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외선 센서정보기반 실시간 실내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로토타입

        남현우,곽수영,전철민,Nam, Hyun-Woo,Kwak, Su-Yeong,Jun, Chul-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실내공간에서 화재, 붕괴 등의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대피시뮬레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주로 대피시뮬레이터의 활용은 건축물의 설계과정에서 피난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피난안전성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결과를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하기에 몇 가지의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기존 대피시뮬레이터는 가상의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실제 재난 상황에서는 실제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필요한 점이다. 둘째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시간이 길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결과를 산출하기 어려운 시간제약적인 조건이다. 셋째는 재실자의 구조활동 및 대피안내에 최적화된 결과데이터의 산출이 어려운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제약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가능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사전에 수많은 인원분포에 따른 대피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DBMS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기본으로 하며, 적외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 내 실제 재실자 인원분포를 파악하고 이와 유사한 인원분포로 수행된 결과데이터를 질의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Indoor fire simulators have been used to analyse building safety in the events of emergency evacuation. These applications are primarily focused on simulating evacuation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building structural problems in normal time rather than in real time situations.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in handling real-time evacuation events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existing models mostly experiment the artificial situations using randomly generated evacuees while real world requires actual data. Second, they take too long time in operation to generate real time data. Third, they do not produce optimal results to be used in rescueing or evacuation guidance.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suggest a method to build an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real-world emergency situations. The system performs numerous simulations in advance according to varying distributions of occupants. Then the resulting data are stored in DBMS. The actual person data captured in infrared sensor network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data in DBMS and the querried data most closely is provided to the user. The developed system is tested using a campus building and the suggested processes are illustrated.

      • KCI등재

        커널 기반 가상머신을 이용한 시스템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남현우,박능수,Nam, Hyun-Woo,Park, Neu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8 No.3

        가상화 계층은 커널 보다 높은 권한 계층에서 수행되어 운영체제가 사용하고 있는 자원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데 적합하다. 하지만 기존 가상화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CPU나 메모리 사용률과 같은 기초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메모리, 레지스터 GDT, IDT 그리고 시스템 콜과 같은 동적인 시스템 커널 객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전가상화 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커널의 수정 없이 바로 리눅스 커널에 적용된 전가상화 방식의 KVM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KVM 내부 객체에 접근하기 위한 KvmAccess 모듈, 그리고 가상머신 모니터링 결과를 외부 모듈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였다. 구현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1초 주기로 시스템을 모니터링을 하더라도 0.37% 정도의 CPU 점유율을 차지하여 그 성능 부하가 아주 작았다. The virtualization layer is executed in higher authority layer than kernel layer and suitable for monitoring operating systems. However, existing virtualization monitoring systems provide simple information about the usage rate of CPU or memory. In this paper, the monitoring system using full virtualization technique is proposed, which can monitor virtual machine's dynamic kernel object as memory, register, GDT, IDT and system call table. To verify the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system was implemented based on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with full virtualization that is directly applied to linux kernel without any modification.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KvmAccess module to access KVM's internal object and API to provide other external modules with monitoring result. In experiments, the CPU utilization for monitoring operations in the proposed monitering system is 0.35% when the system is monitored with 1-second period. The proposed monitoring system has a little performance degradation.

      • KCI등재

        비대면 IoT 피부진단-치료 AI 서비스 접근방향 연구

        남현우 (Nam, Hyun W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비대면 원격진료는 미래 성장동력 산업이다. 본 연구의 배경은 원격진료 산업의 확장, IoT, AI 큐레이션 기술 발전, PSS 산업의 성장 등 3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피부진단과 치료를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를 결합한 서비스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목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모스코피 검사법을 기반으로 한 IoT, AI 서비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따른 결과값은 피부진단-치료의 국내외 현황을 고찰해 보고, 전문가 집단심층면접(FGI) 결과값을 바탕으로 3가지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첫째, 피부진단-치료 사용자 라이프 스타일 분석 방법론을 통해 개인 맞춤형 사용자의 경험 가치와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 둘째, 피부진단-치료 평가지표/프로파일 패턴 서비스 모델링 개발을 위해 프로파일 패턴 DB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피부진단-치료 IoT 제품 개발 및 인공지능 학습 DB를 기반으로 개인맞춤형 피부진단-치료 큐레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피부진단-치료 IoT, AI 큐레이션 등은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등 미래 혁신상품 프레임워크에 기반 연구가 될 것이다. Untact remote medical examin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the industry of future growth engin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3 categories: expansion of remote medical examination industry, development of IoT and AI curation technology, and growth of PSS industr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directionality of service, which combines skin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big data, IoT, and AI.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IoT and AI services based on dermoscopy. As a result, 3 direc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kin diagnosis-treatment status in Korea and abroad and result of expert FGI. First, personalized experience value and demand of users need to be discovered through the analysis of skin diagnosis-treatment users. Second, profile pattern DB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skin diagnosis-treatment evaluation index/profile pattern service modeling. Third, personalized skin diagnosis-treatment curation platform service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kin diagnosis-treatment IoT product and AI learning DB. The skin diagnosis-treatment IoT and AI cur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may service as the base study for the framework of future innovative products such as electronic devic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and infotainment.

