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o.7신호망에서의 신호망관리시스템과 신호중계교환기간 접속 기능 구현

        남택용(Taekyong Nam),고병도(Byungdo Go),홍진표(Jinpyo Hong)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현대의 통신망은 다양하고 양질의 통신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망의 규모가 거대화되고 성능의 고속화, 서비스의 지능화 및 기능의 분산화 추세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망자원의 효율적인 운용과 관리를 위한 망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SDN과 IN 서비스 수행을 위해 신호정보의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No 7신호망의 주 구성 노드인 신호중계교환기(STP)와 신호망의 효율적인 운용관리를 위해 신호망의 감시 및 제어, 신호망 자원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망관리시스템(SIGNOS)의 접속을 위해 구현된 프로토콜 기능을 기술하였다. 운용메시지통신프로토콜(OMCP)은 TCP/IP및 BSD 소켓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파일 및 트랜잭션의 전송을 수행한다.

      • KCI등재

        인터넷에서의 유해 이미지 컨텐츠 등급 분류 기법

        남택용(Taek Yong Nam),정치윤(Chi Yoon Jeong),한치문(Chimoon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2 No.3

        본 논문은 인터넷 등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 이미지를 그 특징을 이용하여 무해, 선정, 유해(누드), 심한 유해(성인물)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의 등급으로 선별하기 위한 이미지 특징 추출 방법과 이미지 분류 기술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입력 이미지에서 유해 정보임을 인식하기 위한 피부 영역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노이즈를 줄이고 효과적으로 유해성 정도를 추출하기 위해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그 관심 영역 안에서만 특징을 정의하는 관심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4 종류의 등급으로 선별하기 위해 유해 이미지 분류 모델을 생성하는 다중 SVM 학습 기법과 생성된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타의 유해 등급을 분류하는 다중 SVM 분류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피부색 영역 이미지의 형태 정보와 피부색 비율 이미지의 색깔정보를 합하여 만든 피부색 가능성 분포 이미지를 제시하고, 이 피부색 가능성 분포 이미지를 축소하여 학습 과정에서 특징 분류를 위해 이용하는 이미지 특성 벡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해 이미지 등급 선별 기법을 적용한 실험 결과와 이미지의 유해 등급 분류에 대한 판별 성능을 평가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image feature extraction method and the image classification technique to select the harmful image flowed from the Internet by grade of image contents such as harmlessness, sex-appealing, harmfulness (nude), serious harmfulness (adult)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image. In this paper, we suggest skin area detection technique to recognize whether an input image is harmful or not. We also propose the ROI detection algorithm that establishes region of interest to reduce some noise and extracts harmful degree effectively and defin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ROI area inside. And this paper suggests the multiple-SVM training method that creates the image classification model to select as 4 types of class defined above. This paper presents the multiple-SVM classification algorithm that categorizes harmful grade of input data with suggested classification model. We suggest the skin likelihood image made of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skin area image and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skin ratio image specially. And we propose the image feature vector to use in the characteristic category at a course of training resizing the skin likelihood imag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experiment result, and proves the suitability of grading image using image feature classification algorithm.

      • 공통선 신호망을 위한 집중관리 방식의 설계

        남택용(Taekyong Nam),김미순(Misoon Kim),궁상환(Sanghwan Kung),이영희(Younghee Lee),홍진표(Jun Pyo Hong) 한국정보과학회 199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7 No.2

        The paper describes an operations system newly designed to establish the network management and provisioning functions for CCS(Common Channel Signaling) network, being currently deployed in Korea. SIGNOS(Signaling Network Operations System), which is a sort of centralized system to accommodate a number of SMX-Is(Signaling Message Exchange), so called STP, consistently monitors and maintains CCS network in the network wide view to assur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network In the paper, the system architecture and functions of SIGNOS are mainly concerned and, as a introductory remarks, the fundamental concepts of CCS network and its applicable areas referred to related CCITT recommendations are also mentioned.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기술

        남택용,장종수,손승원,Nam, T.Y.,Jang, J.S.,Sohn, S.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최근 IT 신성장 동력 기술 중의 하나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기술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람이나 물건의 상황과 주변 환경 등을 센싱하여 다양한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며, 또한 서비스 제공에 의해 개인 프라이버시에 관한 정보를 센싱 노드나 네트워크 상에서 주고 받게 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인 RFID 태그 시스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RFID의 특성을 기술하고, RFID 프라이버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들을 알아본다. 그리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블로커 태그를 이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을 제안하고, 결론과 함께 향후 연구 개발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등급에 따른 웹 유해 문서 분류 기술

        김영수,남택용,원동호,Kim, Yong-Soo,Nam, Taek-Yong,Won, Do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7

