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박선혜(Seon Hye Park),민희정(Hee Ju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가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파악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에 위치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자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jamovi 1.2.27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근무 기관 유형, 담당 영유아의 연령, 담당 영유아의 수, 근무경력, 보육교직원의수, 휴게 시간 사용 정도, 일일 평균 근무시간, 메이트 교사의 여부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자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자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감사성향과 자비와 유의미한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어린이집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감사성향을 통해 자비를 높일 수 있는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work stress levels depending on preschool teac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gratitude disposition, work stress, and compassion; and to determine whether compassion would mediate the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on their work stres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18 pre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socio-demographic items as well as scales to measure preschool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work stress, and compassion. Using jamovi 1.2.27,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preschool teachers’ work stress depending on certain factor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workplace type, age of students, years of child care service, and having a mate teacher. Second, higher levels of preschool teachers’ gratitude dis position have resulted in lower levels of work stress, while higher levels of their compassion have caused lower levels of work stress.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gratitude disposition have been 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compassion. Finally,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has been identifi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work stress. Conclusions Preschool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ratitude and compassion to help relieve their work stress, and accordingly programs for work stress relief integrated with gratitude and compassion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practice

      • KCI등재

        흡연 청소년과 비흡연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종단적 비교연구

        박선혜 ( Seon Hye Park ),강주희 ( Ju Hee Kang ),전종설 ( Jong Serl Chun ),오혜정 ( Hye Jung Oh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행동의 지속 여부에 따라 분류한 집단(흡연지속 집단 vs 비흡연 집단)간 정신건강의 차이(집단 영향력)를 알아보고, 전체 청소년의 정신건강의 변화(시간 영향력), 그리고 시간에 따른 두 집단 간 정신건강 변화양상의 차이(집단과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 영향력)를 알아보는 데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를 2차 분석한 결과, 우울의 경우, 흡연지속 집단은 비흡연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집단 영향력), 시간이 지날수록 전체 수준은 감소하였다(시간 영향력). 스트레스의 경우, 흡연을 지속한 집단이 비흡연 집단에 비해 그 수준이 높았으며(집단 영향력),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시간 영향력). 또한 스트레스의 하위범주 중 친구 스트레스는 집단 영향력, 시간 영향력, 상호작용 영향력이 모두 유의하였다. 즉, 흡연지속 집단이 비흡연 집단에 비해 친구 스트레스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집단 영향력), 시간이 지날수록 전체 집단의 친구 스트레스는 감소하였다(시간 영향력). 또한 두 집단의 친구 스트레스 변화 양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는데(집단과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 영향력), 비흡연 집단의 친구 스트레스 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폭 감소하지만, 이에 비해 흡연지속 집단은 감소의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흡연지속 문제에 주목하여 정신건강 문제를 분석하고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개입 시 흡연 문제에 대한 청소년 시기에 따른 정신건강 발달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ntinuation of smoking affects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over time.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Korea Youth Panel Survey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applied mixed regression analyses for longitudinal mental health change (depression & stress), including factors of group (smokers and nonsmokers), time, and group- by-time interaction. This study found that adolescent smo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stress for the average over all times as compared to adolescent nonsmokers (group effect). Over time,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stress (time effect). Especially, adolescent smokers showed higher levels of peer relationship stress compared to adolescent nonsmokers (group effect), and both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stress in peer relations as the time elapses (time effect). There were different patterns of peer relationship stress between two groups over time (group by-time inter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considering continuation of smoking, age, and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교수관점(teaching perspectives) 비교 연구

