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한인 통일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미주동포를 중심으로

        남성욱 ( Sung-wook Nam ),이현주,정유석,박용한,조평세,곽은경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1

        과거 1세대 재외동포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정착하는데 급급하였으나 이제 2∼3세대에서는 거주국의 주류사회에 진출함으로써 이들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한국경제가 발전하면서 재외동포들의 자긍심과 조국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재외동포들이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의 주요한 현장인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및 유럽 등지에서 통일의 전령사 역할을 한다는 것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역할을 분석했다. 또한 재외동포들을 본국과 긴밀하게 연계시키는 글로벌 한인 네트워크의 형성방안과 새로운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본국의 통일 정책과 담론 형성에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미주 동포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대북, 남북관계 및 통일에 대한 역할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을 통계적으로 도출하였다. 미주동포들은 통일에 적극적인 관심과 역할을 표명했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통일 여론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재외동포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재외동포의 통일 역할과 활동 방향성을 모색하는 작업은 주재국의 여론 선도층을 설득하고 우리의 입장을 대변하여 한반도 평화통일의 국제적 합의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Overseas Koreans and their advancement into their resident countries`` mainstream communities can become an important human capital for enhancing Korea``s political and diplomatic status. In particular, overseas Koreans are increasingly active politically within their resident countries, and this not only contributes to promoting Koreans`` rights but also to functioning as a useful diplomatic intermediary between Korea and foreign stat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analytical backgrounds of overseas Koreans playing contributory roles in Korean unification. Also, this research proposes a global Korean network which closely links overseas Koreans with their home country while seeking to suggest their widening roles in Korea``s unification and overseas opinion 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conducted a survey of one thousand Kore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to statistically determine their perception of North Korea,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Koreans living in the US are actively and expressively interested in their roles in Korean unification, an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Global Korean network will become a central pivot in forming international sentiments positive to Korean unific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overseas Koreans on unification to explore their respective roles in advocating for Korea``s position will contribute to identifying policy implications and in turn induce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 KCI등재

        북한의 화장품 정책과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64개 기초 및 색조화장품을 중심으로

        남성욱 ( Nam Sung-wook ),오준철 ( Oh Jun-chol ),채수란 ( Chae Su-lan ),이가영 ( Lee Ga-young ),배진 ( Bae Jin ) 평화문제연구소 2017 統一問題硏究 Vol.29 No.2

        현재 북한에서 생산하고 있는 화장품을 직접 입수하여 내용물의 전성분 분석을 통해 북한의 화학공업 현황은 물론 인민의 소비생활에 대한 ‘민낯’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북한의 화장품에 대한 선행연구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80개의 북한 화장품 품목 중에서 64개의 북한 화장품을 현지에서 입수하여 제조기술 측면에서 분석했다. 둘째, 본 연구는 북한의 화장품 생산정책과 지도자의 관심을 분석했다. 셋째, 주민들의 생산품에 대한 품질과 북한 화장품의 사용 실태를 교차적으로 점검하기 위하여 200명의 탈북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했다. 성분분석 결과 북한 화장품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북한 화장품에는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성분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전체 64개의 분석대상 품목 중 7개(11%) 제품에서 유해성 이슈가 존재하는 성분이 검출되었다. 둘째, 제품의 성분표기에 기입되지 않은 성분이 포함되었다. 전체 64개의 분석대상 품목 중 17개(27%) 제품에서 성분표기에 기입되어있지 않은 성분이 검출되었다. 셋째, 제품의 성분표기에 기입되어 있는 성분이 실제로는 누락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전체 64개의 분석대상 품목 중 19개(30%) 제품에서 제품의 성분표기에 기입되어 있는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북한 화장품이 입수된 시점에서의 북한의 화장품 생산 기술은 기초 화장품은 국내의 1990년대, 색조화장품은 1980년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김정은의 반복된 현지지도와 독려에 따라 북한 화장품 업계는 자동화·무인화 공정을 강화하고 원료의 국산화를 도모하는 등 경쟁력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y looking into the ingredients of cosmetics and their containers produced in DPRK, this research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hemical engineering industry, as well as the living standards of the people in the country. Studies on North Korean cometic have not been previously researched. 64 products were procured for ingredient analysis of this study. The analysis were done from September 2016 to December 2016 at Amorepacific R&D center which is the market leading company on cosmetic filed in Korea. Meantim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number of 167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examine usage of North Korean cosmetic products in North Korea. The analysis indicates three points. First, some of North Korean cosmetic products contain harmful ingredients. These ingredients were found in 7 out of 64 products.(11%). Second, some products contain ingredients that are missing from ingredient information. 17 out of 64 products(27%) were detected for containing ingredients that were not mentioned on ingredient information (chart). Finally, some of ingredients mentioned in the ingredient information were not found. 19 out of 64 products(30%) did not contain major ingredients that were written on the ingredient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current level of development in cosmetic production in DPRK is similar to that level of Republic of Korea during 1970s and 80s. With Kim Jong-un's repetitive on site instructions and encouragement, North Korean cosmetic industry is seeking to improve its production line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 KCI등재

