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어미용 종사자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설아,장지연 한국미용학회 2023 한국미용학회지 Vol.29 No.6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impact of job values and job expertise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and identifying that job values and job expertise ar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providing data that contributes to the strengthening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hairdressers and the beauty industr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met, and the use of the reference group, which is a sub-factor of job value, external job value, and job experti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the intrinsic and external value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valu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job values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higher the autonomy, self-control, utilization of reference groups, and sense of voc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job expertise of hairdressers on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신생 소수정당의 성장과 포퓰리즘: 독일 대안당(AfD: Alternative für Deutschland)과 우파 포퓰리즘을 중심으로

        박설아,류석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8 韓國 政治 硏究 Vol.27 No.1

        이 글은 안정적인 정치 체계에서 신생 소수정당의 정치적 성공 요인으로 포퓰리즘 전략을 규명하고, 원내 정당으로서의 지속 가능성을 검토한다. 특히 독일에서 등장한 소수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이하 대안당)’은 소수정당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포퓰리즘 전략을 통해 발전한, 급진적인 우파 소수정당의 정형화된 형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대정당과 다른 우파 소수정당들과의 경쟁에서 단기간에 발전한 독일 대안당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소수정당의 정치적 전략으로서 포퓰리즘의 특성과 한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신생 소수정당인 대안당은 ‘대중’을강조하고 ‘우리’와 ‘그들’이라는 포퓰리즘적 이분법 속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불만을 흡수하고 단일한 경제 이슈로 의제화하여 대정당의 지지자들을 동원하고, 이민자와 이슬람을 반대하는 사회운동과 공조하여 여타 소수정당과의 차별성을 꾀하면서 지지기반을 다지고, 기존 우파 소수정당과 다르게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정치적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의회 진출 이후 정파 간 갈등의심화, 우파 포퓰리즘의 극단화, 강력한 리더십과 새로운 이슈의 부재 등 앞으로해결해야 할 문제 역시 남아 있다. This study seeks to outline the rise of the ‘Alternative for Germany (AfD)’ and its populism as a political strategy and, in the process, come closer to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nature and limits of the populism and examine to the substantiality of the populist small parties as parliamentary parties. The AfD won seats in the nearly all regional elections as well as the most recent elections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Bundestag.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AfD owed its unprecedented political success to application of the populist conception of ‘the people’ and a dichotomy between ‘we’ and ‘the other.’ Furthermore, the party mobilized loyal supporters by agenda setting with economic issues, cooperation with social movements, the use of media in political campaigns. It, however, faces challenges such as resolving factional conflicts, problems with political polarization, weak leadership and a shortage of new issues.

      • KCI등재

        공동불법행위자 중 일부의 책임제한 가능성 - ‘기여도 감책론’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박설아 한국재산법학회 2018 재산법연구 Vol.34 No.4

