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과 우울의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박소연,Park, So-Yo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에 개인 요인, 가족 요인, 학교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신체화 증상과 우울 간의 장기적 영향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학교 1학년 패널의 4차년도(2013년)와 6차년도(2015년) 2개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1,66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개인 요인에서는 성별, 신체건강 상태, 자아탄력성은 청소년의 우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요인 중 학업적응과 교우관계가 청소년의 우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화 증상과 우울은 동시효과와 시간에 따른 자기회귀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과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향후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정신건강 변수 등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influence adolescents' depression, and to explore the long-term influence between somatic symptom and depression. To do this, data from two points of the 4th wave (year of 2013) and the 6th wave (year of 2015)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on 1,668 adolescents. As for results, frist,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gender, physical health status, and self-resilience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in adolescents. Second, among school factors,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in adolescents. Third, somatic symptom and depression had effects and auto-regressive effects over ti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measures for somatic symptom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were discussed. Future study is needed include varaiables of parental mental health that affect depression in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박소연,이홍직,Park, So-Youn,Lee, Hong-Ji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제5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독립변인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과 종속변인인 인터넷 중독 수준을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둘째, 각 독립변인의 하위집단별 인터넷 중독 수준의 차이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셋째, 각 독립변인들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제시하면,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에서는 남학생인 경우에, 양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에,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에, 건강 요인에 있어서는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경우에, 주관적으로 행복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경우에, 스트레스정도가 높은 경우에, 우울을 경험한 경우에, 일탈행동 요인에서는 약물사용 경험이 있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인터넷 중독을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the Korean youth. This study used the 2009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It selected 73,238 cases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raw data and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eing male, living without parents, low economic status, poor academic recor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poor subjective well-being, high level of stress, presence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drug use significantly increased likelihood of internet addiction. Findings may be used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 KCI등재후보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탐색

        박소연(So-Youn Park),홍성만(Sung-Man Hong),임채홍(Chae-Hong L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공동체 구성원들의 주관성에 근거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현실적 발전방향을 도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적 속성으로 감수성, 창의성, 자아정체감이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특징적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세 가지의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식유형은 “사회발전정책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건전하고 역량 있는 자주 시민을 양성하는 정책수단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정책적 관점의 유형이다. 둘째 인식유형은 “개인역량개발 교육으로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해서 개인의 삶이 풍요로워 질 수 있으며, 개인이 아름다움을 느끼고, 다양성속에 자신을 표현하는 역량을 개발하는 교육적 기능을 갖는다는 교육적 관점의 유형이다. 셋째 인식유형은 “교감 기반을 다지는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술의 측면에서 다름 사람과의 교감이라는 본질적 속성을 지닌 것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는 문화예술적 관점의 유형이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추진과 관련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보다 명확히 정립하고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가진 융합적 속성을 고려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요구된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해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바를 주지한 정책기획 및 실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and set out the perception of policy community member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Q sample was composed of 40 statements and 25 policy stakeholders were selected to P sample. As a results of Q sorting, the attributes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ere categorized in 3 types. Type 1 was named a social development policy approach so that 8 policy stakeholders of type 1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policy means to develop mature civic awareness of citizen. Type 2 was named individual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approach so that 11 policy stakeholders of type 2 perceived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help individuals to enjoy an affluent and beautiful life and to enhance self-expression. Type 3 was named art and cultural sensibility development for communing together approach so that 6 policy stakeholders of type 3 perceived nature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school would be art and culture so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feelings and emotions. Sensitivity, creativity and self-identity were common perception to all 3 types.

