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주행기반 교통약자 모빌리티 사용자 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전문가패널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유미,홍현근,박종현,전광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3 재활복지 Vol.27 No.4

        This study explores performance indicators of mobility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ed 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erefore, the elem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such as items, factors, and detailed indicators of performance indicators are identified. The study consisted of two Delphi surveys through an expert panel. The expert panel invited experts in related field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y,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utonomous driving, and AI.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12, 2023.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ndex search for autonomous driving-based mobility user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 as follows. First, usability, convenience, safety, and acceptability are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s for user service. Second, availability, convenience, reliability, and accessibility are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policy support system. However, since the WTP indicator was not ultimately included, it needs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dicator when evaluating actual service performance in the future. The derivation of this evaluation index reflects users' needs for future mobility mobility support servic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based 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can play a role in checking service effectivenes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evaluation system. 이 연구는 자율주행기술을 기반으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의 성과지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성과지표의 항목, 요인, 세부지표 등 평가지표의 요소를 확인한다. 연구조사는 전문가 패널 구성을 통한 델파이 조사를 총 2회로 구성하고 전문가 패널은 장애인당사자, 장애인 복지, 자율주행, AI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섭외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수행되었다. 자율주행기반 교통약자 모빌리티 사용자 서비스의 평가지표 탐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서비스 평가 지표는 이용성, 편의성, 안전성, 수용성이 중요한 평가지표이다. 둘째, 정책지원시스템 평가지표는 가용성, 편의성, 신뢰성, 접근성이 중요한 평가지표이다. 다만, Willingness to Pay 지표가 최종적으로 포함되지 않아 향후 실제 서비스 성과 평가시 중요한 지표로 고려될 필요가 있겠다. 한편 본 평가지표 도출은 자율주행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미래 모빌리티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효과를 체크할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자율주행차량 기반 특별교통수단의 미래 이동지원서비스 니즈 분석

        도유미,홍현근,오창석,장정아,김석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4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및 이동권은 자신의 기본권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가지는 교통약자들에게 있어 이동권 보장에 대한 과제는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다. 교통약자에게 이동권 확보는 삶을 영위하는 사회적 일부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적인 요소이다. 한편, 자율주행차량은 미래형 자동차로써 ‘이동’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교통약자들에게 이동으로부터의 자유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실현하기 위한 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지상황이나 제도 및 정책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량기반 미래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교통약자의 요구사항을 선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특별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과 퍼실리테이션, 디자인 씽킹 등 인간중심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특별교통수단 이용행태에 따른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여정맵을 도식화하고 미래의 자율주행차량 기반 이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핵심 요구사항 62건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Lv.4+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분석: KANO모델 적용

        도유미(Do, Yu Mi),홍현근(Hong, Hyun Keun),오창석(Oh, Chang Seok),장정아(Jang, Jeong A),김석현(Kim, Seok Hyun)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3

        인간에게 있어서 이동의 자유 및 이동권은 자신의 기본권 실현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특히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이동에 불편을 가지는 교통약자들에게 있어 이동권 보장에 대한 과제는 중요하게 인정되고 있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이동권 확보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편, 자율주행차량은 미래형 자동차로써 ‘이동’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휠체어 이용 장애인에게 이동권의 자유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자율주행차량의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이용의 실현을 위한 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고,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지 및 제도, 정책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자율주행기반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기능적 우선순위를 검토하기 위하여 KANO 모델 분석기법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사항에 대한 기술적 선호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KANO 모델을 적용한 결과 총 31개의 품질평가 항목요소 중 일원적 품질요소 15개 항목, 매력적 품질요소 13개 항목, 무관심 품질요소 2개 항목, 당연적 품질요소 1개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요구사항 정의에 따른 PCSI를 기반한 우선순위 5가지는 ⑴ 문자로 안내 문자 수신 기능(이용일시, 목적지, 차량번호 등), ⑵ 앱에서 예약 취소 기능, ⑶ 차량에서 이용자 인식 기능(센서, 음성, 키패드, NFC 방식 등) 및 음성안내, ⑷ 차량에서 돌발상황 발생시 관제센터 연결 기능(음성인식 기반), ⑸ 앱에서 예약변경 기능(시간, 경로) 가능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Lv.4+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개발에 있어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기능적 우선순위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특별교통수단 서비스에 대한 자율주행기술 개발의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or human beings, freedom of movement and the right to move are very important in realizing their basic rights. In particular, the task of securing the right to move is recognized as important not only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but also for the transportation-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moving, such as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ecuring the right to move is a functional element that enables life as a social part of life. On the other hand, autonomous vehicles can expect freedom from movement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erms of ‘mobility’ as a futuristic vehicle. However, facilities for realizing the widespread and universal use of autonomous vehicle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ociety s perception, system, and policy regarding this.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KANO model analysis technique to review the functional priorities for autonomous driving-based future mobility services for the wheelchairs users and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echnical preference priority for the requirements of the wheelchair user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KANO model are as follows. Among the 31 quality evaluation item elements, 15 items of onedimensional quality factor, 13 items of attractive quality factor, 2 items of indifferent quality factor, and 1 item of must-be quality factor were derived. And the five priority based on PCSI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requirements of wheelchair users are as follows. ⑴ Text message reception function (date of use, destination, vehicle number, etc.), ⑵ cancel reservations in the app, ⑶ user recognition function in vehicle(sensor, voice, keypad, NFC method, etc.), ⑷ control center connection function in case of unexpected situation in vehicle(voice recognition based), ⑸ reservation change function available in the app(time, route).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wheelchair users in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rvice technology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raffic using Lv.4+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by examining the functional priorit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future.