        In the event of joint torts involving an indivisible damage, the joint tortfeasors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under Article 760 of the Korean Civil Act. At this time, even if the intervention of some of the joint tortfeasors was due to very slight negligence compared to other tortfeasors, he or she would still be responsible for the whole damages incurred.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some lower courts and the Supreme Court have ruled that the liability of some joint tortfeasors is limited due to the fairness of damages sharing. For example,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June 27 in 2016, the Supreme Court confirm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gligence of the police officers and the death of the victim in the case of the victim being brutally murdered by a criminal. Accordingly, the judgment was concluded by limiting the percentage of the national agency's liability to the victim to 30% of the total damages. This article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ruling of the Court, although different from past Supreme Court rulings, do not seem to change the existing position. But the study on reducing the liability of tortfeasors with slight negligence can be a sufficient momentum to realize that it is still a topic of avail. In this paper, firstly, I analyzed the reasons why the contribution rate assessment did not get favorable. In this analysis, the discussion of our academy and courts, which sees the intent of the legislative act of Article 760 of the Civil Code and its meaning, could be reviewed. Furtherm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in Article 760 (1), the existence of a causal relationship and the limitation of liability, and the legitimate attempts. This suggests that the contribution rate assessment can still be a meaningful subject and confirms the need for a theoretical review of the applicable area and th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Article 760 of the Civil Code. 여러 명의 불법행위가 개입하여 단일한 손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민법 제760조에 따라 공동불법행위자들이 연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공동불법행위자들 중의 일부의 개입이 다른 불법행위자에 비하여 아무리 경미한 과실에 의한 것이었다 하더라도 그는 여전히 발생한 손해 전체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게 된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며 학계의 의견도 대부분 이를 따르고 있다. 이에 반하여 최근 들어 일부 하급심과 대법원 판결에서는 손해분담의 공평에 기하여 일부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을 제한하는 판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대법원 2016. 7. 27. 선고 2014다227843 판결에서는 가해자의 범죄행위로 피해자가 잔인하게 살해된 사안에서 경찰관들의 직무상 의무 위반행위와 피해자의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하였고, 이에 따라 환송판결에서는 피해자에 대한 국가기관의 책임비율을 전체 손해의 30%로 제한함으로써 이 사안이 마무리되었다. 이러한 판결들은 과거의 대법원 판결과 달라 보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입장을 전격적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기여도 감책론은 여전히 꺼지지 않은 화두임을 깨닫게 하는 충분한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우선, 그동안 기여도 감책론이 호응을 얻지 못한 이유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는 민법 제760조의 입법취지와 조문의 의미를 바라보는 우리 학계의 논의와 판례가 포함되었다. 더 나아가, 이 글에는 경미한 과실로 불법행위에 기여한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제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760조 제1항의 공동의 의미에 대한 이해, 인과관계의 존재 및 책임 제한 간의 관계, 그동안 입법적 시도 등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기여도 감책론은 여전히 의미있는 논의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민법 제760조의 적용과 관련하여 이 조항의 적절한 적용영역, 공동불법행위책임에 대한 이론적 재검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있다.