      • KCI등재

        위계선형모형으로 추정한 학교효과를 고려하여 고교내신등급을 보정하는 방안

        남현우(Nam Hyun-W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2-수준 위계선형모형(HLM)으로 학교 효과성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위 학교의 내신 등급을 보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1-수준 변인은 성, 개인과외 경험, 사회경제적 지위(SES) 등이었고, 2-수준 변인은 평균 SES, 학교 규모, 지역 등이었으며, 종속 변인은 수능의 언어, 수리, 영어 점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2005)의 일부이다. 전국 평균과 학교 평균의 단순 차이로 학교 효과성을 측정하는 평균 점수 방식을 준거로 HLM 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학교 효과성을 표준 점수로 환산하여 최대 3등급까지 상향 또는 하향 보정하였다. 평균 점수 방식과 HLM 방식을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과대평가되는 학교는 영역별로 15∼19%,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는 학교는 영역별로 19∼24% 정도였으며, 어떤 방식으로도 보정되지 않는 학교가 과목별로 56∼66% 정도였다. 과대평가되는 학교들은 다른 학교들에 비해 수능의 평균 점수와 평균 SES가 높거나 최소한 비슷했고, 과소평가되는 학교들은 낮았다. 기본 모형인 ANOVA 모형과 비교할 때 HLM2 모형의 무선 효과 비율이 어떠한지, 자료의 원천과 분석 모형이 달라짐으로써 집단 내 상관 계수(ICC)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등을 논의했다. 학교 효과성이 모든 영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특정 학교 내의 모든 영역의 내신 등급이 천편일률적으로 상향되거나 하향되는 것은 아닌지를 검토하였다. 모든 영역이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되는 학교는 19% 정도에 불과했고, 100개교 중 아무런 변화가 없었던 34개교를 제외한 66개교 중 47개교(71%)는 영역별 등급 변화가 달랐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uggest and validate a method of compensating the high school record with the school effectiveness estimated by HLM2.<BR>  The school effectiveness was estimated by using the KEEP 2005 data. The data are composed of Verbal, Math, and English scores in KSAT as dependent variables, SES, gender,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s 1-level independent variables, and mean SES, school size, schol location as 2-level independent variables. The HLM method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so called Mean method, which estimated the school effectiveness by the difference of school mean and grand mean. The high school records were compensated upward or downward on the ground of standard scores of school effectiveness.<BR>  Comparing the HLM method with Mean method, schools of 15∼19% were over-evaluated, 19∼24% were under-evaluated, and 56∼66% were not changed at all.<BR>  KSAT scores and mean SES of schools over-evaluated were higher than the other schools. On the other hand, those of schools under-evaluated were lower than the other schools.<BR>  Some issues were discussed. Comparing HLM2 model with ANOVA model, was there any change in random error variance? When the data sources or the estimating models were changed, was there any change in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school effectiveness of Verbal, Math, and English were same or not, and the directions of compensating high school record were same or not.