        북한의 급변사태 이후 효율적인 안정화와 통합전략: 미군의 안정화작전 교훈을 중심으로

        남성욱 ( Sung Wook Nam ),박용한 ( Yong Han Park ),조평세 ( Pyung Se Ch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북한의 급변사태 이후 적용가능 한 효율적인 안정화와 통합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군이 수행한 안정화작전의 경험에서 교훈을 도출하고자 했다.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동북아의 지정학적 구조 및 남북한 특수성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위기로 확산되거나 또는 한반도 통합의 기회를 촉발할 수도 있다. 다만 주변국 개입과 불안정 요인의 잔존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다층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효과적인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안정화 전략은 대내외의 군사, 외교 그리고 행정 분야의 다양한 요인을 포괄해야 한다. 한국의 효율적인 안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안정화작전의 유사한 사례와 비교하여 북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추론할 수 있다. 미군의 안정화사례에서 도출된 안정화 변화 원인과 한반도 안정화의 결정요인을 비교 및 고찰하여 안정화 전략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seeks to put forward an effective stabilization and integration strategy applicable after a North Korean contingency. Lessons were drawn from the US military’s stabilization operations. In the event of a North Korean contingency, northeast Asian geopolitics and the particular inter-Korean relations will cause regional crises and also trigger an opportunity for Korean peninsula’s reintegration. Various risks such as third party intervention and internal insurgencies are expected to be faced. South Korea must therefore plan an effective strategy to tackle the various challenges. Stabilization strategy must include the military, diplomatic and administrative considerations. For this purpose, previous stabilization operations can be studied and relevant lessons drawn for North Korea. Factors of stabilization in the US military’s stabilization operations and determinants of Korean peninsula’s stabilization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o put forward a stabilization strategy for North Korea.

      • KCI등재

        Detente in the Early 70s and Improvement of North-South Korean Relations

        Sung-wook, Nam(남성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3 No.-

        1970년대초 남북관계는 분단 4반기세 만에 변화의 시기를 맞게 되었다. 4.19 후 각계의 급진전한 통일논의는 5.16 혁명으로 일체 불법화되었다. 박정희 정권의 제3공화국은 1960년대 기간 동안 이승만 정권의 대북정책과 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남북한의 동시 유엔 가입을 통한 통일모색론과 비정치적 분야의 남북접촉도 불법화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에 걸쳐 남북한 사이에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 국내외에서 발생하였다. 우선 변화의 신호는 국제사회의 동․서 테탕트였다. 국제사회에서 강대국간의 역학관계의 변화는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되는 변화를 야기하였다. 미․소 양국은 이미 1960년대를 통해서 대결의 한계를 느끼고 긴장 완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미국은 월남전 개입의 실패로 대외정책에 있어서 일대전환의 시기가 임박했다고 판단했다. 미국은 최소한 월남전의 종식과 아시아에 있어 자국의 영향력 감소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정하였으며 이를 닉슨독트린으로 정책화시켰다. 남북관계도 국력의 변화가 감지되면서 지도자간에 일단 대화의 문을 열어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제기되었다. 북한은 미국과 소련, 미국과 중국간 데탕트는 소련과 중국이 미국과 대결 구도를 포기한 것으로 자신의 자국의 안보를 책임지는 상황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남한 역시 유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고 분석하였다. 닉슨독트린은 아시아에서 미국이 철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한국에게는 미국의 대한(對韓) 군사공약에 커다란 의문을 던지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국제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남북한이 대화에 의한 관계 재조정에 들어선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또한 동서 데탕트에 의해 동서독이 급격하게 공존 및 공영관계로 진입하면서 자본주의 체제와 공산주의 체제가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에 따라 남북한도 적대적 대치에서 적대적 협상관계로 전환할 수 있다는 이론이 성립되었다. 1970년대 남북대화가 개시된 경위는 한반도 문제가 국제적 사안이자 남북한 국내안건이라는 사실을 인식시켜 준다. 이러한 경험과 교훈은 향후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국제변수의 중요성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7․4 공동성명 이후 데탕트가 퇴조하고 남북한 공히 체제경쟁을 통해 상대방을 흡수하려는 시도를 중단하지 않음에 따라 남북대화가 한계에 부딪친 상황을 고려할 때 국제적 외부 환경이 중요함과 동시에 이들 요인이 국내 변수와 연계되어야 남북한 대화의 성과가 극대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2005년 한반도 북핵 사태와 남북대화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In the early 1970s,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nderwent great changes more than two decades after the national division in 1945. An important change was made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significant enough to force the two Koreas to correct their hostile policies: détente between the East and West Germany. The rapid transition into détente and the following peaceful coexistence of communism and capitalism increased the potential that unfriendly negotiations could replace the hostile confron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said the political needs of the superpowers including the U.S led North and South Korea to take conciliatory approaches to each other in the 1970s. Of course, it was also in the Korean governments’ interest. However, what brought such a change were not Korean nationalism but the requests and changes of the powerful countries. Talks and Dialogu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which were helped by global détente in the early 1970s, eased military confrontation 18 years after the Korean War and laid the groundwork for further negotiation on inter-Korean issues. The North and the South can draw an important lesson from that experience: internationa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try to solve inter-Korean issues.

