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자료로서의 다문화 걸음마기(toddler) 유아용그림책 텍스트의 개발방향에 대한 제안적 연구 : 일반 유아용그림책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5 No.-

        다문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결혼이민자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중요성도 크게 부각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은 유아교육 분야와 한국어교육 분야 모두에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유아교육 분야의 경우, 공식적인 교육기관에 소속된 만4~6세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고, 한국어교육 분야의 경우에는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교육이 주로 논의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2~3세의 걸음마기는 이른바 언어의 폭발기로서 이후의 언어습득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 이후에 나타나는 일반유아와 다문화유아 간의 언어능력의 큰 차이는 바로 이 걸음마기의 언어교육에서부터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임에 분명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방안의 하나로서 그림책 텍스트를 다문화유아의 부족한 문해환경을 보완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자료로 제안하고, 그 구체적인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용그림책이 아직 발간되지 못한 현 상황에서 앞으로의 텍스트 개발은 현실적으로 일반 유아용그림책을 참조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적 특징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점검항목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텍스트 점검항목에 입각하여 일반 유아용그림책을 점검한 후, 앞으로 출간될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용그림책 텍스트의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문화 걸음마기 유아용그림책 텍스트가 갖추어야 할 요소로 ①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참고나 부속 텍스트의 제시, ②일상생활, 색깔, 사물의 기능, 자기표현 등의 주제영역에 대한 독자적인 텍스트 구성, ③유의(有意) 및 기능(機能)의 의미관계에 기초한 텍스트 구성, ④문법적 정확성과 화용적 수용성을 갖춘 문장 구성, ⑤괄진법(括進法)과 의인법의 사용, ⑥단순나열 및 추가누적의 텍스트 구성, ⑦대표성 있는 어휘 선택과 어휘 간의 대등성 및 내재적 질서의 일관성을 준수한 텍스트 구성을 제안하였다. Ages between 2 and 3 are called the period of language explosion in language acquisition theory. Language inputs in this period play a highly great role in intensifying toddlers’ language acquirement. However, a multi-cultural infant who has a foreign mother cannot be offered enough Korean language inputs as to explode his own Korean. This study regards picture books as effective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for multi-cultural toddlers which can compensate foreign mother’s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ability. However, in the previous studies in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and in multi-cultural infants education, desirable textu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have not been suggested, yet. Also, a picture book for multi-cultural toddlers has not been published, either.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ppropriate words, grammar, rhetoric expressions and plots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to dedicate the development of its text. For this study in order to do it, analysis on picture books for general toddlers are made since the development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would be based on picture books for general toddlers. Analysis is given especially in perspective of multi-infants contexts considering their cognitive-language traits and their unique literacy environment. In conclusion, sub-text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foreign mothers, toddlers’ daily life-related vocabulary, color-related vocabulary, self-expression related vocabulary, text construction based on relation between stuffs and its functions, sentences satisfying both syntactic grammaticality and pragmatical acceptability, enumeration of representative words with its own reasonable order, and inclusion rhetoric are suggested as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guideline in the production of picture books for multi-cultural toddlers in such a situation as a picture book for multi-cultural toddlers has not been published, yet.

