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본 사림파와 훈구파의 변별성

        박기완,곽지은,김용태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3 No.-

        조선 전기에 대한 여러 문학사 서술에서 사림파와 훈구파의 구도는 이 시기를 해명하는 핵심적인 구도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국사학계에서는 그동안 이러한 구도가 얼마나 실제적인가에 대해 치열한 논쟁이 이루어지기도 하였고, 이 논쟁은 문학 연구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그렇지만 이 구도를 대체할 새로운 틀이 제시된 것도 아니다. 이렇게 논쟁이 답보 상태에 빠진 것은 조선 전기 사림과 훈구에 포함되는 인물이 매우 많고 관련 자료가 광범하다는 문제와 함께, 이들은 모두 유학이라는 거대한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어 그 공통성과 변별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적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 문제의 진전에 일조하고자 한다. 본고는 기존 문학사 서술에 기반하여 훈구-사림의 군집을 대표한다고 판단되는 인물 35명을 설정하고, 한국문집총간에 수록된 XML 형태의 문집 데이터를 수집 및 재가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여러 인물의 문집에서 출현한 고유명사의 활용 양상을 TF(Term Frequency) 데이터, 즉 언급 빈도수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도서와 인명의 출현 빈도를 기반으로 DTM(Document-Term Matrix)을 구축하였고, Scatter 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존 훈구와 사림의 구도에 여러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군집 내의 유사성과 군집 간 차이가 존재함을 데이터로 확인하였다. 또한, 각 인물의 근체시를 별도로 추출하여 한시 코퍼스를 구축하고, 그 안에서 다양한 시어를 추출하여 키워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훈구와 사림으로 설정된 두 집단에서 각각 특징적으로 등장하는 시어들은 각 집단에 통설로 언급되고 있던 특징들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The Role of Elaboration Moderating the Effects of Temporal Construal on Evaluation

        박기완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Seoul Journal of Business Vol.16 No.1

        The Construal Level Theory posits that future events are differentially construed, and thus evaluated, as a function of whether they are to be experienced in the near or distant future. We explore the question of when temporal distance influences evaluation, testing three alternative hypothes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emporal distance only influences evaluation under thoughtful conditions. Although temporal construal effects emerge either for individuals high in need for cognition (study 1) or when individuals carefully think (study 2), they do not emerge for individuals low in need for cognition, nor when individuals do not engage in effortful thinking.

      • KCI등재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Applying the Construal-Level Perspective to Brand Extensions

        박기완 한국마케팅학회 2015 ASIA MARKETING JOURNAL Vol.17 No.1

        In this research, we examine whether and why temporal distance influences evaluations of two different types of brand extensions: concept-based extensions, defined as extensions primarily based on the importance or relevance of brand concepts to extension products; and similarity-based extensions, defined as extensions primarily based on the amount of feature similarity at the product-category level. In Study 1, we test the hypothesis that concept-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when they are framed to launch in the distant rather than in the near future, whereas similarity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when they are framed to launch in the near rather than in the distant future. In Study 2, we confirm that this time-dependent differential evaluation is driven by the difference in construal level between the bases of the two types of extensions – i.e., brand-concept consistency and product-category feature similarity. As such, we find that concept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under the abstract than concrete mindset, whereas similarity-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under the concrete than abstract mindset. In Study 3, we extend to the case for a broad brand (i.e., brands that market products across multiple categories), finding that making accessible a specific product category of a broad parent brand influences evaluations of near-future, but not distant-future, brand extensions. Combined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l distance influences brand extension evaluat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importance placed on brand concepts and feature similarity. That is, consumers rely on different bases to evaluate brand extensions, depending on their perception of when the extensions take place and on under what mindset they are placed. This research make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brand extension research by identifying one important determinant to brand extension evaluation and also uncovering its underlying dynamics. It also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the construal level theory by putting forth a novel interpretation of two bases of perceived fit in terms of construal level. Marketers who are about to launch and advertise brand extensions may benefit by considering temporal-distance information in determining what content to deliver about extensions in their communication efforts. Conceptual relation of a parent brand to extensions needs to be emphasized in the distant future, whereas feature similarity should be highligh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우리말과 에스페란토의 대조 연구(Ⅰ) : 우리말의 토씨를 중심으로

        박기완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87 겨레어문학 Vol.11·12 No.-

        에스페란토는 인공어이긴 하나, 인도-구라파 말의 여러 말들에서 개량된 것으로, 그 바탕은 라틴말이라 할 수 있다. 통어구조에 있어, 우리말은 〈임-부-풀〉, 에스페란토는 〈임-풀-부〉의 차례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말에는 토씨가 있는 반면 에스페란토에는 전치사가 있는 점이, 두 말의 큰 차이점이다. 우리말에서는 자리를 '임자ㆍ부림ㆍ견줌 위치ㆍ방편ㆍ부름'의 여섯 가지로 보고 있으나, 에스페란토에서는 임자자리와 부림자리의 두 가지로만 보고 있다. 에스페란토의 부림자리 표지 형태소 {-n}은 우리말의 부림자리 토씨와 여러 면에서 비슷한 점이 많아 우리의 관심을 끈다. 이 {-n}은 부림자리를 나타내 주는 기능밖에도 '이동의 방향'이나 '시간(동안)' 또는 '거리'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어, 우리말의 부림자리 토씨와 아주 흡사하다. 우리말에서는 자리토씨, 도움토씨, 이음토씨, 특수토씨 등 여러 토씨가 문법적ㆍ의미적으로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에스페란토에서는 주로 전치사와 이음씨, 어찌씨 등이 우리말의 토씨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KCI등재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 패턴에 따른 FE 스퀼 및 진동해석

        박기완,남재현,강재영,김영식,이재복,류봉조 한국기계기술학회 2017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19 No.6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split and the mode-coupling in the disc doublet mode, which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surface of the disc, is utilized by using of 3 types(Chaos, Vent-hole, Normal). As the frequency split between the doublet mode disc that is expressed in the model through the interpretation is larger, and analogy through interpretation mode-coupling instability also lower. Vent-hole, which has a relatively large frequency split of disc doublet mode in 3 types(Chaos, Vent-hole,Normal) model, showed a large value of critical coefficient of friction in which mode-coupling instability is expres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by analysis that the Vent-hole had a relatively large frequency split than the other models by analyzing the change in contact stiffnes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rger the frequency split of the disc doublet mode, the lower the instability due to the mode-coupling.

      • KCI등재
      • 광원을 위한 AC구동 유전체장벽 미세공음극 구조와 상한 pd 제한조건

        박기완,이태일,제갈종필,백홍구 한국공작기계학회 2005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

        The Dielectric Barrier micro-hollow cathode structure and it's upper pD limitation are investigated for determining of optimum hollow cathode discharge condition. In experiment, discharge is sustained by AC diriving and investigated gas is pure Xe. From Experiment, Optimum pD range is lower than 0.72 torr.cm at pure Xe and Cu cath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