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지역화 교과서에 선정된 토착지식의 재해석 - 제주 지역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현식 ( Moon Hyun-sik ),김민호 ( Kim Min 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국제연합이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성취해야할 의제로 제시했던 ‘SDGs 17’중 ‘지속가능한 생활양식’이 한 사회의 토착지식 안에 담겨있음을 전제로, 제주 지역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에 선정된 토착지식을 지속가능한 생활양식 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제주 지역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는 제주 지역 토착지식 중 어떤 것들을 선정하였는지를 살펴보았고, 둘째, 선정된 제주 지역 토착지식은 어떤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지속가능한 생활양식의 가치를 교육하려면 선정된 제주 지역 토착지식을 어떻게 기술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제주 지역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는 토착지식 관련 제주의 신화, 속담, 민요, 의식주 생활, 노동, 토착민 등을 선정, 기술하였으나, 대체로 사회과가 추구하는 역량 신장, 사회과 교육과정의 보충, 제주의 사회현상 이해, 제주인의 자긍심 고취 등을 강조할 뿐 지속가능한 생활양식의 가치는 추구하지 않았다. 끝으로 지속가능한 생활양식의 가치를 토착지식을 통해 교육하려면 제주 지역 지역화 교과서에 선정된 토착지식을 어떻게 재기술할 것인지를 예시하였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reinterpret indigenous knowledge selected in the third grade social studies an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in Jeju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lifestyle education, on the condition that sustainable lifestyle of the 'SDGs 17' that the United Nations presented as a global agenda by 2030. To this end, first, the textbooks on social studies at Jeju Elementary School looked at which of Jeju's indigenous knowledge was selected, secondly, analyzed what value the selected Jeju's indigenous knowledge reveals, and thirdly, proposed how to describe the selected Jeju's indigenous knowledge in order to educate the value of a sustainable one's sustainable lifestyle.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third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 of Jeju Elementary School selected and described Jeju's myths, proverbs, folk songs, ritual life, labor, indigenous people, etc., but did not pursue the value of a sustainable lifestyle, only to emphasize the enhancement of capabilities pursued by the department, supplementing social and educational processes, understanding Jeju's social status quo, and raising Jeju's self-esteem. Finally, to educate the values of sustainable lifestyles through indigenous knowledge, we exemplified how to describe the indigenous knowledge selected in Jeju localization textbook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실세계와 가상세계의 GPS 동기화

        문현식(Hyun Sick Moon),이홍규(Hong Gyu Lee),이명원(Myeong 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B

        최근 3D GIS 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실세계를 3D 가상공간으로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3D GIS 지구공간과 3D 가상세계의 동기화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3D GIS 구현에 있어서 기존의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영상이미지로 구현하는 방식과는 달리 현실세계를 3D 가상세계로 구성하고 실세계의 위치 정보를 가상세계가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 정보에서 실제 지구공간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한 현실 세계의 가시화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지구 공간을 구성하는 무한 가상세계 구현 알고리즘과 GPS 동기화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 KCI등재

        창원시 정병산 용추계곡의 관속식물상

        이기숙,이재순,문현식,Lee, Ki-Suk,Lee, Jae-Soon,Moon, Hyun-Shik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by comprehensive analyzing the flora distributed in Yongchu valley, Changwon-si. The flora of Yongchu valley were summarized as 319 taxa including 93 families, 212 genera, 285 species, 3 subspecies, 6 forms and 25 varieties.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such as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Impatiens koreana, Lespedeza maritima, Thalictrum acte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I. koreana, Prunus yedoensis and Magnolia kobu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including I. koreana, Jeffersonia dubia., M. kobus and P. yedoensis which are class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and Cerastium glomeratum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among these plants was 1 taxa of A.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including Corydalis turtschaninovii of northern plant, I. koreana of endemic plant, and Meliosma myriantha of southern plant.

      • KCI등재

        경상남도 거제시 초등학교 학교정원의 식재 현황

        강미영 ( Kang Mee-young ),문현식 ( Moon Hyun-shik ),주정운 ( Joo Jeong-woon ),김소진 ( Kim So-jin ),허무룡 ( Huh Moo-ryong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경남 거제시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정원 내 식재 현황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학교정원을 환경교육의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향후 학교정원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명상숲 조성 학교와 일반 학교로 구분하여 학교정원 현황, 정원 내 식재 현황, 교목과 교화의 식재 현황, 정원 내 식물과 교과서 식물의 일치율, 정원의 생태적 건강성 등을 분석하였다. 학교정원 면적, 녹지비율, 1인당 녹지면적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명상숲 조성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비율과 1인당 녹지면적도 명상숲 조성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에 식재된 식물상은 명상숲 조성 학교가 66∼70종으로 일반 학교의 32∼48종보다 학교정원 내 식물 종이 많았으며, 학교정원 내 식재된 식물의 개체 수도 명상숲 조성학교가 평군 597개체로 일반 학교의 331개체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로 울타리용과 경관용으로 식재되는 영산홍과 남천, 산철쭉, 덩굴장미 등은 개체 수가 많았으나 은행나무, 왕벚나무 등 교목성 수종의 개체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 내에 분포하는 식물과 교과서에 언급되는 식물의 일치율은 명상숲 조성학교 약 40%, 일반 학교 36%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초등학교라는 특성을 고려하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라도 학교정원 내 수종과 교과서 언급식물의 일치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조사 대상 학교의 교목은 소나무와 느티나무, 향나무, 은행나무, 팽나무 등이었으며, 교화는 동백꽃과 개나리, 목련 등이 주로 지정되어 있었다. 녹지면적은 명상 숲 조성 학교가 일반 학교보다 조금 넓었으나,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명상 숲 조성 학교와 일반 학교 간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학교정원 내 식재된 식물 종의 종 다양도는 명상 숲 조성 여부에 따라 가장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녹지 연계성은 교외 환경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는데, 학교 주변에 녹지면적이 부족하면 학교정원이 도시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확대 조성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적 건강지수는 명상 숲조성 학교(3.17점)가 일반 학교(2.56점)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school gardens in order to utilize them as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lanting statu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eoje-city, Gyeongnam. The study classified distinctly the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normal schools while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school gardens, planting statuses of school gardens, planting statuses of school trees and school flowers, the concordance of plants in school gardens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he ecological health of school garden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chools, school garden areas, green area ratios, and green areas per person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re higher than in normal schools. Plants planted in school gardens consisted of 66-70 species in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there were more plant species in these school gardens than the 32-48 species in normal schools. The amount of plantings of species such as Rhododendron indicum, R. yedoense for. poukhanense and Nandina domestica, which are planted for fences and landscapes, are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s planted in school gardens and plants mention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bout 40% for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36% for normal schools. School trees were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Juniperus chinensis var. chinensis, Ginkgo biloba and Celtis sinensis, and school flowers were Camellia japonica, Forsythia koreana and Magnolia kobus. The green areas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was found to be a little wider than that of normal schools, but the green rate and green volume fact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and those without. Species diversity is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tation forest. Connectivity to green belts is absolutely influenced by the suburban environment. If there are insufficient green areas around the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hool gardens so that they can function as urban forests. The ecological health index of schools with meditation forests is also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