      • KCI등재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제의 조화방안 -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의 용역 수입을 중심으로 -

        박설아,박훈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1

        The international trade has changed in its structure from finished goods-oriented trade into intermediate goods and service-oriented trade based on the Global Value Chain since 1990s. Following such change in the international commerce environment, intra-group service trades of multinationals have drastically increased, in the course of which multinationals sometimes establish managerial strategies to reduce tax burden by artificially forming transfer prices. Since value-added tax (“VAT”) and income tax for a single transaction price operate in opposite directions, one has to approach transfer pricing from a tax-neutral perspective as opposed to the tax revenue reduction of a certain tax item. For services between a multinational and a foreign related party at a price outside an arm’s length, the transfer price is adjusted by applying transfer pricing rules in an income tax aspect. If a price adjustment for VAT taxation on the single transaction is not carried out, issues like VAT avoidance or double taxation may occur. Otherwise put, the neutrality in VAT is damaged. Thus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effects of transfer pricing adjustment for income tax when importing services from related parties on VAT and has made an in-depth examination on the plans to harmonize VAT and transfer pricing rules. Transfer pricing adjustments under transfer pricing rules may directly affect VAT in the following cases assuming that a Korean business operator without a full right to deduction of input tax imported services from a foreign related party:firstly, where the price of services imported to Korea increases following the primary adjustment of an exporting country, and thus any corresponding adjustment or compensating adjustment is carried out in Korea, in which a Korean business operator pays the foreign related party the balancing payment and such amount is accounted for as additional consideration for the originally provided service or as consideration for a separate taxable service;secondly, where the price of services imported to Korea is decreased due to a primary adjustment or compensating adjustment made in Korea, in which a Korean business operator receives the balancing payment from the foreign related party and the payment is accounted for as decreased transaction price for the originally provided service, in which case if the substantial/economic relationship of consideration between the payment of the balancing payment and an original service or a separate service is acknowledged, it may directly affect VAT. With respect to the convergence plan for VAT and transfer pricing rules, as there may be interpretive confusion as to whether a claim for VAT reassessment may be filed for the reason of transfer pricing adjustment under the current Act, provisions on claim for VAT reassessment and amended tax return following transfer pricing adjustment shall be newly established in the Act. Further, a provisional tax return system shall be introduced in order to secure the creditworthiness of compensating adjustment and to prevent an abusive use of the claim for VAT reassessment following transfer pricing adjustment. Further, if an agreement on adjustment of VAT following transfer pricing adjustment and the scope of such adjustment, etc. is made in the course of advanced pricing agreement, it is deem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inconsistencies in VAT and transfer pricing rules may be resolved. 국제무역은 1990년대 이후 완제품 중심의 무역구조에서 국제가치사슬에 기반을 둔 중간재 및 용역중심의 무역구조로 변화했다. 이러한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로 다국적기업 내부의 용역거래가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다국적기업은 용역의 이전가격을 인위적으로 형성하여 세부담을 절감하려는 경영전략을 세우기도 한다. 그룹 내부의 용역거래시 하나의 거래가격에 대해 소비과세와소득과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므로, 이전가격행위는 어느 한 세목의 세수 감소가 아니라 조세중립성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용역을 수입하는 경우 이전가격조정에 따른 부가가치세의 사후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부가가치세 회피 결과가 발생하거나 납세자가 이중적 세부담에 노출되고 재화 수입과의 형평에도 맞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를 조화시킬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용역을 수입하는 경우 소득과세를 위한 이전가격조정이 부가가치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제를 조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이전가격세제상 이전가격조정이 부가가치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는 완전한 매입세액공제권한이 없는 우리나라 사업자가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용역을 수입한 상황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첫째, 수출국의 일차조정으로 우리나라에 수입된 용역의 가격이 증액되어 우리나라에서 대응조정을 하거나 보상조정이 이루어진 경우로서 우리나라 사업자가 국외특수관계인에게 가격조정금을 지급하고 이를 당초 공급된 용역에 대한 추가대가 또는 별도의 용역 대가로 처리한 경우이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일차조정을 하거나 보상조정이 이루어져 우리나라에 수입된 용역의 가격이 감액된 경우로서 우리나라 사업자가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가격조정금을 지급받고 이를 당초 공급된 용역의 거래가격이 감소된 것으로 처리한 경우이다. 이때 가격조정금의 지급과 당초의 용역 또는 별도의 용역 사이에 실질적․경제적 대가관계가 인정된다면 부가가치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다.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의 조화방안과 관련하여, 현행법상 이전가격조정을 이유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를 할 수 있는지 해석상 혼란이 있으므로, 부가가치세법에 이전가격조정으로 인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 및 수정신고 규정을 신설해야 한다. 그리고 보상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전가격조정으로 인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제도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 잠정가격 신고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정상가격 산출방법 사전승인 과정에서 이전가격조정에 따른 부가가치세의 조정 여부 및 조정범위 등에 관하여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부가가치세와 이전가격세제의 불일치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무단점유에 따른 부당이득의 성립 여부

