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 연비관리 및 정보공유를 위한 안드로이드 콘텐츠의 구현

        문진선 ( Jin-sun Moon ),이한나 ( Han-nah Lee ),박영호 ( Young-ho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최근 경기침체 속에서 소형차의 판매가 강세를 보이고 있고 연비의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미니카의 연비를 관리하여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며, 제안된 콘텐츠의 기획과 구현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미니카 앱(Minicar Application)은 사람들에게 자동차 연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기획 및 구현의 범위를 소형차로 한정하여 특정 차에 대한 관리 전문성을 두었고, 자신의 연비를 관리하는 것뿐 만 아니라 미니카를 운행하는 다른 사용자와 정량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형차를 소유한 사람들에게 차에 대한 애착심을 주고, 운전습관을 개선해주는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 산출에 미치는 효과

        이상훈,문진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4

        The Effect of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on Spontaneous Utterance and Echolalia Production with Autistic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자폐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 산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아동 지향 모델, 요구 모델, 시간지연, 우발 교수의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6가지 중재 상황별로 4회기씩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의 합으로 정의된 전체 발화량의 양적 증가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발적 발화는 증가하고 반향어는 감소하였다. 둘째, 독립 발화와 반응 발화의 합으로 정의된 자발적 발화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발화의 자율성을 지닌 독립 발화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반향어의 질적인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유형별로는 즉각 반향어보다 지연 반향어의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기능별로는 의사소통 목적을 가지는 상호작용 기능의 반향어 산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발적 발화가 적고 반향어 산출이 많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를 양적, 질적으로 향상시키며, 반향어를 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언어중재방법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증상을 동반한 제 2형 부주상골에서 교량형 봉합술을 이용한 변형 Kidner 술식의 단기 치료 결과

        김응수,문진선,Kim, Eungsoo,Moon, Jins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a modified Kidner procedure using a suture bridge technique in symptomatic type II accessory navicula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4, a total of 35 cases with symptomatic type II accessory navicular were treated with a modified Kidner procedure using the suture bridge technique. The patients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3 months after surgery, and at the latest follow-up (at least six months postoperatively) clinically via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midfoot scor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he self-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Results: The mean AOFAS midfoot score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a mean of 45.3 preoperatively to a mean of 89.2 at 3 months after surgery. At the latest follow-up, the mean AOFAS midfoot score was 92.6 (p<0.001). The mean VA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decreasing from 6.7 out of 10 preoperatively to 1.8 at 3 months after surgery. At the latest follow-up, the VAS was 1.2 (p<0.001). The mean time of a single-limb heel raise was 4.6 months postoperatively and the self-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was 1.4 out of 4 at the latest follow-up. Conclusion: The short-term surgical results of the modified Kidner procedure with a suture bridge technique for symptomatic type II accessory navicular were good to excellent in terms of pain, functional and clinical assessments. In conclusion, the modified Kidner procedure with the suture bridge technique is a reasonable treatment option for symptomatic type II accessory navicular.

      • KCI등재

        전위된 관절내 종골 골절에 대한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일시적 K-강선 고정의 효과

        양기원,김진수,문진선,Young, Kiwon,Kim, Jin Su,Moon, Jins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8 No.3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temporary K-wire fixation in F-plate fixation for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o groups (group 1 with F-plate fixation only and group 2 with temporary K-wire fixation and F-plate fixation) of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temporary K-wire was removed six weeks after the operation. Each group consisted of 33 cases. Rotational axis angles were measured radiographically and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was used for clinical assessment. Results: In group 1, the mean rotational axis angle was reduced from $27^{\circ}$ preoperatively to $5.59^{\circ}$ postoperatively and the angle at last follow-up was $9.94^{\circ}$. There was an increase in angle of $4.35^{\circ}$ between post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measurement. In group 2, the mean rotational axis angle was reduced from $21.2^{\circ}$ preoperatively to $4.39^{\circ}$ postoperatively and the angle at last follow-up was $5.91^{\circ}$. There was an increase in angle of $1.52^{\circ}$ between post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measuremen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rotational axis angl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O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emporary K-wire fixation can prevent reduction loss when treating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with an F-plate.

      • KCI등재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 산출에 미치는 효과

        이상훈 ( Sang Hoon Lee ),문진선 ( Jin Sun Mo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자폐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 산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아동 지향 모델, 요구 모델, 시간지연, 우발 교수의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6가지 중재 상황별로 4회기씩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의 합으로 정의된 전체 발화량의 양적 증가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발적 발화는 증가하고 반향어는 감소하였다. 둘째, 독립 발화와 반응 발화의 합으로 정의된 자발적 발화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발화의 자율성을 지닌 독립 발화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반향어의 질적인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유형별로는 즉각 반향어보다 지연 반향어의 비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기능별로는 의사소통 목적을 가지는 상호작용 기능의 반향어 산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발적 발화가 적고 반향어 산출이 많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를 양적, 질적으로 향상시키며, 반향어를 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언어중재방법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on autistic children`s spontaneous utterance and echolalia production. Using single subject design as a study method, pretest and posttest by an informal method were conducted. Milieu language intervention(MLI) included all four methods such as model procedure, mand-model procedure, time-delay technique and incidental teaching procedure, and a total of 24 sessions were conducted in 6 kinds of intervention situation which causes chances of incidental learn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LI did not have effects on quantitative increase in the total utterance production defined as the conjunction of spontaneous utterance and echolalia, while qualitative meanings were found in respect that spontaneous utterance increased and echolalia decreased. Second, spontaneous utterance defined as the conjunction of independent utterance and response utterance increased a lot quantitatively and the rate of independent utterance which has autonomy of utterance was high. Third, MLI was effective in decreasing echolalia qualitatively. In respect to types of echolalia, the rate of delayed echolalia decreased largely than that of immediate echolalia. By communicative function of echolalia, production of echolalia which i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was increasing gradually. Thus, MLI improve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pontaneous utterance of autistic children and it is very effective in decreasing echolalia qualitatively. In addition, it helps produce meaningful echolalia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so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an effective language intervention in promoting limited language of autistic children.

      • KCI등재

        경골 간부의 신연 골형성된 부위에 발생한 만성 골수염-증례 보고-

        배상욱 ( Sang Uk Bae ),송백용 ( Baek Yong Song ),문진선 ( Jin Seon Moon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4

        경골 간부의 만성 골수염이 발생하여 광범위한 변연절제술 후 대량 골 결손이 발생한 경우 Ilizarov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신연 골형성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신연 골형성술의 합병증으로는 핀 관 감염, 감염성 불유합 등이 보고되었으나 신연 골형성 부위에 발생한 만성 골수염의 증례 보고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신연 골형성 부위에 발생한 만성 골수염의 진단 및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an Ilizarov external fixator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treatment options for large segmental bone defects after extensive debridement of chronic osteomyelitis in the tibial shaft. Its complications include skin irritation, pin tract infection, and non-union due to infection. There are few case reports on chronic osteomyelitis occurring in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area. The authors experienced a chronic osteomyelitis in the distraction osteogenesis area of the tibial shaft and report this case with re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