      • 학술연구 :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연구

        도유미 ( Yumi Do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5 디지틀 도서관 Vol.77 No.-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는 어린이의 리터러시와 학습을 증진하고 건강한 지역사회를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어린이서비스 자원의 이용을 자극하고 활성화하여 서비스의 목적을 완수하는데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보호자들이 도서관과 독서에 대해 더 깊은 이해와 관심을 가지게 되고 안정적인 독자로서 성장하도록 안내하고 도와준다. 이처럼 어린이서비스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전략적이며 체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서비스 프로그램의 운영 원리와 프로그램의 종류와 성격, 프로그램의 홍보와 평가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promote literacy and learning for children and can be seen as crucial to building a healthy community. And a variety of programs provided by the Children``s service is to stimulate and activate the use of the children``s service resources contribute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ervice. As well as the children and guardians to instruct you to grow as a reliable reader will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the library and reading and help. Thus, children``s services program because it has a strategic significance in many ways and should be operated in an orderly fashion.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operating principle, the kind and nature, public relations, evaluation of children``s services program.

      • 인문독서를 통한 인성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도유미 ( Yu Mi Do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5 디지틀 도서관 Vol.80 No.-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데 반해 그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이 이루어 졌다. 이는 무엇보다 그동안 인성교육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본 연구는 우선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인성교육의 접근 이론을 살펴보고, 인문독서의 어떤 가치들이 인성교육 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인문독서의 독서 수준에 따른 인성교육을 위한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Although character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implemented. That is related to the problem, not far reap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se issues, we first look at the consciousness of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approach theory of character education, humanities reading values that affect the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examine what. In addition, For character education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level of humanities reading is simply what is proposed.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의 정당한 편의제공이 직무만족과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

        정다찬,도유미,나운환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9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정당한 편의제공 여부가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과 고용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당한 편의제공을 바탕으로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과 고용유지를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장애인 고용공단에서 실시한 2017년 2차 웨이브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여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취업상태라고 밝힌 장애인 근로자들 중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설문에 응답한 사람들로서, 고용유지기간 산정 가능한 경우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첫째,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는 우리나라 전체인구 대비 열악한 수준이고 고용유지를 비롯한 정규직 근로자의 분포 등 고용안정상태가 불안정하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적자원 상태도 학력이나 기술보유가 전체인구에 비해 격차가 있는 등 고용의 질적인 수준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정당한 편의제공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당한 편의요인 중 직무조정과 근무시간 조정, 장애인 맞춤형 업무능력 향상훈련은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셋째, 정당한 편의제공은 고용유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작업에 대한 지도 및 직장생활 상담, 장애인 맞춤형 업무능력 향상훈련, 출퇴근 지원, 직무조정, 근무시간 조정은 고용유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viding reasonable accommoda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retention of disabled workers and to find ways to interven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retention of disabled workers based on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using the data 2017 year second wav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e targets of analysis are among the disabled worker who stated that they were in the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time of the survey, those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 about the reasonable accommodation of the disabled work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ases where the job retention period was measu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