        The openness of the Web allows any user to access almost any type of information easily at any time and anywhere. However, with function of easy access for useful information, internet has dysfunctions of providing users with harmful contents indiscriminately. Some information, such as adult content, is not appropriate for all users, notably children. Additionally for adults, some contents included in abnormal porn sites can do ordinary people's mental health harm. In the meantime, since Internet is a worldwide open network it has a limit to regulate users providing harmful contents through each countrie's national laws or systems. Additionally it is not a desirable way of developing a certain system-specific classification technology for harmful contents, because internet users can contact with them in diverse way, for example, porn sites, harmful spams, or peer-to-peer networks, etc. Therefore, it is being emphasized to research and develop context-based core technologies for classifying harmful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text filter for blocking harmful texts of web documents using context-based technologies. 웹의 개방성은 사람들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끔 하였다. 하지만 인터넷은 유용한 정보의 손쉬운 활용이라는 순기능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통제를 필요로 하는 유해한 정보 역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역기능을 발생시키고 있다. 성인 컨텐츠 같은 정보들은 모든 사용자들, 특히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변태적인 성인 사이트들이 담고 있는 컨텐츠들은 성인들의 정신 건강에도 해를 미치게 된다. 한편,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개방망이므로 유해정보 제공자를 각국의 법적, 제도적 장치를 이용하여 규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유해 사이트, 유해성 스팸 메일, P2P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해 정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시스템에 특화된 유해정보 분류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유해정보의 내용 자체에 기반하여 유해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는 유해정보 판별 핵심 기술의 연구 및 개발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유해 웹 문서 텍스트 판별 시스템을 제시한다.

      • 정보보호시스템 공통평가기준 기술동향

        김광식,남택용,Kim, K.S.,Nam, T.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7 No.5

        이제 공통평가기준(CC)의 도입은 거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CC를 도입하기 위해 인증기관과 평가기관들이 도입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으나 개발자 입장에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CC를 고려하여 정보보호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기관 및 업체에서 개발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CC 관련 기술동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정보보호시스템 평가기준인 TCSEC과 ITSEC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국제간에 상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정보보호시스템 공통평가기준에 대해 CC 출현 배경, CC 표준 규격, PP와 ST 개발동향, CC의 최근 표준화동향 관점에서 살펴본다. 그리고,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개발자 입장에서 연구개발체계에 CC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CC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해 ICCC’2002를 통해 알게 된 내용을 위주로 살펴보고, 연구개발체계에 CC 도입시 개발자들이 고려해야 할 개발 보증 증거물들에 대해 살펴본다.

      • KCI등재

        신뢰성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정 보안 프레임워크

        이승민,남택용,손승원,한치문,Lee, Seung-Min,Nam, Taek-Yong,Sohn, Sung-Won,Han, Chi-M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0 No.6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있는 인터넷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보안기술로서 교정 보안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교정 보안 프레임워크는 외부의 공격이나, 침입, 취약성 등의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일정수준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교정 보안의 핵심개념은 복구와 개선 기술이다. 복구 기술은 네트워크?l 생존성 기술과 빠른 서비스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제어기술을 포함한다. 개선기술은 장애요인이 지속되거나 반복될 경우에 이를 방지하여 서비스의 완료성을 보장하는 기술로서 시스템 자체의 개선 방안과 취약성분석시스템, 망관리 시스템, 통합보안관리시스템 등과 같은 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적으로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단독 시스템 뿐만 아니라 대규모 네트워크에도 적용되어 네트워크의 생존성을 보장하고 신뢰성 있는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e propose a correction security framework as next generation security technology to provide secure and reliable Internet services. The framework guarantees durability of the services in spite of external attack, intrusion, vulnerability for fault tolerance, and network management technology that covers the set of techniques aimed at providing rapid service recovery. The improvement technology includes system itself improvement and synamic improvement preventing faults from being re-activated, in cooperation with other systems such as vulnerability anaysis system, NMS, ESM. It is expected that our framework will be applied to global networks as well as system alone, and be able to guarantee the network survivability and reliable Internet services.

      • 국제공동평가기준의 평가를 받기 위한 개발자 고려사항 분석

        김광식,남택용,손승원,박치항,Kim, K.S.,Nam, T.Y.,Sohn, S.W.,Park, C.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8 No.1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제품에 대한 국제공통평가기준인 CC(Common Criteria)의 적용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CC에서는 왜 보증등급에 대해 다루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답하고, CC에 대해 개발자들이 알아야할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기존 평가기준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CC 평가를 염두에두고 정보보호시스템 개발을 할 경우 고려해야 할 개발자 입장에서의 이슈들에 대해 정리하고 처리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품 평가를 위한 평가과정, 평가를 위해 개발자가 준비해야 하는 개발증거물들을 제시하고, CC에 따른 제품 평가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