      • KCI등재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나리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rogram for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on teaching effica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Methods: In the study, 12 day care teachers in 4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12 teachers in 5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eacher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group education, such as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area, curriculum modifica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cooperative learning, direct teaching,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behavior support, family support. Individual teacher education provided counseling on the reality of chil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s the needs of teachers for integrated child care for handicapped children. 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 (TEIP) was used as a pre․post test to measure teacher's efficacy change.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two independent sample t tests were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test of teacher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ost change of teacher 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 support program provided immediate feedback in integrated child dayc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child care teachers improved their integrated handicapped children care expertise, provided responsive teacher support program to the actual needs of the site, teacher support program reflected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integration, and emphasize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 and child daycare center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ctual data of field where lack of support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is lacking. 본 연구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 4개 어린이집 12명의 어린이집 교사가 실험 집단에 선정되었고, 5개 어린이집 12명의 교사가 통제 집단에 선정되었다. 교사 지원은 교사 교육과 현장 관찰 및 자문, 온라인 자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교사 교육은 집단 교육을 통해 발달 영역의 이해, 교육과정 수정, 활동중심삽입교수, 협동 학습, 직접 교수, 장애 이해 교육, 행동 지원, 가족 지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개별 교육을 통해 각 교사들의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유아 보육의 실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자문을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어린이집 당 10회씩 현장 관찰 및 자문을 실시하였고, 이메일과 핸드폰 자문을 통해 교사들의 수업을 지원 하였다. 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장애 통합에 대한 일반 교사의 교사 효능감 척도(Teachers’ Efficacy in Inclusive Practices:TEIP)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 간 차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결과 두 집단 간 교사 효능감과 하위 영역인 통합교육 효능감, 협력 효능감, 행동관리 효능감의 사전․사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장애 유아 통합보육 현장에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보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실제적 요구에 반응적이고, 장애 유아 통합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하고, 참여자들 간의 대등한 협력적 관계를 강조한 교사 지원을 제공한 점이 연구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유아 통합보육 지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장의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어 평서문 종결어미의 서법의미에 대하여 :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비교대조를 중심으로 Comparison Formal Forms with Informal Forms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2000 이화어문논집 Vol.18 No.-

        The ultimate goal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s to search for the meanings of informal sentence ending forms-'Haeche', which are'-e','-ji','-ne'. Those are chosen respectively according to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about the proposition(moo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estabilish each formal counterpart of informal '-e', '-ji’, '-ne', which is 'Haeche'. This approach is on the basis that hearer elevation is further divided into formal speech level and informal speech level in Korean. The thir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rmal sentence ending forms(Haerache) with its counterpart-informal ones(Haeche) in each pairs. It is 【e : da = ji : danda = ne : guna】 Which this study set up as pairs.

