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종양에서 병기분류와 예후점수제의 신뢰도의 비교

        민보은,김정혜,박승희,하현미,김양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6

        1992년 FIGO에서 제안한 위험인자 HCG 10만이상, 선행임신과의 기간 6개월이상을 첨가한 새로운 병기분류는 그전의 해부학적 병기분류보다 질병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더욱 발전된 분류법으로 보이며 WHO 예후점수제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병기분류 보다도 subdivision a,b,c로 분류된 위험인자의 존재유무가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부인과적 종양의 분류법과는 다르나 이 병기분류는 여러나라의 치료기관에서 통일된 방법으 로 사용될수 있을거라고 사료된다. 한가지 문제점은 자궁적출술을 한 경우 병기설정의 어려 움이 있다. 반면에 WHO 예후점수제는 항상 가능하다. 이것은 너무 많은 인자들이 포함된다 고 비판하는 경우도 있으나 어떤면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한 과정에서 실수가 발 생하여도 보완될 수도 있는 안전한 방법이기도 하다. 한편 2가지 위험인자중 HCG치 10^5이 상이 위험인자로 여겨져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본연구에서도 HCG치 10^4이상을 위험인자로하여 치료원칙에 따라 치료할 경우 적절한 치료의 빈도가 80%를 넘으므로 좀더 높은 민감도를 보여줌을 나타낸다. 다른 기관에서도 이 방법을 적용할 시 비슷한 결과가 나 오는지 연구되어지길 바라며 더욱 좋은 치료원칙을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한다. A restrospective study of 129 patients with GTT admitted to Il sin Christian hospital between January 1983 and December. 1992 was done to assess and compare the reliability of both the 1983 WHO prognostic score (Prog. score) and 1992 FIGO staging in determining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therefore the outcome and method of treatment needed. The overall remission rate was 93.8%. The addition of 2 risk factors, HCG titer 10^5 and above and interval of 6 months or more to separate each stage into a, b, c subgroups(none, one or both risk factors) greatly improved the correlation with the prognostic score(r=0.595) compared to the previously purely anatomically staging (r=0.460). 60/66(91%) of stage Ia and 17/21(81%) of stage IIIa pts were low risk but 11/21(52%) of stage Ib and 5/6 (83%) of stage IIIb were high risk, all 4 pts in c subgroup were high risk. When cases were considered form the prognostic score aspect, 60/82(73%) of low risk were stage Ia but 17/82(21%) were stage IIIa, 11/29 pts of high risk pts were stage III or IV and 12 pts were stage I. Treatmen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gnostic score and apart form a few pts, low risk pts were given single therapy and med/high risk, 42 % of med, risk pts and 24% of Ia and 43% of IIIa pts had to be changed to multiple therapy. The outcome of the treatment given was then evaluated, as if the guide lines of single therpy for low risk, and multiple therpy for med/high risk cases had been strictly followed for the initial treatment on comparing the two modified score, there would had been moderate increase 81.9% appropriate treatment compared 76.4%. In conclusion risk factors seem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antomical stage in determining severity of disease. In addition an HCG titer of 10^4 or more may be a better indicator to separate the stage than the titer of 10^5.

      • KCI등재

        ABO 혈액형과 융모성질환

        민보은,박은주,홍희선,이은희,박영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본 연구는 G.T.D. 환자의 혈액형 분포에 현저한 차이가 없는 다른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G.T.T. 환자의 다른 보고와는 달리 O형으로 shift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남편 혈액형 분포는 정상과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AB형으로 약간 shift를 보여주었다. 환자와 남편의 혈액형이 같은 like mating은 uncomplicated mole로 되는 빈도가 높고 포상기태임신후에 G.T.T.가 되는 빈도는 낮음을 보여준다. Unlike mating 중에서 가장 중요한 차이는 O X A와 A X O mating중에서 molar G.T.T.의 비도가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mating의 환자에서 사망율은 높지않다. AB형인 포상기태임신 환자 중에서 G.T.T.의 빈도는 낮으나 모든 G.T.T.환자 중에서 사망율은 가장 높았다. 포상기태임신 환자에서 만약 남편이 O형이면 G.T.T.빈도가 약간 더 높고, AB형이면 더 낮은 빈도를 보였다. O형의 남자와 결혼한 환자 중에서 사망율 또한 높았고, 이것은 G.T.T.의 사망율이, fully compatible mating일 때 더 높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Studi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have reported differences in the ABO blood group distribution among patients with trophoblastic disease and husbands of these patients and some studies have shown definite influences of the ABO blood group on the outcome. The present study is a report on blood group and mating pattern distribution among 641 patients with hydatidiform mole and husbands of 493 of these patients. The influence of blood group and mating pattern on the prognosis of hydatidiform mole outcome was known in 474 of these patients including 385 in whom the husbands blood group was known . The same study was done on 58 patients with non molar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and 25 husbands of these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patients with G.T.D.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blood groups but in patients with G.T.T. there was a shift towards group O. 2. The distribution of blood groups among the husbands showed some shift towards group AB. 3. There was a decreased incidence of G.T.T. following hydatidiform mole in patients mated with men of the same blood group. 4. Among the unlike matings there was an increased incidence of molar G.T.T. among O x A and A x O matings. However the mortality rate in these patients was not raised.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G.T.T. between fully compatible and possible incompatible matings but there was a higher mortality rate when the mating was fully incompatible.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 종양에서 Methotrexate 단일 항암화학요법시 약제 내성의 발생에 대한 분석