        박선혜(Park Seon hye),이성희(Lee S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of teaching perspectives among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major students. As research instruments, the study supplemented Teaching Perspective Inventory(TPI) developed by Collins and Pratt to examine the subjects included 631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PSS 23.0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result showed as follows: first, Korean students tend to attach importance to Transmission and Apprenticeship, while they disregard Social Reform. Chinese students displayed a tendency to place Apprenticeship and Nurturing above Transmission. Secondl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field training experience and grade, what Korean students value the most among the focus of perspectives on education differed. Korean students had a tendency to they regarded Transmission highly when they are lower grades but they became to put emphasis on Apprenticeship in return for higher grades. Moreover, when they had no experience on the field, they tend to put Transmission ahead of all, while they became to think much of Apprenticeship after they experienced service teaching or teaching practice. On the other hand, Chinese students regarded Apprenticeship to be the most important regardless of grade and whether they had field training experience or not. In short, this comparative study on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of Korea and China has significance for it tried to look back the realit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raining program of each country and to figure out the best way for i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교수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갖고 있는지 경향을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Collins와 Pratt이 개발한 교수관점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한국과 중국 학생 6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으로 기술통계, t 검정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학생들은 교육내용의 전달, 실제와의 연계를 중시하는 반면사회적인 맥락 고려는 경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국 학생들은 실제와의 연계와 정서적인 지지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교육내용의 전달을 경시하였다. 둘째, 한국학생들은 학년별, 교육현장경험 유무에 따라 중시하는 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였다. 한국의 학생들은 지식에 해당하는 교육내용의 전달을 중요시하다가 학년이 높아 질수록 실제와의 연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육현장경험이 없었을 때에는 교육내용의 전달을 중시하다가 교육봉사 및 실습을 경험한 뒤에는 실제와의 연계를 중시하였다. 반면에 중국 학생들은 학년별, 교육현장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실제와의 연계를 중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교수관점에 대해 비교·분석해보는 가운데 각국의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을 반추해보고 유학생의 교사교육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마이크로파에 의한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물질, ZIF-8의 합성

        박정화,박선혜,정성화,Park, Jung-Hwa,Park, Seon-Hye,Jhung, Sung-Hwa 대한화학회 2009 대한화학회지 Vol.53 No.5

        One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materials (ZIF), ZIF-8, has been synthesized with microwave irradiation and conventional electric heating at $140{\sim}180^{\circ}C}$. ZIFs are porous crystalline materials and are similar to metal organic framework (MOF) materials because both ZIFs and MOFs are composed of both organic and metallic components. ZIFs are very stable and similar to zeolites because ZIFs have tetrahedral networks. ZIF-8, with a decreased crystal size, can be synthesized rapidly with microwave irradiation. The microwave synthesis of ZIF-8 is completed in 4 h at $140{^{\circ}C}$ and the reaction time is decreased by about 5 tim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ctric heating. The ZIF-8 obtained by microwave heating has larger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compared with the ZIF-8 synthesized with conventional electric heating. It can be confirmed that ZIF-8s show type-I adsorption isotherms, explaining the microporosity of the ZIF-8s. Based on FTIR and TGA result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ZIF-8s have similar bonding and thermal characteristics irrespective of heating methods such as microwave and conventional heating. Metal organic frameworks (MOF)과 유사하게 금속과 유기물로 이루어진 골격 물질 중 제올라이 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 (ZIF)를 처음으로 마이크로파(MW)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ZIF 중 잘 알려진 ZIF-8을 전통적인 전기 가열(CE)과 마이크로파 조사로 합성하였으며 ZIF-8은 $140{\sim}180^{\circ}C}$의 범위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다. MW 합성에 의해 ZIF-8을 신속 하게 합성할 수 있었으며 결정 크기는 전통적인 합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140{^{\circ}C}$에서의 합성 결과 전통 적인 합성에 비해 MW에 의해 약 5배의 반응 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4시간 이내에 합성 반응이 종료됨을 알 수 있었다. MW로 얻어진 ZIF-8은 CE에 의한 ZIF-8에 비해 증가된 표면적과 세공부피를 가 졌다. 얻어진 모든 ZIF-8은 질소 흡착 실험 결과 type-I 흡착 등온선을 보였고 미세 세공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FTIR 및 TGA 결과 두 방법으로 얻어진 ZIF-8은 서로 유사한 결합 및 열적 특성을 보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경험에 따른 영유아 식습관지도의 차이

        구혜진(Hye Jin Ku),박선혜(Seon Hye Park) 한국보육학회 2020 한국보육학회지 Vol.20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differenc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eating habits guidance according to the accreditation experiences of th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95 daycare center teachers in Gyeonggi-do.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2004) for the study on the teaching of eating habits through the kindergarten meal program, it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based on the research concept of Yeo and Kwon(2015), it was modified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WIN 25.0 program. To calculate the basic statistics for each study subject, statistical value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was verified with the frequency of eating habits guidance and Chi-verification was verified with the method of eating habits guidanc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and method of eating habits guidance for toddlers and children differed according to the accreditation experiences of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accreditation experience is helpful in guiding eating habits for toddlers and children. In particular,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accreditatio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food and appreciation for food when guiding eating habits for toddlers and children.