      • KCI등재

        시니어 인지반응 융합콘텐츠 기술 방향성 연구

        남현우(Nam, Hyun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본 연구는 시니어 세대를 위한 맞춤형 문화향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니어의 감각 및 인지반응과 사용자 행태 분석 기반의 융합 콘텐츠 문화기술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신실버세대의 문화향유를 위한 콘텐츠 문화기술로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술 개발 현황을 분석하여, 시니어 세대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융합 콘텐츠 기술 4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및 해외의 관련 기술 현황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고, 전문가 표적집단면접법(FGI)을 통하여 기술적 제안을 진행하였다. 첫째, 시니어 세대의 인지반응 데이터(기억력, 집중력, 판단력, 신체능력 증진 등 신체, 감성 특성)를 기반으로 한 측정 및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평가 기술을 제안하였다. 둘째, 시니어 인지반응에 대한 프로파일 패턴 비교 분석 기술을 제안하였다. 셋째, 시니어 인지반응에 대한 UX/UI 기술을 제안하였다. 넷째, 시니어 큐레이션 서비스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제안을 통하여 기술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성과 활용 방안은 시니어 세대를 위한 신체·심리·인지반응 맞춤형 융합 콘텐츠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UI/UX 차원의 디자인 대응기술 개발에 맞는 현장적용 기술개발과 이를 통한 실용화․제품화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verged service for personalized cultural enjoyment for the benefit of senior citizens, and to propose a direction for converged content culture technology based on the analyses of seniors’ sensory and cognitive responses and user behavior.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ontent culture technology lending itself to the cultural enjoyment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development of culture technology and proposes four items of converged content technology fit for use by the senior generation by identifying relevant technological trends in Korea and abroad before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experts. First, based on the technologic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eniors’ cognitive response data (i.e. physical and emotional traits including memory, concentration, judgment and fitness improvement), a rating technology is proposed. Then, based on the proposed rating technology, a technology for comparative analysis of seniors’ cognitive response profile patterns is proposed. In addition, based on the UX/UI technology pertaining to seniors’ cognitive responses, a curation industry and a content service technology are proposed. The proposed technologies are conducive to setting up the relevant direction. The present findings underscore the following viability. Above all, on the grounds that the need for personalized converged contents involv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responses grows in the senior generation, and that responsive design technology is urgently required not only at hardware and software UI/UX levels, the proposed technologies are worth considering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oriented practical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지역 아이덴티티를 이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 모델에 대한 연구

        남현우(Hyun Woo Nam),이재익(Jae Ik Lee),오연주(Yeon Ju Oh),임영순(Young Soon 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3

        With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great efforts are being exerted to find out the next-generation growth engine which can be a new local growth engine and power. Such a local next-generation growth engine is to develop an image to identify locality along with cultural goods. However, most regions in Korea practically fail to develop systematized cultural tourism goods due to unsystematic management of local cultural resources, lack of professionals, poor local finances, absence of methodology for local development, and so on. This study suggested a system to evaluate local cultural resources in order to develop cultural tourism goods using local identity. The evaluation system was built with five items: prospect as a basis of the future for a region, economic efficiency for economic values of a region, originality to compare with other regions, contents for uniqueness, identity, and symbols of a region, and comprehensiveness for industrialization. This evaluation system allowed to draw tourism culture resources representative of a region and derive meta-key words of originality and identity of the region on the basis of the resources. With the meta-key words, a model was suggested to develop local cultural tourism goods which could develop an image to present local identity and draw local color and a concept of cultural tourism goods. This will be a basic study as a growth engine which can be a basis of developing a local brand image, using emotional marketing for cultural tourism goods, generating local values, and viewing the local future vision.

      • KCI등재

        자동차 IT 전장 분야 품질 혁신을 위한 식스 시그마 개선 방법의 적용

        남현우(Hyun Woo Nam),고승곤(Seoung Gon Ko)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4

        최근 태동한 국내 자동차 IT 전장 사업의 성공 전략은 국제 협력 기구의 자동차 부품 인증 시스템의 올바른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은 1980년대부터 개별 부품 인증 제도를 정착시키고 1990년대 후반 국제 통합 부품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후발 주자인 국내 업체들은 이러한 인증 제도에 신속히 대응을 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대표적인 국제 인증 표준인 ISO/TS 16949와 ISO 26262의 구성과 특징 그리고 공통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인증 체계의 핵심 단계에 적용 가능한 식스 시그마 프로세스 개선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는 곧 전개될 전기 그리고 자율 주행 자동차 분야에서 국내 자동차 IT 전장 사업의 품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cess strategy in emerging automobile IT industry must start from the clear understanding of authentication system for automobile parts, established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organizations. Major automobile producing countries established authentication systems for individual parts in 1980s. Moreover, they were operating internationally integrated part authentication systems by late 1990s. Consequently, domestic producers, who are late entrants in the international automobile market, need innovative methods to properly and urgently react to already well-established authentication systems. The following paper will identify and outline Six Sigma improvement process that can be applied within the industry. In order to do so, the paper will compare and contrast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ISO/TS 16949 and ISO 26262, established authentication standards in the international automobile industry. Such approach will enhance domestic producer’s competitive advantages in surging areas of electric and/or self-driving automobiles. Domestic corporations who entered the field of automobile IT industry will be able to further advance their competitiveness by combining quality innovation from home appliance industry and newly acquired improvement process.

