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rgical Repair of Atresia Ani with Rectovaginal Fistula in an African Buffalo (Syncerus caffer)

        지숙,강신근,윤정상,용구 한국임상수의학회 2018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5 No.3

        A three-month-old female African buffalo born at Seoul Zoo showed signs of abdominal distension, bulgingof the perineal skin, and small stool volume compared to feed intake. Upon physical examination, atresia ani withrectovaginal fistula was diagnosed. This case was subjected to surgery under inhalation anesthesia after injecting asedative. Surgery was performed in two steps: anal reconstruction and closing the rectovaginal fistula. First, a circularskin incision was made at the end of the rectal pouch to create an anus, and then the skin of the anus and the mucousmembrane of the rectum were brought into apposition by simple interrupted sutures. Second, the rectovaginal fistulawas ligated on both vulval and anal side.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on every alternate day and the sutures wereremoved at ten days surgery under sedation. The rectovaginal communication was closed and the calf was able tourinate and defecate normally. The animal grew to become a normal adult without any complications. This is thefirst case report of atresia ani with rectovaginal fistula in an African buffalo,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intervention.

      • KCI등재
      • 사람 Adenylate Kinase 1의 p-Loop부위에 위치한 Serine^(19) 잔기의 돌연변이에 의한 구조 활정 상관관계

        문재희,이한나,류용구,김효준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7 이학기술논문지 Vol.10 No.-

        Adenylate kinase (AK)는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에너지대사에 관련하는 효소로서 short form과 long form의 두 종류의 isoform으로 분류된다. 포유류 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short form은 높은 효소 활성(1,800 U/mg)을 나타내며, 전핵생물이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long form은 매우 낮은 활성(200 U/mg)을 나타낸다. 한편, 박테리아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AK(AKmt)는 구조적으로는 진핵세포와 같은 short form이지만, 활성은 long form의 전형적인 낮은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사람의AK1(hAK1)과 AKmt의 효소의 촉매활성에 중요한 부위인 P-loop의 아미노산 서열 중 활성이 높은 isoform과 활성이 낮은 isoform에서 serine(Ser^(19)hAK1)과 alanine(Ala^(11)AKmt)으로 각각의 보존성이 상이하여 이 부분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위지정 돌연변이법을 이용하여 hAK1의 19번째 Ser을 Ala으로 치환시킨 돌연변이체(S19AhAK1)를 작성하여 hAK1 및 AKmt간의 활성 및 기질 친화도를 반응속도론적으로 비교한 결과 S19AhAK1의 활성은 450 U/mg으로 AKmt 수준으로 낮아졌으나, 기질 친화도인 Km 값은 ATP 및 AMP에 대하여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서 P-loop의 serine은 side chain의 polarity를 통해 phosphoryl-transfer의 촉매능을 촉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denylate kinase (AK) is a ubiquitous enzyme which related with the energy metabolism in living cells. AK has two kinds of isoforms: short form and long form. Generally the short form has high enzymatic activity (1800 U/mg) and exists in eukaryotic cytosol, while long form has low activity (200 U/mg) and exists in mitochondria and bacteria. Interestingly, AK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AKmt) belongs to the short form isozyme, but catalytic activity is as low as that of bacterial long forms'. To characterize this discrepancy, we shed light on the conserved residues in the p-loop of the enzyme. In the flexible P-loop of AK, serine is conserved in high-activity isozymes and alanine is conserved in low-activity isozymes, respectively. Ser^(19) of high activity hAK1 is replaced by Ala at P-loop in low activity AKmt. We substituted Ala for Ser^(19) in hAK1 by site-directed mutagenesis to get a mutant enzyme, S19AhAK1. Enzyme activity of S19AhAK1 was greatly reduced to 450 U/mg, as expected. However, minor changes in Km values for both of ATP and AMP were detected. In condusion, the serine^(19) in hAKl enhances the phosphoryl-transfer catalysis but not in substrate binding, by utilizing the polarity in p-loop environment.

      • 유색콩 국내 수집종의 주요 성분 함량의 변이

        이은자,허창석,태석,용구,이정동,최홍집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연구는 재래 유색콩의 종피색, 자엽색, 종실크기 등에 따른 isoflavone, 조지방, 조섬유 등의 성분함량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유색콩 수집 종 41점과 청자콩3호를 재료로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soflvone 함량은 극소립 종 2 계통 평균이 6132.5 ㎍/g로 가장 높았으며, 소립종 3330.7㎍/g, 중립종 3224.9㎍/g, 대립종 3411.5㎍/g, 극대립종이 2415.2㎍/g 으로 종실크기가 작을수록 isoflavone 함량이 높은 경향 이었다.(y = -2018ln(x) + 5635.1, R² = 0.8209). 조지방 함량은 극소립 종이 평균 14.8%으로 가장 낮았으며 소립종 16.4%였고, 중립종이 17.4%로 가장 높았고, 대립종 17.1%, 극대립종이 16.6%였다(y = -0.3868x2 + 2.7432x + 12.465, R² = 0.9852). 조섬유 함량은 극소립 종이 평균 4.68%로 가장 높았으며, 중립종이 4.19%로 가장 낮았다. 또한 소립 종 4.30%, 대립 종 4.27%, 극대립 종 4.42%로 종실 크기에 따른 조섬유 함량의 변이는 아래로 오목한 포물선의 형태를 그렸다(y = 0.0889x2 - 0.5878x + 5.1565, R² = 0.9728). 또한 자엽색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색자엽 계통은 평균 3725.0㎍/g, 녹색자엽 계통은 평균 2820.3㎍/g의 값으로 녹색자 엽에 비해 황색자엽 계통에서 isoflavone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Shape Memory and Recycling Assessment of Novel Epoxy-Acid Based Vitrimer with Two Healing Methods