        박설아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3

        Article 741 of the Civil Act, in relation to unjust enrichment, prescribes that a person who “without any legal ground” derives a benefit from the property or services of another and thereby causes “loss” to the latter shall be bound to return such benefit. Examining whether unjust enrichment may be established with respect to the occupation without permission of real estate pursuant thereto, the precedents have taken a position that unjust enrichment equivalent to rent is established in regard to the occupation and use without permission of immovables. Meanwhile, with regard to the unauthorized occupation of the section for common use of condominium buildings, the existing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have determined that the section for common use of condominium buildings is not subject to the use or lease for other purposes such as stores structurally, and thus even if some of the sectional owners occupied or used the section without any legal ground, this cannot be seen to have caused damage such as the loss of profits equivalent to rent to other sectional owners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Even in the case which becomes a subject of review of this article, whether the defendant, who is a sectional owner, occupying corridor and lobby, which are the sections for common use of commercial buildings, without permission and using these areas as the part of business place, is liable to return unjust enrichment became an issue, and the lower court, citing the existing precedents, denied the defendant’s obligation to return unjust enrichment. However, in a case where other sectional owners are prevented from using the said section as someone exclusively occupies and uses the section for common use of a condominium building even if whether damage has been caused is considered as a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of unjust enrichment in accordance with Article 741 of the Civil Act, damage is caused to other sectional owners in that their right to utilize the common area for its original purpose is infringed. In some cases, although the sectional owners may receive usage fee by allowing another person to exclusively use the said section for common use through resolution at a meeting, or regulations, of the managing body as part of the management or change of the section for common use, damage, depriving them of such opportunities, can also occurs. Nevertheless, there is also a view that damage equivalent to rent does not occur as the section for common use of condominium buildings is not subject to be used or rented for other purposes, but such view may be seen to misunderstand the legal principl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unjust enrichment by infringement. In general, unjust enrichment corresponding to rent is admitted with regard to the occupation without permission of real estate. This is not because the said real estate is required to be available for rent, but because the profits obtained as an objective reward by reason of unauthorized use of real estate are deemed to be equivalent to rent. If the establishment of unjust enrichment is denied on the grounds that the section for common use is used for other purposes or not something to be leasable, this is quite the same as adding a new requirement, not stipulated by law, referred to as availability for rent to the claim for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based on the occupation without permission of the corresponding real estate. The purpose of unjust enrichment system is to seek adjustment in financial conditions between a person lost and a person enriched through the restitution of the profit from a person enriched in the event of the movement of the property value contrary to the conception of justice and fairness. If the establishment of unjust enrichment is denied even though a person, who exclusively occupied and used the section for common use without justifiable grounds, took advantage thereof, and thus other sectional owners h... 우리 민법 제741조는 부당이득의 내용으로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 또는 노무로 인하여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이익을 반환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의 무단점유에 대하여 부당이득의 성립을 검토하면서 우리 판례는 부동산의 무단점유·사용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차임 상당의 부당이득이 성립한다고 보고 있다. 한편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무단점유에 대하여 기존의 대법원 판례는 집합건물 공용부분이 구조상 점포로 사용하는 등 별개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구분소유자 중 일부가 아무런 권원 없이 이를 점유·사용하였더라도 다른 구분소유자에게 차임 상당의 이익을 상실하는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해 왔다. 본고의 검토대상이 된 사건에서도 상가건물의 공용부분인 복도와 로비를 무단으로 점유하여 영업장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는 구분소유자인 피고에게 부당이득 반환의무가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고 원심판결은 기존 대법원 판례를 인용하여 피고의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정하였다. 그런데, 민법 제741조에 따라 손해의 존재를 부당이득의 성립 요건으로 보더라도 누군가가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을 배타적으로 점유·사용하여 다른 구분소유자들의 사용을 막고 있는 경우 다른 구분소유자들에게는 그 공용부분을 용도대로 사용할 권리가 침해되었다는 손해가 발생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용부분의 관리나 변경의 일환으로 관리단집회 결의나 관리단규약을 통하여 해당 공용부분을 타인에게 전용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사용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는 손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이 별개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므로 차임 상당의 손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은 침해부당이득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다고 볼 소지가 크다. 일반적으로 부동산의 무단점유에 대하여 차임 상당의 부당이득을 인정하는 것은 부동산의 무단사용에 따른 객관적 대가로서 그 사용이익을 차임 상당으로 의제하기 때문이지 해당 부동산이 임대가능할 것을 요건으로 하기 때문이 아니다. 별도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님을 이유로 부당이득의 성립을 부정하는 것은 해당 부동산의 무단점유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에 대하여 임대가능성이라는 법률에서도 정하고 있지 않은 새로운 요건을 추가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부당이득제도의 목적은 정의와 공평의 관념에 위배되는 재산적 가치의 이동이 있는 경우 수익자로부터 그 이득을 되돌려 받아 손실자와의 사이에 재산상태의 조정을 꾀하려는 데 있다. 공용부분을 정당한 권원 없이 배타적으로 점유·사용한 자가 그로 인한 이익을 누렸고 다른 구분소유자들은 그 공용부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는데도 부당이득의 성립을 부정한다면, 이는 공용부분을 배타적으로 사용한 자로 하여금 모든 이익을 보유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부당이득반환제도의 취지인 공평의 이념에도 반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무단점유에 따른 부당이득의 성립을 부정한 기존 대법원판결을 변경하고, 원고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기각한 원심을 파기한 대상판결은 타당하다. 대상판결은 정당한 권원 없이 공용부분을 배타적으 ...