        민보은,김정혜,김경서,안현숙,박치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1983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에서 단일 항암화학요법인 MTX 및 folinic acid로 치료했던 임신성 융모성 종양환자 87명중 80명을 연구대상으로 그 병력지를 분석하여 약제내성발생을 에측하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1. 60명중 WHO의 예후점수제에 따라 분류하면 저위험군은 72명이고 고위험군은 1명이었다. 약제내성은 저위험군 환자 72명중 22명(30.6%)에서 발생하였고 중등도 및 고위험군은 환자 8명 모두에서(100%) 발생하였다. 2. 약제 내성의 발생과 관련하여 예측하는 인자들로서 분석되어진 인자군은 A;WHO의 위험인자점수, B;예후점수제에 사용된 각 예후인자들, C;선행하는 포상기태 임신과 관련된 3개의 인자들, D;과거의 산과력과 관련된 인자들 및 그외이다. 3. 약제 내성의 발생을 예측하는 의미있는 인자들로서는 위험 인자점수가 5이상, 치료전 HCG 치가 10^4 mIU/ml초과, 종양크기가 3 cm이상인 경우였다. 4. 중등도 및 고위험군 환자는 비포상기태 임신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약제 내성이 발생하여 100% 내성 발생율을 보였고 저위험군에서는 위 2개의 예측인자가 각각 혹은 병합하여 존재할 경우 10명중 8명(80%)에서 내성이 발생하여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5. MTX 및 folinic acid 단일 항암화학요법은 중등도 위험군 이상에서는 적절치 못한 것 같으며 저위험군에서 위 세개의 예측인자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거나 혹은 두개 인자 모두 존재할 경우 약제 내성발생의 확실한 가능성이 논의 되어져야 할 것이며 처음부터 복합항암 화학요법치료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TX with Leucovorin rescue as a single drug treatment for G.T.T. causes complications, is usually adequate but drug resistance occasionally occurs. This is a report of a study done in 80 consecutive patients (pts) treated with MTX between 1983 and 1991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Pusan to see if predictiv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rug resistance could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1983 WHO prognostic score 72 pts were low risk, 7 medium and high risk. Durg resistance developed in 22/72 pts (30.6%) low risk pts and in all of the medium and high risk pts. Factors analysed as possible predictive factors for developing drug resistance were total prognostic score, the seperate factors of the prognostic score, factors related to the preceeding mole, size of uterus at start of chemotherapy and factors relatd to previous fertility.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resistance were WHO prognostic score 5 and over, 8/8 pts(100%), HCG titer$gt;10^4 mIU/ml, 12/15 pts(85.7%), tumor size 3 cm and over, 8/8 pts(100%), and less commonly a preceeding non molar pregnancy 2/3 pts. Among the 8 medium & high risk pts the preceeding preg. was non molar in 2 pts and of the remaining 6 pts all had at least 1 of the 2 predictive risk factors and 5/6 had both of these factors. These results emphasise the reliability of the WHO prognostic score in selecting pts who need multiple therapy and also that MTX alone is usually inadequate in these pts. Among the low risk pts if either or both of these factors were present, 80% of pts (8/10) developed drug resistance compared to 22.6% (14/62) if neither factor was present.

      • KCI등재

        자궁내 융모상피암의 보존적 수술요법 3 례

        민보은,김정혜,이남희,전미경,송진희,문정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8

        In treating young women for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 G.T.T. ) , all efforts are made to preserve fertility and hysterectomy is avoided unless absolutely essential. However , in some cases the operation may be lifesaving. During the last 20 years among the 310 cases of G.T.T. treated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 there were 3 cases in which hysterectomy was avoided by the excision of a localized uterine lesion thus preserving fertilit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