      • KCI등재

        평가에 대한 평생교육사의 인식 분석

        박소연(Park, So-Yo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에서 평가란 무엇인가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평생교육사의 평가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변화 지향형”, “공정성 지향형”, “정보 지향형”, “전시 지향형”의 4개 인식 유형을 발견하였다. 첫째, “변화 지향형”은 평가가 변화와 반성의 계기가 된다고 인식하는 유형으로, 평가가 현장의 변화를 유도해내는 도구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개선을 유도하고 성과를 입증하는 활동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둘째, “공정성 지향형”은 평가의 영향력과 평가자의 주관성을 인정하면서, 평가가 최대한 공정하고 공식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정보 지향형”은 평가를 정보를 제공하고 가치를 파악하게 하는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평가를 자료수집 활동으로 보고, 이 활동이 최대한 합리적이고 실행 가능한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전시 지향형”은 평가를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전시적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들은 평가를 책무성을 다하기 위한 형식적이고 상징적인 활동으로 본다. 향후 평생교육 평가는 원칙과 체계를 기반으로 방법과 활용을 다각화하고 상황에 따른 융통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평가가 평생교육 내용, 방법, 체계 등의 개선에 전방위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평가의 주도권을 실질적인 평가 주체를 중심으로 분산하여 평생교육 담당자가 평가를 통해 현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concept of evaluation in lifelong education. Q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and set out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ors on evaluation. Q sample was composed of 42 statements and 31 lifelong educators were selected to P sample. As a results of Q sorting, the concept of evaluation of lifelong educators were categorized in 4 types. Type 1 was named “change-oriented” so that 9 lifelong educators of type 1 perceived evaluation would provide feedback and facilitate changes. Type 2 was named “fairness-oriented” so that 11 lifelong educators of type 2 perceived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airly and publicly. Type 3 was named “information-oriented” so that 7 lifelong educators of type 3 perceived evaluation would provide information and help to decide value. Type 4 was named “accountability-oriented” so that 4 lifelong educators of type 4 perceived evaluation would be symbolic activity, something to show to others. This result suggest that lifelong evaluation should be more diversified and flexible based on principle and system.

      • KCI등재

        공공부문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 평가자의 역량모델 개발

        박소연(So-youn Park),신범석(Bum-seok Shin)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4

        본 연구는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 평가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평가자의 선발 및 육성에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한 역량분석틀 구성, 전문가 면담을 통한 역량모델안 설계, 타당성 검증 및 수정보완의 절차를 거쳐 10개 역량 및 30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공공부문 역량 평가자에게는 책임감, 판단력, 객관성, 윤리성, 역량 이해력, 평가대상 이해력, 평가체제 이해력, 평가 운영능력, 평가기법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역량의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객관성, 윤리성, 책임감과 같이 주로 평가자의 자질 및 태도와 밀접하게 관련한 역량이 전반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운영능력, 평가기법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개발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역량 이해력, 평가대상 이해력, 평가체계 이해력은 개발가능성이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판단력, 책임감, 객관성, 윤리성의 개발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역량모델에 기초하여 역량평가센터 평가자의 역량분석 및 모듈식 역량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of assessors in the public sector. The draft competency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6 experts in assessment center. The model was tested contents validity with 13 expert panels and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10 competencies: responsibility, judgement, objectivity, ethicality, understanding competency, understanding assessee, understanding system of assessment center, assessment operating competency, assessment technique use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traits/attitudes such as objectivity, ethicality and responsibility ar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while their development feasibility is lower than other competencies. The competency model of assessors in public assessment center developed in this research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n account of competency assessment and training needs analysis of assessors.

      • KCI등재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의 자살시도 경로 분석

        박소연(Park, So-Youn),양소남(Yang, Sonam),박소영(Park, So-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 증상과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음주 여부와 고민상담 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 관계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자살을 생각해 본 청소년 총 7,58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에서 스트레스와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고민상담 여부가 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우울 증상과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음주 여부가 매개효과로 작용한 반면, 중학생 집단의 경우 음주여부의 매개효과 없이 음주 여부와 자살시도 간의 직접적인 효과만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 집단에서만 우울 증상과 자살시도 간의 관계에서 고민상담 여부가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통합적인 우울과 음주 예방 교육,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자살예방 프로그램, 그리고 청소년의 주류 접근성을 줄일 수 있는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rinking alcohol and counseling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 and these relationships are district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2017 the 13rd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a sample of 7,584 adolescents with suicide though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First, counse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drinking alcohol was a mediator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for high school students, while drinking alcohol was not a mediator but a direct effect of drinking alcohol on suicidal attempt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counse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attempts only for middle school stud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depressive and alcohol use, differentiated suicidal prevention programs which reflect characteristic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regulations that reduce youth access to alcohol were discussed.