      • KCI등재

        외국중재판정에 대한 집행결정-집행가능성 요건을 중심으로-

        박설아 국제거래법학회 2018 國際去來法硏究 Vol.27 No.1

        For the procedure of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only the reasons for refusing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awards shall be examined; the reexamination on finding of facts and application of law done by the arbitral tribunal is prohibited. However, since the arbitral award constitutes the execution title integrated with the enforcement decision, an examination on fulfillment of requirements for competence of the execution title shall be examined in terms of domestic Civil Execution Act. The arbitral award, ordering the debtor to make a legally binding declaration, cannot be subjected to the enforcement decision. Moreover, in case of ‘an ordering of remedies for which execution is inadmissible by its nature’ and of ‘an arbitral award deficient in specificity’ among foreign arbitral awards in question in respect of respective enforceability, the requests for enforcement shall be dismissed for they lack requirements for competence of the execution title. In practice, the specificity of foreign arbitral awards is frequently challenged; regarding the degree of specificity, there is no need to apply the criteria which are relatively mitigated comparing to those employed for the judgment. In principle, the operative part of foreign arbitral awards shall specify the scope of obligation clearly by itself; the interpretation using the grounds of the award is granted if the meaning of the operative part remains unclear. However, the operative part, ordering specific performance by citing relevant evidences or document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reasons, are deemed fail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specificity; the injunction of indistinct scope of regional area may encounter rejection of the enforcement. The arbitral tribunal shall consider the enforceability of the requested state if the place of performance is predictable. Since the arbitral awards are basically based on the relief sought, great care must be taken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law and practice at the place where enforcement will be sought at the initial request stage. One should bear in mind the disadvantages ascribable to the enforcement rejected on the excuse of unenforceability will be attributed completely to the party requested for the arbitration. 외국중재판정에 대한 승인⋅집행결정절차에서는 원칙적으로 승인⋅집행거부사유의 존부만 판단해야 하고, 중재판정부가 행한 사실인정과 법률의 적용을 재심사하는 것은 금지된다. 그러나 중재판정은 집행결정과 일체가 되어 집행권원을 형성하므로 중재판정이 우리민사집행법상 집행권원의 적격성 요건을 갖추었는지 심리할 필요가 있다. 확인적 구제수단을 명하는 중재판정은 집행결정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외국중재판정의집행가능성이 문제되는 유형 중 ‘중재판정이 특정성 요건을 결한 경우’와 ‘성질상 강제이행이 허용되지 않은 법적구제를 명한 경우’에는 집행권원의 적격성을 갖추지 못하여 집행신청을 각하하여야 한다. 실무상 주로 외국중재판정의 특정성이 문제되는데, 특정성의 정도에 있어 판결에 비하여완화된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원칙적으로 중재판정 주문 자체로 의무의 범위를 명확히 특정하여야 하고, 다만 판정이유를 고려하여 주문을 해석하는 것은 허용된다. 그러나 판정이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관련 증거나 서류를 인용하여 특정이행을 명하는 판정주문은특정되었다고 할 수 없고, 지역적 범위가 불분명한 금지명령의 경우에도 집행이 거부될 가능성이 있다. 중재판정부는 집행국에서의 집행가능성을 고려하여 중재판정을 내려야 한다. 그런데 중재판정은 중재신청을 기초로 하므로 중재신청 당시부터 집행국에서의 집행가능성을 유념해야 한다. 집행불능을 이유로 집행이 거부되는 경우 이로 인한 불이익은 고스란히 중재신청인에게 돌아간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망 중립성 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미국과 유럽의 제도를 중심으로

        박설아 한국정보사회학회 201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 No.

        본 연구는 기존의 인터넷 환경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망 중립성(net neutrality)과 관련하여 현재 제기되고 있는 시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미국과 유럽이 정보사회적 특성을 바탕으로 망 중립성 논의에 적합한 원칙과 제도적 조건을 생성하는 과정을 비교하여 제도 변화에서 양자 간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미국과 유럽의 망 중립성 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으로 신제도주의적 관점의 해석을 시도하여, 망 중립성에 대한 두 지역의 정책적 대응이 각각 제도의 중첩과 전환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밝힌다. 즉, 미국은 행위자들이 새로운 정책의 결정과정에 참여하여 기존의 정보통신정책에 망 중립성 원칙을 추가하는 형태의 제도 중첩의 모습을 보이는 반면, 유럽은 각 국가 간의 정치적-사회적 환경 속에서 기존의 전자통신 관련 제도들을 조화시켜 망 중립성 정책으로 전환하는 제도 변화를 나타낸다. 이 작업은 한국에서의 망 중립성에 대한 발전적 논의뿐만 아니라, 제도의 점진적 변화에 상대적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신제도주의적 경향을 극복하는데 유용한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 글은 현실적으로 미국과 유럽의 망 중립성 논의의 전개과정과 특성을 파악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망 중립성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정책의 변화와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행정절차 참여권의 침해와 국가배상책임 -대법원 2021. 7. 29. 선고 2015다2216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박설아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5