      • KCI등재

        강화도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한 왕골디자인 연구

        남현우(Hyun Woo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왕골공예품은 강화도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왕실에서 주로 사용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공예품이며, 외국과의 중요한 교역품으로 활용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공예품이다. 그러나 외국산 왕골 및 유사성 제품의 다량 수입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홍보부족으로 인한 왕골공예품의 우수성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고, 유통경로가 제한되고 있으며, 왕골 재배 면적도 현격히 감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왕골공예 장인의 솜씨와 현대디자인이 접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자리(평면), 방석(평면), 삼합(입체)의 왕골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강화군의 자연 환경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고, 강화 왕골공예인들의 요구 및 각 아이템별 공예품의 여건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강화의 문화원형을 자연, 세계유산, 호국, 생활의 네가지로 구분하여 왕골디자인 아이템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왕골공예품 발전전략인, 왕골공예 브랜드 개발 및 육성, 왕골공예 보존 사업 강화. 왕골공예 주무부서 체계화, 왕골의 생산/유통/연구 기반 마련, 지속적인 왕골공예 교육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대되는 성과는 왕골공예품 디자인 이미지 재구축를 위한 기초데이터 확보와 왕골생산 농가들의 수익확보를 통한 경제활성화를 도모할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왕골공예품 발전방안 기반을 마련하고, 왕골공예품 명품제품 개발과 공동브랜드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성립될 것으로 예측된다. The crafts made of wanggol were mainly used in royal palace of Corea and Joseon dynasties as special products representing Ganghwa-do with the recognized artistic value and folkcrafts were important trade goods with foreign countries representing the nation. The products made of foreign wanggol or massive import of similar products brings about the decrease of productivity, lack of publicity causes the drop of recognition on the product excellence, the distribution channels are restricted and the wanggol cultivation area is substantially reduced. In this research, we provide a foundation to connect the craftsmanship to modern design and design development models for Jari(flat), Bangseok(flat) and Samhap(3-dimensional).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natural environment, geograph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Ganghwa-gun and examined the demands of craftsman and conditions of the craftworks. Wanggol design items were provided in 4 categories of the cultural archetype of Ganghwa such as nature, world heritage, national defense and life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was suggested such as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e brand, reinforcement of preservation project, organizing the office of primary concern,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production/distribution/research and establishment of continuing education system. By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reestablishment of design image and revitalization of economy along with the farmhouse revenue. It is also anticipated to provide the development program, develop a masterpiece and guidelines for the co-brand of wanggol crafts.

      • KCI등재

        스킨 큐레이션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연구

        남현우(Nam, Hyun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뷰티테크 산업중에서 스킨과 관련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따른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논문의 방법은 문헌분석과 집단심층면접(FGI)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중에서 스킨 큐레이션에 사용되는 인공지능 학습 DB 구축에 필요한 접근 방법과 프로세스를 연구의 범위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스킨인공지능 학습 DB 구축을 수립하기 위해 3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국내외 인공지능 학습 DB의 현황과 뷰티 산업의 인공지능 개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개발의 방향성을 구축하였다. 둘째, 뷰티 산업에서 스킨 인공지능 학습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머신러닝의 확장된 CNN+RNN 알고리즘을 통해 접근을 제안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스킨 인공지능학습 DB 구축을 위한 VQA 데이터셋의 형태, 규모, 획득, 가공, 활용, 검증 등을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스킨 인공지능 학습 DB구축에 대한 방향성은 스킨 인공지능 딥러닝 개발에 활용 가능하며, 인공지능 산업적,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융합적 기여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raw directionalit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learning database related to skin in beauty tech industry.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s.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the approach methods and processes necessary to construct AI learning DB used in skin curation. Result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3 plans were suggested to construct AI learning DB for skin curation. First, current status of AI learning DB in Korea and abroad and AI development status in beauty industry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ality of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Second, in order to construct skin AI learning DB in beauty industry, an approach through extended CNN+RNN algorithm of machine learning was suggested. Third, directionality for form, size, acquisition, processing, utilization, and verification of VQA data set to construct skin AI learning DB was suggested. Directionality of skin AI learning DB draw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skin AI deep learning, and will make convergent contribution in terms of AI industry, economy, an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