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쿠버다이빙 참여자의 다차원적 지각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류지한,곽한병 한국사회체육학회 201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uba diving participants’ multi-dimensional perceived value on customer loyalty. For this, we collected 29 7(99.0%) questionnaires from the scuba diving participants at two scuba diving pools located in the Seou Ol lympic Stadium and the Suwon World Cup Stadium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also performeds ever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 descriptive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value perceived by the scuba diving participanst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loyalty , which represents re-visit intention (t=2.760, p<.01). Emotional value perceived by the scuba diving participants positively influenced on customer loyalty (t=7.779, p<.001). Social value perceived by the scuba diving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4.122, p<.001). Lastly, epidemic value perceived by scuba diving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loyalty (t=2.005, p<.05). Thus, this insight can assist scuba diving operators in the marine environment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scuba diving programs and create positive experiences of scuba diving participants, ersulting in perceived value as well as custome r loyalty enhancement.

      • KCI등재

        인간 본성의 진화: 진화심리학의 이해

        류지한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7 No.1

        Evolutionary psychology attempts to give scientific explanations of human nature beyond the limits of standard social science model and sociobiology. To achieve this goal, evolutionary psychology combines the computationalism of the cognitive revolution with the adaptationism of the modern evolutionary biology. That is, evolutionary psychology combines the recognition that the human brain and mind are the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from the computationalism with the point of view that such system is the evolutionary adaptations from the adaptationism. Therefore according to the evolutionary psychology, the human mind is the set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evolved to process the informations about survival and reproduction. Evolutionary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project of mapping out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The human mind were designed by natural selection to solve the adaptive problems regularly faced by our hunter-gatherer ancestors in the environment of evolutionary adaptedness(EEA). Because there were the great number of the adaptive problems in EEA and the problems were are very different and problem-specific, the human mind is composed of a crowed network of the many, different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which is functionally specialized and problem-specific. And the 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is universal, crediblly developing, and equipped with the innate knowledge which reflects the world. 진화심리학은 표준사회과학모델과 사회생물학의 한계를 넘어서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진화심리학은 인지혁명의 계산주의와 진화생물학의 적응주의를 결합시킨다. 진화심리학은 계산주의로부터 인간의 뇌와 마음을 일종의 정보처리 체계로 보는 인식을 수용하고, 적응주의로부터 그와 같은 정보처리 체계가 진화적 적응이라는 견해를 받아들인다. 따라서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이해한다. 즉, 진화심리학은 보편적 인간 본성을 구성하고 있는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을 상세히 그려내는 과학적 프로젝트이다. 진화심리학에서 마음은 우리의 수렵-채집인 조상들이 진화적 적응의 환경(EEA)에서 반복적으로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연 선택에 의해서 설계된 것이다. EEA에서 우리 조상들이 직면했던 적응적 문제는 매우 다양하고 특수하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은 다양하고 특수한 적응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알맞도록 기능적으로 전문화되고, 문제-특수적인, 다수의,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들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음을 구성하는 진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은 세계에 대한 생득적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환경의 방해로부터 비교적 안정적으로 발달하고, 모든 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인 메커니즘이다.

      • KCI등재후보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도덕적 추리 ― 헤어의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 도덕 추리론 ―