        최근에, 국가배상청구소송과 행정소송 간의 관계를 돌아보게 하는 대법원판결이 선고되었는바, 이를 소개하고 분석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해당 판결의 사안에서는 폐기물 매립장 설치와 같은 공익사업을 시행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시행과정에서 법령상 요구되는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누락하고(심지어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진행한 것처럼 관련 서류를 위조하여) 해당 시설을 설치·운영한 것에 대하여 해당 시설 인근지역의 주민들에게 그 지방자치단체가 정신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그동안 국가배상책임의 제한 법리로 사용되었던 ‘객관적 정당성 상실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적용하는 대신, 지역 주민들의 행정절차 참여권과 같은 행정법상 소위 ‘절차상 권리’의 침해에 대해서는 곧바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에게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의무를 부담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주민들의 절차적 권리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이 남아있다고 볼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위자료 배상책임을 부담한다는 취지에서 ‘원칙적 부정, 예외적 인정’의 입장을 개진하였다. 이러한 대법원판결의 입장은 그동안 국가배상책임 성부와 관련하여 학계에서 집중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여러 쟁점들 외에 새로운 논점을 추가로 제시한 것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특히 그 판시 법리 중에서 ‘행정소송을 통하여 처분이 취소되거나 처분의 무효를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된 경우 등’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절차적 권리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상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여 행정청의 위법행위로 인한 국민들의 권리구제방법으로 행정소송을 통한 권리구제와 국가배상청구소송을 통한 권리구제의 관계를 생각해 보게 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점은 행정소송을 통한 권리구제를 원칙으로 하는 독일법체제와 비교해 보더라도 훨씬 더 엄격한 관점에서 관련 주민들의 국가배상청구 가능성을 제한하는 법리이다. 오히려, 독일 법제와 달리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우리 법제에 따르면 국가배상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국가배상책임의 요건, 즉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에 따른 위법행위 그리고 이로 인한 손해의 발생이라는 요건이 갖추어졌다면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배상되어야 하는 손해의 관점에서 볼 때, 절차적 권리의 침해가 문제 되는 모든 사건에서 해당 절차의 누락을 이유로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인정할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관련 법령에서 절차적 권리를 보장한 것에 사익보호성이 인정되고, 당사자들이 행정결정에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기회의 상실’ 그 자체만으로도 손해의 발생을 인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민들의 자기결정권의 침해라고 볼 여지도 크고, 행정행위의 위법성이 중대명백한 경우라면 위법한 행정행위로 발생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부담을 우려한다면 책임의 성립 자체를 부정할 것이 아니라 배상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더 적절한 방법이다. 항고소송을 통한 권리의 구제와 국가배상제도는 그 취지를 달리 하며 항고소송을 통하여 관련 행정처분이 취소되거... This article intends to introduce and discuss a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that has us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state compensation claims. The following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the decision. A local authority that carried out a public project neglected to follow the legal process for getting locals' opinions while carrying out the project. The local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the facility's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it also caused non-monetary damages to the nearby inhabitants. The main question was whether the government was accountable for the losses. Rather than relying on the decision regarding “whether objective legitimacy has been lost”, which has been utilized as a legal precept to restrict state liability, the Supreme Court made a declaration regarding the violation of administrative law's “procedural rights”, which include the right of local residents to engage in administrative processes. The Supreme Court expressed a position of “denial in principle” to the effect that the organization bears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on. In light of this, it is not immediately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bears the obligation to compensate the residents for mental damages. Rather, this obligation can only be mad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it is evident that the residents' mental suffering is still a result of the infringement of their procedural rights. The stance of this Supreme Court decision is intriguing because, in addition to addressing a number of topics that have been the focus of intense scholarly debate over the state's obligation to provide compensation, it also offers a fresh perspective. In particular, liability for mental suffering resulting from the violation of procedural rights is not recognized unless there are exceptional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 judgment's jurisprudence, “in cases where a disposition is revoked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or a judgment confirming the invalidity of a disposition is finalized.” As a result, it catches our attention because it contains content that makes us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edy of rights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remedy of rights through lawsuits for state liability as a method of redressing the rights of the people due to illegal ac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However, this point of view severely restricts the possibilities of asserting state accountability, even when compared to the German legal system, which is built on the notion of remedies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Rather, the requirement for state liability stipulated in Article 2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that is, a public official's intentional or negligent illegal act and the resulting damage, is based on our legal system, which generally recognizes non-pecuniary damages rather than the German legal system. There is no reason not to recognize the State's liability if this is in place. In terms of compensable losse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at non-pecuniary damages can be recognized for failure to follow the necessary procedure in all circumstances when procedural rights are violated. However, where the protection of the parties' private interests is recognized in the relevant statutes and the parties are denie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decisions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e occurrence of damage can be recognized only by the ‘loss of opportunity’ itself. Furthermore, if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conduct is significant and obvious, compensation for mental distress induced by the illegal act should be recognized. Limiting the establishment of state culpability because of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burden on state or local governments is undesirable in terms of practical rule of law and the demand for adequate remedies for people's rights.

