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D1b in immature dendritic cells acquires increased phagocytotic function

        류현정,Liew, Hyunjeong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3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originated lipid antigen is presented on the antigen-presenting cell surface with CD1b. When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phagocytosed MTB H37Rv (Multiplicity of infection 10, infectivity: 46.89%), the CD1b expression level decreased slowly. Since this was just a live MTB-mediated phenomenon, it was not detected from heat-killed MTB or mycolic acid, which is a unique antigen of MTB. We confirmed that the phosphorylation of CD1b molecules using 2D electrophoresis with staining could phosphorylate and induce the presentation of the lipid antigen using the phagocytosis assay. CD1 분자는 결핵균 유래 지질항원 발현하는 단백질이며, 특히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가 결핵균 감염시에 발현이 점차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이는 결핵균의 사균이나 항원만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결과였다. 2차원 전기영동(2D electrophoresis)을 통하여 CD1b 의 인산화를 관찰하였고 이러한 현상이 식세포작용과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아성숙도에 관한 연구

        류현정,이창한,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1

        현재까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치아의 발육상태와 골격성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방사선학적 방법을 통하여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률을 비교, 분석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 가능한 상하악 치아성숙도의 차이가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감별진단 요소로 의의가 있는지 알아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Hellman 치령 IIIA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 군 각 50명을 선택한 후, 이들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Demirjian법으로 각 군의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 률을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 치령의 차이는 각각 0.66세와 1.20세로 하악 과성장 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상하 제2대구치 맹출률은 두 그룹 간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In growing children it is frequently found that dental maturation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growth rate of maxilla or mandible. If there is evidence to prove this, it might be utilized as a criterion in the early diagnosis of skeletal malocclusion, even before the object's real skeletal features are yet revea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the difference of dental maturation in over-grown mandible in children with skeletal Class III has any relationship with some skeletal features of mandible. 50 patients in Hellman dental age IIIA with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 of mandibular overgrowth type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study objects. The age estimation was performed on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eruption rate of the 2nd molars of each group have been measured on panoramic radiography, and the differences in dental age of the upper and lower jaw were analyzed under Demirijian'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fference of dental age of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between the two groups was 0.66 and 1.20 years respectively, with a higher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05). The difference of eruption rat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econd molar was not found between two group (p >0.05).

      • KCI등재

        양산시 청소년의 부정교합 유병률 및 관련 자존감 조사

        류현정,김형준,정태성,김지연,김신,Ryu, Hyunjung,Kim, Hyungjun,Jeong, Taesung,Kim, Jiyeon,Kim, Shi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들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각 요소와 자존감의 연관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산시 소재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80명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별 유병률과 자존감 상태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gle 분류에 의한 제1대구치 관계는 I, II 및 III급 교합이 각각 69.0%, 19.4%, 10.6%로 나타났다. 수평피개는 정상 86.9%, 반대교합 5.6%, 큰 수평피개 6.6%, 극심히 큰 수평피개 0.8%로 나타났다. 수직피개는 정상 94.1%, 과개교합 4.7%, 개방교합 1.2%였다. 정중선 불일치는 0~1 mm는 98.2%, 2~4 mm는 1.4%, 5 mm 이상은 0.4%였다. 총생은 상, 하악에 총생이 있는 경우가 각각 9.6%, 14.1%, 양악 모두의 경우가 24.1%였으며, 치간공극은 상, 하악에만 있는 경우가 각각 3.0%, 2.4%, 양악 모두의 경우는 1.7%였다. 부정교합 요소별 자존감의 차이는 여자의 경우, 반대교합과 개방교합 그룹에서 자존감 지수가 낮은 값을 보였다(p < 0.05).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1,380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Yangsan area were surveyed by oral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s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stribution of 1st molar occlusion by Angle's classification was 69.0, 19.4, 10.6% for Class I, II and III respectively. I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the prevalence of normal overjet and crossbite was 86.9% and 5.6% respectively whereas larger and extremely larger overjet was found in 6.6% and 0.8%.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of anterior teeth, normal, deep overbite and openbite was shown in 94.1%, 4.7%, and 1.2%. For the midline discrepancy, the distribution of groups with 0~1 mm, 2~4 mm and over 5 mm was 98.2%, 1.4%, and 0.4%. Crowding only in the maxilla was found in 9.6%, while that only in the mandible and in both arches was 14.1% and 24.1% respectively. Spacing only in the maxilla was seen in 3.0%, while that only in the mandible and in both arches was 2.4% and 1.7%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was revealed in female and malocclusion groups of crossbite and openbite(p < 0.05).

      • KCI등재

        바마하(Bhāmaha)의 ‘의미의 수사법’(arthālaṃkāra)에 대하여 (Ⅱ)__『카비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3장을 중심으로__