        류지한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1 No.-

        이 글은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 도덕 추리론에 대해 고찰한다. 헤어는 자연주의와 직관주의에 대한 전통적 비판과 실존주의의 결단주의를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비합리주의를 거부한다. 그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 분석에 기초해서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적 도덕 추리론을 전개한다. 헤어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도덕과 유관한 사실’을 결합하여 도덕 추리 체계를 구성한다. 헤어에 의하면 도덕적 개념의 논리는 규정성과 보편화 가능성이고, 도덕과 유관한 사실은 사람들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다. 도덕적 개념의 논리는 ‘보편적 규정 가능성’의 요구를 도덕적 추리의 규준으로 제시함으로써 도덕적 추리를 형식적으로 규제하고, 도덕과 유관한 사실은 관련된 당사자들의 선호 또는 규정을 알려줌으로써 도덕적 추리를 실질적으로 규제한다. 따라서 보편적 규정주의의 도덕 추리 방법은 우리가 우리 자신과 타인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알고 있는 경우에도, 보편적 속성이 동일한 모든 경우에 대해서 기꺼이 보편적으로 규정하고자 의욕할 수 있는 원리를 도덕 원리로 채택할 것을 요구한다. 헤어에 의하면 보편적 규정주의 도덕 추리 방법은 공리주의를 산출한다. 왜냐하면 도덕 추리체계를 구성하는 ‘규정성 논제’와 ‘보편화 가능성 논제’ 그리고 ‘완전한 표상의 논제’는 추리의 과정에서 서로 결합하여 관련된 당사자들의 선호에 평등한 비중을 줄 것을 요구하는데, 그럴 경우 우리가 기꺼이 보편적으로 규정하고자 의욕할 수 있는 도덕 원리는 관련된 당사자 모두를 위해서 전체적으로 선호 만족을 극대화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헤어는 도덕적 개념의 논리와 사실에 기초해서 황금률 논법을 발전시킴으로써 자연주의의 오류와 직관주의의 순환 논증의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반직관주의비자연주의 도덕 추리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헤어의 방법은 도덕적 추리의 중립성과 객관성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헤어의 중요한 성취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studies the universal prescriptivist theory of moral reasoning in R. M. Hare. Agreeing the traditional criticisim against naturalism and intuitionism, Hare developes the anti-intuitionist and non-naturalist theory of moral reasoning on the basis of the logical analysis of moral concepts. Hare attempts to construct a system of moral reasoning. According to Hare, a system of moral reasoning is compounded of two necessary ingredients. The first requisite is the logical apparatus provided by the logic of moral concepts; prescriptivity and universalizability. The second requisite is morally relevant facts. He proposes the likely effects of possible actions on preference-satisfaction of people as candidates for morally relevant facts. According to Hare, the logic of prescriptivity and universalizability restricts moral reasoning formally by providing canons of moral reasoning, i.e., the requirements of universal prescribability. Morally relevant facts restricts moral reasoning substantially by informing of preference or prescription of affected parties. Therefore, the universal prescriptivist method of moral reasoning requires that we adopt the principle which we can be willing to prescribe universally for all situations identical in their universal properties, even if we are in full cognizance of morally relevant facts. Hare argues that this method of moral reasoning generates utilitarianism. According to his argument, the moral principle that we can be willing to prescribe universally for all situations identical in their universal properties, is the principle that maximizes the preference-satisfaction, in sum, of all those affected. Hare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moral philosophy by means of showing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theory of moral reasoning which can avoid the naturalistic fallacy and the circular argument of intuitionism on the basis of logic and facts alone.

      • KCI등재

        자연주의의 오류와 직관주의 윤리설

        류지한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5 No.-

        자연주의와 직관주의는 대립적인 윤리학의 방법론으로서 17세기 이래로 서로 경쟁하면서 발전해왔다. 그러나 전도유망한 것으로 각광받던 자연주의 윤리설은 무어의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에 의해 결정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 무어의 자연주의 비판에 힘입은 직관주의 윤리이론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하지만, 직관주의 역시 이론적 난점을 노정한다. 다양한 직관주의 이론은 다음 네 가지 논제를 가족유사적 특징으로 공유한다. 첫째, 비자연주의 논제 : 도덕적 용어는 자연적 속성을 나타내는 술어로 환원하여 정의할 수 없다. 둘째, 도덕 실재론 논제 : 자연적 대상으로 환원할 수 없는 도덕적 속성(사실)이나 도덕적 진리가 존재한다. 셋째, 인지주의 논제 : 도덕적 진술은 ‘참’ 또는 ‘거짓’을 가릴 수 있다. 넷째, 직관의 논제 : 도덕적 진술의 참 또는 거짓은 ‘직관’에 의하여 식별된다. 직관주의는 비자연주의 논제로 인하여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지는 않지만, 도덕 실재론 논제와 직관의 논제를 설득력 있게 논증하지 못함으로써 이론적 난점을 드러낸다. 직관주의는 비자연적인 도덕적 속성 (혹은 도덕적 사실) 또는 자명한 도덕적 진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입증하지 못한다. 또한 ‘직관에 의한 인식’은 인식의 공인된 통로가 존재하지 않는 사적인 인식이기 때문에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알게 되었는가를 해명하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직관주의는 직관의 상충으로 인해서 생기는 도덕적 불일치를 해결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함으로 인해서 상대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다. The Naturalistic Fallacy and the Intuitionist Ethical Theories ― Lyou, Ji-Han ― The naturalism and intuitionism had been developed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since 17th century. But G. E. Moore exposed that all forms of naturalism committed 'naturalistic fallacy' by means of 'open question argument'. Moore's criticism against naturalism inspired intuitionism to new endeavors. All forms of intuitionism are based on four theses. 1. The Nonnaturalism Thesis : Moral terms cannot be defined by nonmoral (natural) terms because moral terms refer to nonnatural properties. 2. The Moral Realism Thesis : There are sui generis moral properties or self-evident moral principles which cannot be reduced to natural properties or non-moral principles. 3. The Cognitivism Thesis : Moral Statements are either true or false and they can be known. 4. The Intuition Thesis : Moral truths are discovered by the intuition and they are self-evident upon reflection. While intuitionism doesn't commit the naturalistic fallacy owing to The Nonnaturalism Thesis, it is criticized for both The Moral Realism Thesis and The Intuition Thesis. Intuitionism has difficulty in demonstrating The Moral Realism Thesis because of the ontological queerness and mysteriousness of nonnatural properties. Also it is blamed for having the difficulty in justifying 'knowledge by intuition' because there are no accredited routes to the knowledge. Finally, intuitionism collapses into relativism because it cannot give the objective and rational methods except intuition which are capable of resolving the conflict of intuitions in moral disagreements. ※ Key Words : naturalism, intuitionism, naturalistic fallacy, nonnaturalism, moral realism, cognitivism.