      • KCI등재

        광고선전비의 이전가격세제에 관한 연구- 마케팅 무형자산과 소득구분을 중심으로 -

        박설아 한국국제조세협회 2018 조세학술논집 Vol.34 No.1

        Many multinational enterprises are burdening their subsidiaries in charge of distribution function with advertising, marketing and promotion expenses (hereinafter "AMP expenses") needed to pioneer overseas markets or increase market share. Subsidiaries are forced to pay for the cost of international marketing activities performed by headquarters. Subsidiaries will pay a significant amount of royal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fees to overseas headquarters, and will deduct domestic AMP expens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fees. Consequently, taxable income would be shifted out of the source country. To prevent tax avoidance using AMP expens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domestic marketing activities of subsidiaries should be recognized as marketing intangibles. Al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acknowledge the right of taxation in the source country by recognizing international marketing fees that the subsidiaries bear as royalty incom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using the concept of marketing intangibles to secure tax revenue, and this trend is reflected in the OECD Transfer Pricing Guidelines revised in 2017 and the United Nations Practical Manual on Transfer Pricing. Korea should also promote fair distribution of taxable income between the source and resident countries by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marketing intangibles into the domestic tax law and recognizing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marketing activities of the subsidiaries. If a subsidiary pays international marketing fee to its overseas headquarter, the existence and scope of the right of taxation in the source country will vary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income. That's why distributors try to avoid withholding tax by regarding international marketing fees as CCA (Cost Contribution Arrangement) contributions or payments for intra-group services. Contrarily, the tax authorities interpret international marketing fees as royalty income and impose the withholding obligation. Since international marketing fees are used for international marketing activities to enhance the value of trademarks owned by overseas headquarters, it is reasonable to regard international marketing fee as royalty income. 많은 다국적기업이 해외 시장을 개척하거나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데 소요되는 광고선전비를 유통기능을 담당하는 각국의 자회사에 부담시키고, 나아가 그룹 차원의 국제마케팅활동에 소요된 비용을 각국의 자회사들로부터 국제마케팅비 명목으로 지급받는 방식으로 전가하고 있다. 자회사는 국내 광고선전비와 해외 본사에 지급한 국제마케팅비를 손금처리하기 때문에, 원천지국 입장에서는 세원이 잠식되고 소득이 이전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다국적기업의 광고선전비를 이용한 조세회피를 막기 위해, 자회사의 국내마케팅활동에 대해서는 마케팅 무형자산을 인정하고, 자회사가 부담하는 국제마케팅비에 대해서는 사용료소득으로 인식함으로써 원천지국의 과세권을 인정하는 방안에 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세계 각국은 세수 확보를 위해 마케팅 무형자산 개념을 적극 활용하여 원천지국의 과세권을 행사하고 있고, 이러한 흐름은 2017년 개정된 OECD 이전가격지침과 UN 이전가격 매뉴얼에도 반영되었다. 우리나라도 국내세법에 마케팅 무형자산 개념을 도입하여 자회사의 마케팅활동에 대한 적정한 보상을 인정함으로써 원천지국과 거주지국 간 과세소득의 공정한 분배를 도모해야 한다. 자회사가 해외 본사에 국제마케팅비를 지급하는 경우, 소득구분에 따라 원천지국 과세권의 유무와 범위가 달라진다. 그 때문에 유통업자는 원가분담약정에 따른 분담금이나 그룹 내부 용역거래에 대한 대가로 보아 원천징수를 피하려고 하고, 과세관청은 사용료소득으로 보아 원천징수의무를 부과하려고 한다. 국제마케팅비는 해외 본사가 보유한 상표의 가치를 강화하는 국제마케팅활동에 쓰였으므로, 국제마케팅활동으로 인해 상승된 상표권의 사용대가, 즉 사용료소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수입부분품과 관련된 권리사용료의 관세평가