        이주호,이동주,현선,용구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Thermosets have excellent performances such as high mechanical properties, solvent resistance, and creep resistance. But, they have limitations about recyclability and reprocess ability, which raises the problem of creating plastic waste. To solve this problems, recyclable thermosets came out, it is called “vitrimers”. The first vitrimer known by Leibler is an epoxy-acid based vitrimer, which is known to exchange bonds through transesterification reactions. These vitrimer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and many applications. We synthesized a novel epoxy-acid based vitrimer by adding a molecule that can convert between oligomers and networks through photodimerization/cleavage by UV irradiation in the backbone of a simply epoxy-acid based vitrimer. This is a network state that has both recyclability and reprocess ability through vitrimeric behavior induced by heat and pressure, as well as

      • T cell epitope 차폐에 의한 b_(4) peptide 면역응답방응에 대한 연구

        최정순,이희종,공수강,리투,류용구,김효준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5 이학기술연구지 Vol.8 No.-

        Apo B-100 is a constitutive component of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f which functions in packaging, transport and absorption of lipids Extortive binding of anti B_(4)-antibody onto the Apo B-100 should inhibited the functions of Apo B-100 Previously we had showed that the peptide B_(4) induced antibodies recognized Apo B-100 and thus elicited anti-obesity effec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icacy of antibody inducing immune responses by introducing additional peptides fused to the C-termninal of B_(4) peptide We constructed TB_(4) hybride peptide of B_(4) with preS2 of HBV and B_(4)N another epitope orientation of chimeric TB_(4) Among these three artificial peptides B_(4)N was the most efficient inducer of the antibody against B_(4) These result explains that the B cell epitope and T-helper cell epitope orientation is very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antigenicity to humoral immunity. Apo B-100은 LDL에서 지방을 포장, 흡수, 운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다. Apolipoprotein B-100(Apo B-100)에 대한 특이 항체의 결합은 LDL의 정상 기능을 방해한다. 선행 실험에서 Apo B-100의 모조 펩타이드인 B_(4)가 Apo-B-100을 교차 인식하는 항체를 유도하고,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B_(4)펩타이드의 C-terminal부분에 펩타이드를 융합, 첨가하므로 면역반응에서 항체유도의 면역응답반응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B_(4)펩타이드의 N-말단에 HBV의preS2 펩티드를 융합시킨 B_(4)T의 N-말단데 또다른 B세포 에피도프 펩티드를 융합시킨 B_(4)N을 작성하였다, 세종류의 하이브리드 펩타이드 중에서 B_(4)N이 B_(4)에 대한 항체유도능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상의 결과로 B cell epitope과 T-helper cell epitope의 방향성이 체액성 면역 반응에서 항원유도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유산균을 이용한 여주 열매 발효체의 항비만 및 항당뇨 증진 효과

        곽상희(Sang Hee Kwak),안병철(Byung Chull An),안준영(Jun Young Ahn),이주성(Jusung Lee),정명준(Myung Jun Chung),류용구(Yongku Ryu) 한국미생물학회 2024 미생물학회지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약리적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여주의 효능을 더욱 증가시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하고자, 자사 특허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CBT-LP3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그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당뇨 활성에 있어 여주 유산균 발효체는 3T3-L1 지방 세포의 2-deoxyglucose 흡수를 1 μM의 인슐린 보다 1.8 배 높게 증가시켰다. 반면 동일 농도의 비발효체 여주침지물은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여주 유산균 발효체는 고농도 당독성에 대한 INS-1 췌장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 기능 부전효과를 완화시켰으며,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의 생존율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비만 측면에 있어 여주 유산균 발효체는 3T3-L1세포의 지방구 크기 감소와 갈색지방으로의 유전자 변화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본 논문에서 처음 밝혀졌다. 항당뇨, 항산화 활성물질로 알려진 γ-Aminobutyric acid(GABA)의 발효 전/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산균 발효를 통해 약 15%의 함량 증가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주 열매는 CBT-LP3 유산균 발효에 의해 GABA의 함량과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가 증가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또는 천연물 등으로 활용 가치가 있다 판단된다. As the prevalence of diabetes in South Korea continues to rise,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prescription rate of oral hypoglycemic agents. Given that these medications need to be taken for a lifetime, there is a necessity to develop treatments that ensure long term safety and devoid of any side effects.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drugs using plant-derived extracts, the active ingredients obtained through general extraction methods have limited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ials that maximize efficacy. Traditionally, Momordicae charantiae (MC) has been known for its effective anti-diabetic properties, so we utilized our own lactic acid bacteria, L. plantarum CBT-LP3, to enhance the anti-diabetic efficacy of MC.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anti-diabe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bio-fermented M. charantiae fructus (BMC) using in vitro exam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MC increased glucose uptake through Glut4 induction in 3T3-L1 adipocytes. The BMC also effectively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compared to untreated adipocyte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BMC substantially induced fat browning compared to untreated adipocytes. BMC, as another property, significantly increased reviving and recovering partially destroyed β cells by streptozotocin (STZ) treat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BMC can protect and help to recover β cells against damage. In addition, BMC improved β cell dysfunction in high glucose conditions and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diabet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ermentation of M. charantiae fructus using CBT-LP3 enhanced its anti-diabetic and anti-obesity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