      • KCI등재

        벤담의 공리주의와 철학적 급진주의

        류지한 한국윤리학회 2023 倫理硏究 Vol.141 No.1

        Bentham's utilitarianism is an ethical theory that combines consequentialism, hedonism, the principle of impartiality, aggregationism, and sanction theory, and presents the 'principle of utility' as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The principle of utility is a principle that approves or disapproves of all actions and polici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bring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Bentham advocated the use of physical, political, popular, and religious sanctions to make us conform to the principle of utility. Bentham advocated philosophical radicalism that called for fundamental reform of all systems, laws, and morals that did not maximize the utility of society. So he advocated issues such as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the death penalty, legal provisions to protect criminals and animals from cruel treatment, and the decriminalization of homosexuality. Bentham's utilitarianism has been criticized for empirical machine objection to hedonism, the narro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e limitations of sanction theory, and the counter-intuitive conclusions. However, Bentham's utilitarianism not only contributed to the scientification of morality and the systematization of consequentialist ethical theories, but also led the moral reformist movement that opposed racism, sexism, and speciesism. Furthermore, by asserting moral expansionism which requires that the scope of moral consideration be expanded in time and space, it contributed to the collective moral progress of mankind. 벤담의 공리주의는 결과주의, 쾌락주의, 공평성의 원리(보편주의), 총합주의, 그리고 제재 이론이 결합된 윤리 이론으로서 ‘공리의 원리’를 도덕의 제일원리로 제시하였다. 공리의 원리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가져오느냐 그렇지 않냐에 따라 모든행동과 정책을 시인하거나 부인하는 원리이다. 이 공리의 원리를 따르도록 만들기 위해 벤담은 자연적, 정치적, 대중적, 종교적 제재를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벤담은공리의 원리를 근거로 사회의 공리를 극대화하지 않는 모든 제도와 법률과 도덕에 대한 근본적 개혁을 촉구하는 철학적 급진주의를 내세웠다. 그래서 그는 교회와 국가의분리, 노예제와 사형의 폐지, 범죄자와 동물을 잔인한 처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법적 규정, 동성애의 비범죄화와 같은 문제를 옹호하였다. 벤담의 공리주의는 쾌락주의에 대한 경험 기계 반론, 인간 이해의 편협함, 제재 이론의 한계, 역직관적 결론의 산출 등으로 비판받아 왔다. 하지만 벤담의 공리주의는 도덕의 과학화와 결과주의 윤리이론의 체계화에 공헌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종차별, 성차별, 종차별에 반대하는 도덕개혁주의를 선도하였으며, 도덕적 고려 범위를 시·공간적으로 확장하는 도덕 확장주의를 통해 인류의 집단적인 도덕적 진보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서구적 가치와 현대 한국의 시민의식

        류지한,이인재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6 No.1

        This study is a survey and it's analysis on to what degree western values, especially the values as Christianity, democracy, and capitalism exert influence on formation of civic value consciousness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We conduct a survey of common people and professionals in ethics, and analyze it's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contemporary Koreans accept the importance of western values or respect them above the average. In conclusion, western values as Christianity, democracy, and capitalism have important effects on formation of civic value consciousness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contemporary Koreans tend to recognize and evaluate the western values positively. 본 연구는 서구적 가치, 특히 기독교,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가치가 현대 한국의 시민의식에 어떤 수준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일반 국민과 윤리학 전공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현대 한국인들은 서구적 가치에 대해 중간 이상 정도로 서구적 가치의 역할을 인정하거나 존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주주의, 자본주의, 기독교 등과 같은 서구적 가치는 오늘날 한국인의 시민의식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서구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의견 수준은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