        박설아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0

        In global value chains, transactions are formed between multiple parties, and royalties or licence fees (hereinafter “royalties”) can relate partly to the imported goods and other ingredients or component parts added to the goods after their importation, or to post-importation activities or servic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alculate the amount to be added to the price actually paid or payable as representing royal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major countries intend to calculate the proper customs value of the imported goods by applying reasonable apportionment measures. However, the Korean courts have revoked initial tax assessment on the ground that the addition to the price actually paid or payable was not made on the basis of objective and quantifiable data if the contrac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amount of royalties related to the goods being valued and the amount of royalties related to post-importation activities or services. After that, tax authorities have issued another tax assessment with drastically reduced adjustment relating to royalties not on the basis of the alternative method, but on the basis of the transaction value method. This has given rise to undue advantages for importers who refused to provide full information, thereby preventing proper determination of the customs value of the imported good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issues concerning the customs valuation of royalties for imported ingredients or component parts and draw specific and practicable criteria for judgment. First of all, royalties relate to the imported parts, which presupposes that there is a sufficiently close link between the royalties and those goods. Such a link exists where the know-how supplied under the licensing agreement is necessary for the manufacture of the imported goods. That is indicative of the fact that the goods were specifically designed for incorporation into the licensed product without any other reasonable use being envisaged, or it is clear that the know-how can only be used with those goods. Next, when the buyer pays the seller royaltie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ayment of royalties constitutes a condition of the sale of the goods being valued, ① whether there is a linkage between the royalty payment and the sale of the goods being valued and ② whether the buyer has the option to buy imported goods without paying royalties should be examined. Where the buyer pays royalties to a third party, along with the above two criteria, the following circumstances such as ③ whether the third party is related to the seller of the imported goods and ④ whether the royalty or licence agreement contains terms that permit the licensor to manage the production or sale between the manufacturer and importer that go beyond quality control must be also considered. Even though an amount of royalties related to the goods being valued is not specified in the licence agreement, transaction value is acceptable for customs purposes if appropriate apportionment can be made on the basis of objective and quantifiable data. In order to calculate the amount to be added to the price actually paid or payable as representing the royalty or licence fee, the respective values of rights and know-how relating to post-importation activities or services can be established by evaluating the extent to which know-how is transferred or availed of and deducting that sum from the total royalty paid or payable. While the burden of proof of the existence of royalties related to post-importation activities or services lies on the taxpayers, tax authorities must calculate the amount to be added to the price actually paid or payable as representing the royalty or licence fee. If tax authorities make an appropriate adjustment on the basis of objective and quantifiable data, taxpayers are responsible for proving the fact that the value of rights and know-how relating to post-importation activities or services exceed... 다국적기업 중심의 글로벌가치사슬 구조에서는 다수당사자 간 거래관계가 형성되고, 권리사용료에 여러 권리에 대한 대가가 혼재되어 권리사용료의 지급대상과 가산범위를 판단하기 까다롭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요국들은 합리적인 안분기준에 따라 권리사용료를 안분하여 수입물품의 적정한 과세가격을 산정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법원은 권리사용계약서에 수입물품과 관련된 권리사용료 금액과 국내활동 대가가 구분되어 있지 않으면 권리사용료의 가산이 객관적이고 수량화할 수 있는 자료에 근거하지 않았다고 보아 과세처분을 전부 취소하는 판결을 내리고, 과세관청은 거래가격방법을 적용하면서도 정당한 권리사용료 부분의 가산을 포기하거나 가산범위를 대폭 축소하여 재처분을 해왔다. 이로 인하여 과세자료가 납세의무자의 지배영역 안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자료를 제출하지 아니한 채 전체 권리사용료 중에서 국내활동 대가를 구분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납세의무자가 오히려 부당한 이익을 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수입부분품과 권리사용료의 관세평가에 관한 다양한 쟁점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권리사용료의 가산요건은 관련성과 거래조건성인데, 수입부분품이 완제품 제조노하우를 실시하기에 적합하게 고안된 경우, 즉 수입물품의 유일한 상업적 용도가 그 제조공정의 실시에 있거나, 수입물품을 사용해야만 완제품 제조노하우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수입부분품과 완제품 제조노하우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거래조건성은 직접 지급과 제3자 지급을 나누어 판단해야 한다.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권리사용료를 직접 지급하는 경우에는 ① 물품판매계약과 권리사용계약의 내용 및 ② 구매자가 권리사용료의 지급 없이 수입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는지 고려해야 한다. 권리사용료를 판매자가 아닌 제3자에게 지급하는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③ 판매자와 권리권자 사이에 특수관계가 있는지, ④ 권리권자가 품질관리수준을 넘어서 판매자를 관리하는지 고려해야 한다. 권리사용료에 여러 권리에 대한 대가가 포함되어 있고, 계약서상 권리별 지급대가가 명시적으로 구분되지 않더라도, 객관적이고 수량화할 수 있는 자료를 토대로 합리적인 안분기준을 도출한다면 거래가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입물품과 관련된 권리사용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국내활동 대가를 공제해야 하는데, 국내활동 대가의 존재에 관해서는 납세의무자가 증명책임을 부담한다. 그런데 과세관청이 수입물품과 관련된 권리사용료만 관세의 과세가격에 가산하였음을 증명해야 하므로, 결국 전체 권리사용료에서 공제되는 국내활동 대가의 액수에 관해서는 과세관청이 증명책임을 부담한다. 그러나 과세관청이 국내활동 대가를 공제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산식을 마련하고, 객관적이고 수량화할 수 있는 자료를 토대로 국내활동 대가의 액수를 산출한다면, 그 인정 범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납세의무자에게 입증의 필요가 전환된다고 보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