        류현정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6

        In Indian poetics and literary criticism, various figures of speech(alaṃkāra)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elements of versification. Among those authors who had written the treatises on poetics, Bhāmaha imbued the alaṃkāra with special significance in his Kāvyālaṃkāra(KA). In the article, I tried to translate and examine the 3rd pariccheda of KA in which 23 kinds of arthālaṃkāras, that is, (1) preyas, (2) rasavat, (3) ūrjasvin, (4) paryāyokta, (5) samāhita, (6) two kinds of udātta, (7) three kinds of śleṣa(śliṣṭa), (8) apahnuti, (9) viśeṣokti, (10) virodha, (11) tulyayogitā, (12) aprastutapraśaṃsā, (13) vyājastuti, (14) nidarśanā, (15) upamārūpaka, (16) upameyopamā, (17) sahokti, (18) parivṛtti, (19) sasandeha, (20) ananvaya, (21) utprekṣāvayava, (22) saṃsṛṣṭi, and (23) bhāvika. These arthālaṃkāras in the 3rd pariccheda of KA which are treated individually without clear classifying standards can cause various interpretation. Therefore, later scholars show difference in opinions in some points i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some of them. Though Bhāmaha’s list was somewhat unorganized or even vague with extensive denotation at some points, the purpose of using alaṃkāras was precisely focused on delivering poet’s intention to readers more effectively, beautifully and easier. This purpose is well presented especially in the last member of the alaṃkāras, the bhāvika. As a stepping stone for the further study, in the 2nd chapter, I represented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3rd pariccheda of KA briefly. In succession, on the 3rd chapter, I dealt with 23 arthālaṃkāras respectively, with some involved or disputable comments pointed out by preceding researches. In concluding I tried to present a table of those arthālaṃkāras according to my own classification which might show their respective features. 본고는 인도 시학 전통에서 초기 수사론자에 해당하는 바마하(Bhāmaha, 7세기경)의 『카비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A) 제3장에 제시된 ‘의미의 수사법’(arthālaṃkāra)의 정의와 적용례를 원문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초기 수사론서에 나타난 수사법들의 의미와 분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마하는 KA 제3장에서 (1)프레야스(preyas), (2)라사바트(rasavat), (3)우르자스빈(ūrjasvin)을 비롯하여 총 23가지에 이르는 ‘의미의 수사법’을 제시하고 있다. 각 수사법은 KA 제2장에 제시된 것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준이 다양할 뿐더러 유동적 해석이 가능한 정의와 적용례로 나타나는데, 수사법이 지니는 이러한 특징은 후대 수사론자들의 다양한 해석과 세밀한 분류기준을 낳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먼저 KA 제3장의 전체적인 구조와 내용에 대해 간략히 제시한 후, 각 수사법의 정의 및 적용례를 원문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관련 논의에 대해 점검하며 그 의미를 고찰해 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도 고전 문학, 특히 산스크리트 문학의 수사법에 대한 연구의 단초를 마련하고, 초기 수사론자로서 바마하의 수사법 체계가 지니는 의의를 짚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바마하(Bhāmaha)의 ‘소리에 의한 수사법’ 연구 _Kāvyālaṃkāra 2장 1∼20송을 중심으로_

        류현정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In India, poetical prosody and various figures of speech(alaṃkāra) have been applied not only in pure literature, but also in philosophical or religious works for delivering their thoughts. In the field of classical Indian poetics, alaṃkāra, after being appeared in Nāṭyaśāstra,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ement of versification. By the 7th century CE, it also has been treated actively by many scholars as poetical theory as well as a rhetoric skill. Among those figures, especially, Bhāmaha imbued alaṃkāra with special significance in his work Kāvyālaṃkāra(KĀ). He held that alaṃkāra mattered most in poetry and he brought rasa, which had bee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emes in poetics, also under alaṃkār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laṃkāra which is represented in KĀ, there are two kinds of alaṃkāra, that is, śabdālaṃkāra and arthālaṃkāra. The former one is made by sound or word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made by meaning. Śabdālaṃkāra which is dealt in this paper is subdivided into two kinds, anuprāsa and yamaka. They arouse poetic inspiration not only with rhymes or repetition of similar varṇas or words(anuprāsa) but also with repetitive homonymic pādas, repetition in serial āvalīs and in whole sentences(yamaka) as well. This paper, at first, introduces Bhāmaha’s role in the field of alaṃkāra school briefly and then analyzes composition of KĀ by each pariccheda and thematically. In succession, among various figures of speech, I have examined classifications and examples of śabdālaṃkāra in detail which show its practical applications especially represented in first 20 verses of KĀ. I hope, though tenuously, this research could energize future studies on figures of speech in Korea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texts. 인도는 비단 순수문학의 범주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서나 종교서에서도 시적 운율과 다양한 수사법(alaṃkāra)을 적용한 게송을 통하여 사상을 전달해 왔다. 인도 고전 시학(詩學)에서 수사법은 Nāṭyaśāstra에 언급된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작시(作詩)의 요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이는 7세기경에 이르러 단순한 수사의 기술로서 뿐만 아니라 시학이론으로서 자리매김하여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그 가운데 특히 바마하(Bhāmaha)는 자신의 저작인 『카브야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하 KĀ)에서 수사법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는 수사법이 작시법(作詩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요소이며, 심지어 시학의 중심 주제로 다루어지는 라사(rasa)마저도 수사법에 귀속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KĀ의 수사법 분류에 따르면 크게 ‘소리에 의한 수사법’(śabdālaṃkāra)과 ‘의미에 의한 수사법’(arthālaṃkāra)으로 양분되는데, 그중 ‘소리에 의한 수사법’은 아누프라사(anuprāsa)와 야마카(yamaka) 두 종류로 세분된다. 이는 음운의 반복적 사용, 동음이의어나 구절의 반복을 통하여 깊이 있는 시감(詩感)을 이루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카브야(kāvya)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 가운데서도 알람카라, 즉 수사법에 비중을 두었던 알람카라 학파에서 바마하의 위치에 대해 짚어보고, 그의 저작인 KĀ의 구성을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게송 연구의 예비적 고찰로서 2장 초반부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는 ‘소리에 의한 수사법’의 종류와 더불어 제시되어 있는 실례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문헌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수사법 연구에 활기를 돋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