언을 ㅂ불규칙 활용을 하는 경우와 ㅂ 불규칙 활용을 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통계를 내고, 전체적 양상, 품사별, 남녀별 양상, 부모 출신지별 양상, 음절수별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ㅂ 불규칙 활용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나 ㅂ규칙 활용을 하는 학생의 비율도 적지 않았다. 교사의 방언이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어떤 영향을 미칠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thesis is analyzing the aspect of using irregular [P]sound at the end of verbs, adverds and adjectives. And the analysis have the students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were born in Busan as the object. Generally, regional dialect of Gyeongsang-do is known as using regular [P]sound, instead of using irregular [P]sound. The students of BN1UE will soon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teacher. Following the changed curriculum in 2011, elementary students learn about regional dialects and the standard one. The language teacher uses is absolute to students when supplying essential materials for learning it. So,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e- teachers who are using regional dialect of Gyeongsang-do. Survey used observation and question paper as its method. The way of this analysis goes like this. First, it made statistics of the verbs, adverbs and adjectives, divided as using irregular [P]sound and regular [P]sound. And then, analyzed with the aspect of overall, parts of speech, sexes, native places of parents, numbers of syllab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using irregular [P]sound was higher than regular [P]sound. But the ratio of the students using regular [P]sound was considerable. We need another following study of effects of teachers’ regional dialect when teaching.

      • KCI등재

        화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청취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박소정 ( So Jeong Park ),정선용 ( Sun Yong Jung ),황의완 ( Wei Wan Hwang ),김종우 ( Jong Woo Kim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7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18 No.3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velop cost-effective and accessible self-intervention program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self intervention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flicts with family and economical problems, in quantity and quality. Subjects: Seven middle age wom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Hwa-byung by Hwa-Byung Diagnotic interview Schedul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Method: Participants learned music listening techniques and visited hospital three times a week during 2 weeks. Music-listening self intervention for Hwa-byung patients was consisted of three sad musics (in minor) and three sedative musics(in major) and performed at home for 2 weeks.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self awareness (of Hwa-byung scale), anxiety(STAI), anger(STAXI), depressive mood(BDI)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6 weeks later after study completed. And various and subjective responses of Music-listening self intervention for Hwa-byung patients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 made for this study. Results: Their Somatic symptoms(especially insomnia), self-awareness of Hwa-byung and depressive mood were improved except anxiety, anger. This improvement had maintained over a 6-week follow-up period. Patients had used constantly the music-listening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after the study completed. Conclusion: The music-listening program will be an effective for Hwa-byung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mood and had been used constantly by them. But, much methodological supplementation will be needed to assess clinical effects on this program.

      • KCI등재

        PMN-PZT/Ni 자기-전기 복합체에서 단결정 압전 모드에 따른 자기장 감도 특성

        박소정 ( Sojeong Park ),( Mahesh Peddigari ),류정호 ( Jungho Ryu ) 한국센서학회 2020 센서학회지 Vol.29 No.1

        Magnetoelectric (ME) composites were designed using the PMN-PZT single crystal and Ni foils; the properties and magnetic-field sensitivities of ME composites with different piezoelectric vibration modes (i.e., 31, 32, and 36 modes that depend on the crystal orientation of the single crystal) were compared. In the off-resonance condition, the ME coupling properties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2 and 36 piezoelectric vibration mod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1 piezoelectric vibration mode. However, in the resonance condition, the ME coupling properties of the ME composites were almost similar, irrespective of the piezoelectric vibration mode. Additionally, in the off-resonance condition (at 1 kHz), the magnetic-field sensitivity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6 piezoelectric vibration mode was up to 2 nT and those of the ME composites with the 31 and 32 piezoelectric vibration modes were up to 5 nT. These magnetic-field sensitivities are similar to those offered by conventional high-sensitivity magnetic-field sensors; the potential of the proposed sensor to replace costly and bulky high-sensitivity magnetic field sensors is significant.

      • 신입사원(Freshman)의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소정(Park so jeong),강희경(Kang hee kyung),최수형(Choi su heyong)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사회초년생에게 있어 평생직장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을 통해 회사는 조직 구성원에게 미래에 대한 비전을 심어주고, 조직 구성원은 그들의 비전과 자신의 꿈을 함께 이루어 나갈 수 있다는 믿음이 생기게 된다. 하지만, 2016년에 들어 사상 최악의 취업난에 놓이게 되면서 사회초년생들에게 평생직장의 개념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평생직장이 아닌 이직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맞춰 여러 분야에서 이직요인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장 크게 이직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근로여건이 45.1%로 많았다(통계청,2014). 뿐만 아니라 최근 입사한 신입사원 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직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역할갈등’이 32.6% 로 가장 높았다. 여기서 역할갈등이란,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욕구와 역할의 요구가 불일치하거나 또는 특정의 역할을 전부 수행하기가 불가능한 서로 대립, 상충되는 기대들 사이에 처해 있는 상황으로 정의할 수 있다(이숙자, 2004), 역할갈등의 하위요인으로는 역할 과다 갈등, 역할 모호성갈등, 역할지체갈등, 역할간갈등, 역할과다갈등, 자원부족갈등으로 구분하고 있다(pareek, 1994). 이처럼 역할갈등은 하위요인 8가지로 나뉘어진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8가지 요인 중에서도 갈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역할과다, 역할모호성을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사원들이 겪는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슈퍼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신입사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조직의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신입사원의 역할과다는 이직의도를 높일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역할모호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슈퍼리더십은 역할과다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신입사원의 높은 이직의도의 원인 중 하나로 역할과다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를 상사의 슈퍼리더십을 통해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은 결론에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