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EX Book Search 트랙의 실험 고찰

        박미성,Park, Mi-S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XML 검색 추진체인 INEX의 실험트랙 중에서 Book Search 트랙의 실험을 소개하고 실험방법을 분석함으로 XML기반의 디지털화된 도서 검색에 대한 관심과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INEX 실험트랙, 실험트랙 참여방법, 절차 및 참여기관을 상세히 소개한다. 둘째, INEX의 다양한 실험트랙 중, 디지털화된 도서검색을 위한 Book Search 트랙을 소개하기 위해, 이 트랙의 테스트컬렉션과 실험태스크, 실험결과 제출방법 및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2007년에 시작된 INEX Book Search 트랙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해봄으로 향후 연구과제들을 밝혀본다. 본 연구가 INEX 실험트랙에 대한 관심과 디지털화된 도서검색에 대한 관심을 국내에서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w more interest and to forster research in full-texts retrieval of digitized books area through the review of Book Search Track and the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First, this paper introduces the INEX tracks, the registration of INEX, the task process and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Second, to introduce the Book Search Track of all INEX track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test collection, the tasks, the task and submission guidelin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Book Search Track's. Third, through paper review of the Book Search track that was lunched in 2007 as part of the INEX initiative, this paper presents the futur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expects that the readers are attracted by INEX tracks and full-texts retrieval of digitized books in korea.

      • KCI등재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미성,Park, Mi-S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1

        With the advent of the Web 2.0 technology, its versatility has been experienced through various web sites. Consequently, many library users request to implement this technology into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Here this paper try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technology of the Web 2.0, Library 2.0. and Catalog 2.0(OPAC 2.0) through literature survey. Also, this paper try to figure out the most applicable technology to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web sites and libraries equipped with Web 2.0 technology.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n applicable practical plans in the field of catalog, retrieval and auxiliary services toward the user-friendly library information system. We also indicate several side effects expec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uggested plans. Web 2.0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도서관 이용자들이 이미 웹상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경험하고 있고, 이러한 경험들을 도서관 정보시스템에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eb 2.0개념과 기술 및 Library 2.0, Catalog 2.0(OPAC 2.0) 개념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이해를 높인다. 그리고 Web 2.0 기술이 적용된 대표 사이트들과 국내외 도서관 사이트를 분석하여 Web 2.0 기술 중 활용도가 높은 기술들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향후 도서관의 정보시스템이 이용자 중심의 시스템으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목록, 검색, 부가서비스 영역에서의 활용방안과 이러한 기술들이 적용됨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효율적인 색인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정보검색

        박미성,Park Mi-S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3

        전자도서관과 같은 정보제공원은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과 같은 비정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받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성 처리를 위해 어절생성기, 음절복원기, 형태소분석기, 교정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음성처리 기술로 음성데이터베이스를 텍스트데이터베이스로 변환 한후 텍스트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색인데이터베이스로 텍스트와 음성의 내용기반정보검색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정보검색모델을 제안하였다. Such information services source like digital library has been asked information services of atypical multimedia database like image, voice, VOD/AOD. Examined in this study are suggestions such as word-phrase generator, syllable recoverer, morphological analyzer, corrector for voice processing. Suggested voice processing technique transform voice database into tort database, then extract index database from text database. On top of this, the study suggest a information retrieval model to use in extracted index database, voice full-text information retrieval.

      • SCOPUSKCI등재

        크론병으로 인한 십이지장-대장 누공의 Endoloop과 Hemoclip을 이용한 수술 전 내시경적 결찰 증례보고

        박미성 ( Mi Sung Park1 ),김원진 ( Won Jin Kim ),허지혜 ( Ji Hye Huh ),박수정 ( Soo Jung Park ),홍성필 ( Sung Pil Hong ),김태일 ( Tae Il Kim ),김원호 ( Won Ho Kim ),천재희 ( Jae Hee Cheon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Duodeno-colonic fistula is an enterocolonic fistula that occurs as a complication of Crohn`s disease. Symptoms of duodeno colonic fistula are similar to those of Crohn`s disease, such as weight loss and diarrhea. The treatment of choice is surgery, although medical treatment may also be considered. However, surgery is recommended when all available medical therapies have been ineffective. In this case, we report a secondary duodeno-colonic fistula due to Crohn`s disease that was temporarily managed by an endoscopic procedure with a detached endoloop and hemoclips as a bridging therapy to final surgical repair.