      • KCI등재

        4비트 ADC 반복구조를 이용한 저전력 전류모드 12비트 ADC

        박소연(So-Youn Park),김형민(Hyung-Min Kim),이대니얼주헌(Daniel-Juhun Lee),김성권(Seong-Kweo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6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회로와 저소비전력 및 고속연산의 장점을 가진 아날로그 회로를 혼용하기 위하여, 저전력 전류모드 12비트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12비트 ADC는 4비트 ADC의 cascade 구조를 사용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었으며, 변환 current mirror 회로를 사용해 칩면적을 줄일 수있었다. 제안된 ADC는 매그나칩/SK하이닉스 350nm 공정으로 구현하였고, Cadence MMSIM을 사용하여 post-layout simulation를 진행하였다. 전원전압 3.3V에서 동작하고, 면적은 318  x 514  를 차지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ADC는 평균 소비전력 3.4mW의 저소비전력으로 동작하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a low power current mode 12-bit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is proposed to mix digital circuits and analog circuits with the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speed operation. The proposed 12 bit ADC is implemented by using 4-bit ADC in a cascade structure, so it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chip area can be reduced by using a conversion current mirror circuit. The proposed 12-bit ADC is SK Hynix 350nm process, and post-layout simulation is performed using Cadence MMSIM. It operates at a supply voltage of 3.3V and the area of the proposed circuit is 318µm x 514µm. In addition, the ADC shows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with low power consumption of 3.4mW average power consumption in this paper.

      • KCI등재

        성인 기초 문해력 조사문항 개발을 위한 문해 영역 및 수준 설계

        박소연(Park So Youn),이지혜(Lee Ji Hye),허준(Heo J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3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문해력 수준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과거의 자기 응답식 조사 방법이 아니라 수준별 문해력 측정을 위한 조사를 통해 이런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문해력 조사 문항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해 영역과 문해 수준을 설계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이론과 국내외 유사 조사도구 분석을 통해 문해 영역과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해 영역, 문항 형식 및 생활 영역에 대한 전문가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문해 영역별 중요도, 문해 측정 영역, 문해 영역별 문항 난이도 수준을 확정하였다. 향후 성인 문해력 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 성인 문해력 조사 문제은행 구축, 성인 문해력 진단 도구 개발 등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해 영역과 문해 수준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성인 문해교육 정책의 실효성 있는 데이터 생산을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the domains and levels of adult literacy for developing adult literacy assessment. For the purpose, the related documents and surveys are analyzed and the assessment on the adult literacy domains and levels are developed. It is examined by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adult literacy education through Delphi method and AHP analysis. As the results, the adult literacy domains, the form of question and the consensus of everyday life domains by the specialists are derived. And the level of importance and difficulty by adult literacy domains are confirmed. Therefore, the framework of the assessment on literacy domains and the assignment of the questions by levels are designed. This framework would be the base of developing the measurement and the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It suggests that there are needs to conduct the following research for collecting data of adult literacy and to produce the empirical data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adult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평가 요구분석

        박소연(Park, So Yo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3

        성인문해교육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면서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평가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평가의 현 상황을 조망하고 향후 성인문해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기관의 성인문해교육 담당자 121명을 대상으로 성인문해교육의 프로그램 논리에 근거하여 교육 평가의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필요수준이 높은 항목은 교육내용 난이도의 적절성, 학습을 통한 기술향상정도, 강사의 강의태도 등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항목은 문해율, 사회통합 수준, 휴게 및 다과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수준이 높은 항목은 교육시간 및 운영, 장소 및 시간안내, 교육목표 및 의지 등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항목은 사회통합 수준, 문해율, 휴게 및 다과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The Locus for Focus Model에 따라 평가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의 적합도, 난이도의 적절성, 강사의 내용전문성, 강사의 강의스킬, 강사의 강의태도, 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 학습을 통한 기술 향상 정도에 대한 평가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evaluation needs of the adult literacy educational program. Program theory perspective was adopted to analyze the adult literacy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adult literacy educational program. theory, current and required level of each components were surveyed and the most needed evaluation objects and findings were as follow. The most required evaluation objects were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ntents", "the level of skill improvement" and "teaching attitude of lecturer" in descending order. The least required evaluation objects were "literacy rate", "social integration level" and "refreshment supports." The highest current evaluation objects were "scheduling and operating", "notice about place and time" and "awareness learning objectives and will of learner." The lowest current evaluation objects were "social integration level", "literacy rate" and "refreshment supports." The level of evaluation needs was analyzed by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7 evaluation objects included "relevance of learning contents",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ntents", "contents expertise of lecturer", "teaching skill of lecturer", "teaching attitude of lecturer",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program" and "the level of skill improvement" were so needed to be evaluated that they were marked higher than mean in both required level and discrepancy level. This result suggest that evaluation system and support needed to manage quality of adult literacy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