      • KCI등재

        Ebb and Flow 시스템을 이용한 호접란 수경재배시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의 영향

        안동춘(Dong Choon An),박선혜(Seon-Hye Park),빈철구(Chul Gu Been),정병룡(Byoung Ry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3

        배양액 농도가 호접란 미니다화성계 품종 P.amabilis와 P. Taisuco Red Jewel의 유묘와 중간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ebb and flow system을 이용하여 4개월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묘의 경우 엽장과 엽폭이 P.amabilis는 배양액의 EC가 0.5~1.0 dSㆍm?¹일 때 가장 길었으나 P. Taisuco Red Jewel은 배양액의 EC가 1.5 dSㆍm?¹로 낮을 때 가장 무거웠고 이러한 경향은 중간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P.amabilis의 경우 배양액의 EC가 1.5 dSㆍm?¹로 높을 때 가장 무거웠으며, 배양액의 EC가 낮아질수록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낮아졌다. 반대로 뿌리의 생체중은 배양액 EC가 0.5 dSㆍm?¹로 낮을 때 가장 무거웠고, 배양액의 EC가 높아질수록 가벼워졌으며, P. Taisuco Red Jewel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중간묘의 경우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P.amabilis는 배양액 EC가 0.5 dSㆍm?¹로 낮을 때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EC가 높아질수록 뿌리의 생체중은 낮아졌다. T/R율과 잎의 엽록소함량은 유묘와 마찬가지로 두 품종 모두 배양액의 EC가 1.5 dSㆍm?¹로 높을 때 가장 높았으며, 배양액의 농도가 낮아질수록 낮아졌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the growth of miniature multiflora P. amabilis and P. Taisuco Red Jewel at two growth stages during four months cultivation in an ebb and flow system. Early stage plants gained the biggest leaf length and width when nutrient solution strength was EC 0.5 or 1.0 dSㆍm?¹ in P. amabilis, and EC 1.5 dSㆍm?¹ in P. Taisuco Red Jewel. Root lengty and weight were the greatest when nutrient solution strength was EC 0.5 dSㆍm?¹ in both cultivars and this trend was also found in middle stage plants. Fresh and dry weights of leaves increased as nutrient solution strength was elevated and were the greatest when nutrient solution strength was EC 1.5 dSㆍm?¹ in P. amabilis. On the contrary elevation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decreased fresh weight of roots, being the greatest when nutrient solution strength was EC 0.5 dSㆍm?¹. This trend was also found in P. Taisuco Red Jewel and P. amabilis at middle growth stage. The T/R ratio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with nutrient solution strength and were the greatest regardless of cultivar and growth stage when nutrient strength was EC 1.5 dSㆍm?¹.

      • 일 종합병원의 간호인력 증원에 따른 입원환자 간호만족도

        송충숙,서미숙,남수민,박선혜,오명순,한경화,박정옥,박미미,현명선,Song, Chung-Sook,Seo, Mi-Suk,Nam, Su-Min,Park, Seon-Hye,Oh, Myoung-Sun,Han, Kyeong-Hwa,Park, Jeong-Ok,Park, Mi-Mi,Hyun, Myung-Sun 한국가정간호학회 2009 가정간호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to an increase in nursing personnel staff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7 hospitalized patients in the general wards of a medical center in Kyungki Do. Data were collected at 2 and 8 months following an increase in nursing personnel in the hospital. Patient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Lee(1986) and revised by Seo(2000)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2$ test, and one way ANOVA. Results: Although the patient satisfaction scores at 8 month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at 2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periods Among the patient satisfaction subscales, the scores of the education subscale at 8 months were marginally higher than at 2 months (t=-1.97, p=.050). Conclusions: Adequate nursing staffing is important in patient satisfaction and patient outcome. The results provide data that suggests a positive direction for nursing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als.