      • KCI등재

        영산 설교 제목의 언어적 특징과 생산 전략

        박나리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60

        Studies of Youngsan’s sermons have focused on their content and subject matter, while the structur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ermon have gone relatively unnoticed.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titles in texts and analyze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Youngsan’s sermon titles and his strategies for producing them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As a result, it is examined that Youngsan’s sermon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indicative type, appealing type, expressive type, and sympathizing type. In the case of indicative type which informs the content of the sermon through the title, a title shows antonym-based nouns/noun phrases that explicitly state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ermon, a title using non-preaching vocabulary and expressions, a title using the metaphor of significance in the species, and a title using the nominal endings such as ‘-eum’ and ‘-gi’ are preferred. In the case of the appealing type which requests earnestly to the congregation to accept the sermon, it was classified into imperative sentence titles that took the Bible passage, titles that used an “I”-centered interrogative sentence, and titles that shows Youngsan’s own claim as a suggestive sent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xpressive type which reveals the preach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 tendency to title Youngsan’s own remarks as a straightforward narrative was very prominent. In the case of the sympathizing type that yields the empathy of the preacher and the congregation, the title used ‘-eul ttae’ to indicate an experience commonly had by churchgoers. The characteristics across the types and sub-types allow us to extract Youngsan’s production strategies for his sermons’ titles, which is the strategy of arousing the curiosity of the congregation, strategy for specifying the purpose of the sermon, strategy for novelty through atypical titles, strategy that actively utilizes the attributes of sentence types, strategy of contrast to facilitate the memory of the congregation, and strategy of diversity that with flexibility adjusts the amount that each title reveals about the content of each sermon. 그간 영산의 설교는 주로 설교 내용과 주제적 관점에서 연구되었고, 설교의구조와 그 언어적 특징은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영산 설교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의 한 시도로서 텍스트에서 ‘제목’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하고, 영산의 설교 제목이 보여주는 언어적 특성과 영산의 제목 생산 전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산의 설교 제목이 크게 지시 유형, 호소 유형, 표현 유형, 교감 유형으로 나누어지고, 명사나 명사구 제목을 통해 설교 내용을 알려주는 지시 유형의 경우, 반의(反意) 관계의 어휘로 구성된 제목, 설교의 목적과 주제를 명시적으로 밝힌 제목, 비(非)설교적인 어휘와 표현을 사용한 제목, 종(種)에서 유(類)의 은유 유형을 사용한 제목, 명사형 어미 ‘-음’과 ‘-기’를 사용한 제목이 선호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회중에게 설교의 내용을 수용하도록 하는 호소 유형의 경우, 성경 구절을 그대로 가져온 명령문 제목, ‘나’ 중심의 의문문제목, 영산 자신의 주장을 청유문으로 보인 제목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설교자의 심리적 태도를 회중에게 피력하는 표현 유형의 경우, 설교자요 신앙인으로서 영산 자신이 가진 확신을, 추측이나 짐작이 아닌 현재 사실 직설(直說)의 서술문으로 제목화 하는 경향성이 매우 두드러졌고, 설교자와 회중의 공감을 조성하는 교감 유형에서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는 객관적 상황을 나타내는 표현인 ‘-을 때’를 사용한 제목이 선호되었다. 이들 유형별 언어현상 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바탕으로 영산의설교 제목 생산 전략으로서 회중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전략, 비설교적인 내용이나 형식의 제목을 통한 낯설게 하기 전략, 문장종류의 속성을 적극 활용한 전략, 회중의 기억을 용이하도록 하는 대조의 전략, 설교 주제에 따라 제목에서의 설교 내용 명시의 수준을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제목의 원천, 회중 개개인의 영적 각성 요구 등의 변인을 고려하여 문장의 종류를 유연하게 선택하는 다양성의 전략을 추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누리과정기반 수학활동의 교수적 수정 중재가 통합학급 장애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나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ing group design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dification of the Nuri curriculum-based math activities on the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daycare classroom. Eleven 5-year-ol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even teachers from four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mathematical exploration in the area of Natural Exploration was applied to 40 mathematical activities and inserted into the daycare center routine. The structure of each intervention comprised 20-30 minutes of math-related activities and lasted 14 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pre-tests and post-tests changes in the math ability and sub-domain consisting of algebra, comput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and these differences were maintained after two week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been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modified Nuri curriculum-based math activities. When curriculum modifications were provid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ngaged in more academic-related math knowledg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se findings are provided pertaining to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modifica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daycare settings. 본 연구는 누리과정기반 수학활동의 교수적 수정 중재가 통합학급 장애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4개 어린이집에 통합된 만 5세 장애유아 11명과 교사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의 수학적 탐구하기를 기반으로 40개 수학활동에 교수적 수정 절차를 적용하고 각 회기 당 20-30분의 수학활동을 어린이집 일과에 삽입해 14주 간 중재를 실시하고, 검사조정을 거친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로 장애유아의 수학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단일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수학능력의 사전-사후-유지검사 간 차에 대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유아의 수학능력과 대수, 연산, 기하, 측정으로 구성된 하위영역의 사전․사후 변화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2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누리과정기반 수학활동의 교수적 수정 중재를 통해 장애유아 수학능력의 향상을 확인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누리과정이라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수적 수정 중재가 통합학급 장애유아의 기초 학업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유라시아 한국어 학습자의 이문화 의사소통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함양을 위한 문화교육범주 연구

        박나리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본고는 유라시아 한국어 학습자가 결혼, 유학 등의 이유로 급증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그간 유라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이 언어교육에만 치중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의사소통의 근저에는 ‘문화’가 있기에 이 문화에 대한 상호이해가 있을 때에 비로소 진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환기하고자 하였다. 유라시아의 경우,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슬라브 문화와 CIS국가를 중심으로 한 이슬람 문화로 크게 나누어질 수 있는데, 이들 문화는 모두 유교와 불교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 전통문화와의 접점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다른 어떤 문화권의 학습자 집단보다도 이문화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이 필요한 집단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라시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이문화 의사소통능력 함양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들을 위한 문화교육범주를 상정, 그 실제적인 문화교육의 예를 보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stemmed from reflection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urasian learners has been focusing solely language education itself. However, Eurasian culture is based on Slavic culture by Russia and Islam culture by CIS countries which are far from Korean traditional culture. Hence, inter-cultural communitive ability is absolutely needed to Eurasian learners more than any other learner groups in communications with Korean people. Thus, this study intend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urasian learners and to suggest education items for them for the purpos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enhancement. In peculiar, the specific exampl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bility education based on suggested education items are to be presen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