      • KCI등재

        홍콩ㆍ싱가포르 소비자의 포도 선호도 분석을 통한 수출전략

        박미성 ( Park Mi-sung ),한정훈 ( Han Jung-hoon ),임승주 ( Lim Seung-ju ),김경필 ( Kim Kyung-phil ) 한국축산경영학회,농업정책학회(구 한국축산경영학회) 2019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6 No.1

        Since Hong Kong and Singapore do not domestically produce any grapes, the entire grape consumption is depending upon the import making these countries to be easier for Korea to export its grapes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and due to the traffic distance between the nations.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ference factors of Hong Kong and Singaporean consumers for grape, and to provide differentiated export marketing strategies among export markets. In order to do so, we have measured the importance of grape’s attributes by the method of ’Choice-Based Conjoint’, and forecasted the relevant market share of each product through the market sim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ong Kong and Singaporean consumers take the pric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importance level on the factors of peel intake and seed status is relatively high as 53.91% whereas Singaporean consumers take the seed status as important as 34.90%. Considering the grape preference attributes of Hong Kong and Singaporean consumers, we can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that Shine Muscat should be exported targeting the Hong Kong and that Geobong without seed should be exported targeting the Singapore market.

      • KCI등재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문화 경관론적 고찰 연구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의 사회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박미성 ( Misung Park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세계적인 자본주의의 확산과, 매스미디어의 발달, 교통수단의 발달은 장소에 기반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감소시키고, 획일적인 경관을 생산하였으며, 인간의 욕구와 취향을 표준화 시켰다. 이 시대의 흐름은 공간이 장소의 의미를 갖는데 중요한 인간의 다차원적인 경험을 약화시켜 장소를 단지 의식없는 활동의 배경으로 전락시켰다. 이러한 장소의 무장소성은 인간의 심층적인 감정이나 욕구를 축소시켜 무력감, 고립감, 무의미함 등의 인간과 사회가 분리되는 감각을 유발하고, 이는 인간적인 삶에 대한 파괴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장소 정체성을 유지, 회복, 생성에 관하여 탐구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연구의 목적은 무장소성의 사회적 영향을 탐구하고 무장소성 확산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그 해결점으로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사회활동의 현상들에 주목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장소 상실이 일어나는 원인과 과정을 파악하고 장소 정체성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에드워드 렐프의 이론을 고찰하고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사회문화 활동의 특징들과 실천 방식들에 대하여 문헌과 인터넷 자료들을 이용하여 알아본다. 이러한 사회문화 활동이 장소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 정체성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진정성과 비진정성의 특징들을 분류하여 비교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 분석틀에 사회 문화 활동 사례들을 대입하여 장소의 장소 정체성 변화에 대하여 살펴본다. (결과)렐프의 무장소성에 대한 고찰에서 장소의 정체성이 장소에 대한 진정한 태도와 비진정한 태도에서 이루어지는 장소경험에서 생겨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비위계적이고 탈 중심적인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환경에서 생겨나는 사회문화 활동들이 관심과 흥미를 위주로 한 자발성과 자유, 놀이적 성격을 갖는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진정성의 개념과 일맥상통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렐프의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한 분석 매트릭스를 통해 이러한 활동들이 장소 정체성을 회복하는 하나의 해결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결론)본 논문연구를 통해 장소상실이 인간성 상실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인간 활동을 통한 인간다운 삶을 위한 노력들이 결국은 장소의 정체성 강화와 확대에 기여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는 도시 재생을 위한 장소 정체성 강화 계획들이 그 곳에 뿌리를 둔 시민들을 중심으로 자유롭고 자발적인 장소경험의 다양성을 지원하거나 보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xpansion of global capitalism by means of advanced mass media and transportation decreased the importance of communities based on places. It also produced a monotonous landscape and equalized human needs and taste. This trend undermined a multi-dimensional human experience that gave important meanings to places and then degenerated the unconscious background of human activity. This placelessness signifies the ruination of humane life. This is because placelessness triggers the sense that separates the relation of human and society by reducing human desire and emotion, resulting in humans experiencing feelings of helplessness, isolation, and meaninglessn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arch for appropriate solutions by exploring ways in which to maintain, restore, and create plac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ocial effects of placelessness and suggest an alternative to the matter of its spread. In addition, it is to take note of the phenomenon of the sociocultural activities that around a social media network. (Research Method)Firstly, I look into the concept of placelessness as it is presented by Edward Relp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lace identity and research references about the features of sociocultural activities in social media networks. After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 authenticity and non-authenticity, which is a concept of Edward Relph`s theory, I suggest an analysis framework to discover the effects that social-cultural activities have on place identity. Finally, I take a look at the transition of place identity by applying several cases of sociocultural activities. (Result)By studying Relph`s placelessness, I realized that place identity creates the experience of a place where authentic and non-authentic matters occur in respect of the place. I also discovered that sociocultural activities that are built on nonhierarchical and decentralized social media network have the character of interest-oriented spontaneity, freedom, and playing. This character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authenticity. The possibility that these activities can serve as a solution to recovering place identity has been confirmed by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Relph`s theory. (Conclusion)Ultimately, I reached meaningful research result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lacelessness and loss of humanity, and efforts to live a humane life through assertive and active human activity contribute to building place identity. In order to enhance the identity of a place, this suggests that the planning of urban regeneration should encourage native-born citizens to experience the place diversely, freely, and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