      • KCI등재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에서 분만 잠복기의 예측지표로서 입원시 측정한 양수지수의 유용성

        양순하(Soon Ha Yang),박선혜(Seon Hye Park),오성희(Sung Hee Oh),황종대(Jong Dae Whang),노정래(Cheong Rae R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잔여 양수량의 측정방법으로 양수지수를 사용하여 양수지수와 입원에서 분만까지 잠복기간의 연관관계를 증명하며, 48시간 이내의 짧은 분만 잠복기의 예측에 있어 양수지수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 양수지수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비교함으로써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에서 입원시 양수지수 측정의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조기양막파열로 진단된 24-34주의 단태임신 10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환자에서 입원직후 경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양수지수를 측정하였다. 모든 산모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임신경과와 주산기 예후를 조사하였고 입원에서 분만까지의 시간 간격을 분만 잠복기로 정의하였다. 통계처리에는 Spearman's rho rank correlation, ROC curve analysis, survival analysis 및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입원시 측정한 양수지수와 분만 잠복기간에는 의미있는 정비례적인 연관관계가 있었다. ROC 곡선분석에 의하면 양수지수는 48시간 이내의 짧은 분만 잠복기의 예측에 있어 유용함을 보이고 있었다. 양수지수 5.0 이하인 경우는 5.1 이상의 경우보다 분만잠복기가 짧았으며, 이는 교란인자의 보정 후에도 그 유의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양수지수 5.1 이상인 군과 이하인 군의 임신결과와 주산기 예후를 비교할 때, 5.0 이하인 군에서 태아곤란증에 의한 제왕절개 빈도가 높았으며, 융모양막염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제태주령을 보정한 후의 주산기 사망률 및 감염성 이환을 비롯한 신생아 이환율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에서 입원시 측정한 양수지수는 분만 잠복기와 정비례적인 연관관계가 있으며 48시간 이내의 짧은 분만 잠복기의 예측에 진단적 유용성을 갖고 있다. 5.0 이하의 양수지수는 보다 짧은 분만 잠복기의 독립적 예측인자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sidual amniotic fluid volume, as measured by the amniotic fluid index(AFI), on the prediction of latency period and perinat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PPROM). Methods: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03 singleton pregnancies with PPROM between 24 and 34 weeks' gestation. Amniotic fluid index was determined using transabdominal ultrasound at admission. Latency period was defined as time interval in hours between admission and delivery. All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neonates were reviewed. Spearman's rho rank correlation, receiver-operator characteristic(ROC) curve analysis, survival analysis an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tency period and AFI at admission. ROC curve analysis showed that AFI at admission had a significant predictive value in the prediction of latency period < 48 hours. Surviv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AFI < 5.0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shorter latency perio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indicated that AFI < 5.0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for the occurrence of latency period < 48 hours even after adjustment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e patients with AFI < 5.0 had a higher rate of cesarean section due to fetal distress than those with AFI > 5.0 but the incidence of chorioamnionit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mparing the perinatal mortality and neonatal morbidity including infectious morbidity between the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AFI < 5.0 and those with AFI > 5.0, there was no significance after adjustment of gestational age at birth. Conclusion: AFI at admiss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ency period and predictive value in prediction of latency period in the patients with PPROM. AFI < 5.0 is a independent predictor for the shorter latency perio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

        전홍주(Jun, Hong-Ju),박선혜(Park, Seon-Hye),박신영(Park, Seen-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6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림책 제공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교실에 제공된 그림책 수는 20권 이하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기관유형, 교육경력, 교사학력, 전공분야, 담당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급에 있는 그림책을 교체해 주는 시기에 대해서는 생활주제가 바뀔 때 모두 교체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지역 규모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제공할 때 고려하는 사항은 생활주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담당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책 제공에 대한 교사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실에 그림책을 제공할 때 교사들은 사실그림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그림책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책읽기에 대한 흥미 증진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해 교육을 위한 환경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기준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과 문해 환경으로서의 그림책의 중요성 및 활용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icture book is one of the major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a literacy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chance for children to meet prints in their everyday live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quality environment for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picture book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including institution types, educational level, major,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children’s age currently teaching.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practices of providing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2. How do the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literacy environment and finalized after pilot studie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56 early childhood teachers across Korea.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eaching practices, first, most teachers answered that number of picture books provided in the classroom was less than 20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teaching experience, major, and children’s age. Second,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y changed books when the themes are chang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location. Third, teachers considered themes of the clas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provide picture book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Regarding percep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First, teachers prefer real stories when they provide picture book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regarding the expectation through picture books and most teachers expect to strengthen children’s interests on book read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e need for the common standard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close the gap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In addition, it also indicates that teacher education regard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picture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