      • KCI등재후보

        북한의 수산업 현황과 효율적인 남북협력 방안

        남성욱 ( Sung Wook Nam ) 북한연구학회 2006 北韓硏究學會報 Vol.10 No.1

        본 연구는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 수산업의 실상을 각종 자료와 중국의 불업조업 실태 등을 통해서 가능한 정확하게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수산분야는 남북 양측이 복잡한 정치적 고려를 하지 않고 협력을 통해서 상생(win-win)할 수 있는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건들 중에 하나가 북측이 남측과의 협력을 하더라도 자본주의 사상의 오염 가능성이 비교적 적다는 것이다. 협력의 장소가 연안 해안이나 공해상인 만큼 남측 인력이 북측 인력과 접촉하는 경우가 여타 분야에 비해 덜 빈번하다. 다만 수산분야는 서해와 동해상의 해상경계선을 관할하는 군사회담과 밀접하게 연계된 것은 수산협력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산협력이 남북경제협력이 유망한 분야로서 적극적인 추진되기 위해서는 군사회담과의 분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field of fishery has a condition that North and South Korea can make a score through cooperation, having seriously no consideration for political situation between two-Koreas. One of the conditions is the fact that the human encounter between two-Koreas can be minimized since the place of cooperation is the open sea. South Korea invest vessel and a fishing equipment, and North Korea provide sea near border line for fishing. The fishery of North Korea is almost devastated except fishing in near sea since the difficult economy can`t provide fuel, ship and fishing instrument with fishermen. The illegal fishery of China is rampant in the territorial seas of North Korea, crossing over its border. The fishery of South Korea also has been a serious condition because of excessive fishing, pollution of sea, and fishery agreement with China and Japan. It is inevitable that two Koreas have to overcome their serious situations of fishery through cooperation.

      • 양방향 원격검침 시스템을 위한 저전력 M2M 데이터 송수신 기법

        남성욱 ( Sung-wook Nam ),황광일 ( Kwang-il Hwang ),최석준 ( Seok-jun Choi ),강석락 ( Seok-rak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원격 검침 시스템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줄이고 실시간 유지보수를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M2M 데이터 송수신 기법을 제안하였다. 명령에 따른 수행시간을 예측하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에서 CDMA 연결 해제 및 Sleep 전환을 탄력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류소모를 최소화 하였으며, 근 실시간 메시지를 이용한 양방향 M2M 기법을 실현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시스템에 비해 전류소모가 약 17 배 감소하였고, 근 실시간 명령 요청에 대한 빠른 응답을 통해 기존의 단점을 보완한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 하였다.

      • KCI등재

        북한 철광석 개발 현황과 효율적인 남북한 협력방안

        남성욱 ( Sung Wook Nam ) 평화문제연구소 2014 統一問題硏究 Vol.26 No.2

        한국은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철강기업들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철광석의 자주개발률은 2011년 15%로, 국내 철강산업의 기술력을 고려할 때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최근 중국업체들의 진출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남한이 북한으로부터 철광석을 수입할 수 있다면 철강산업의 소모적 비용을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북한의 경우 철광산 개발에 필요한 기술 미비와 인프라의 취약으로 미개발 상태인 가용자원을 활용함으로써 경제난을 타개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한 철강 협력은 자원 개발의 특성상 인프라 구축에 소요되는 고정 투자비용의 경제성 문제와 남북관계라는 정치적 문제의 불확실·불안정성으로 성공적인 협력 사례를 만들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철광석의 생산 현황과 이를 이용하려는 남한의 입장을 파악한다. 이를 토대로 북한 철광석을 도입할 수 있는 실질적인 남북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정부가 지원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어, 북한 김책제철소의 현대화를 의미하는 ‘제2 상하이바오강 모델’을 제시한다. 남한의 첨단 제철 시설과 북한의 풍부한 매장량이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유무상통의 원리와 비교우위를 극대화하는 효율적인 남북협력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바람직한 남북협력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중국의 성공적 제철회사인 상하이바오강의 사례를 분석하여, 북한의 김책제철소에 적용하고자 한다. 협력의 단계별로 주체, 활동, 지원 방법, 물류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각종 법제적 장치를 검토하여 거시적 차원에서 협력방안을 구상한다. North Korea``s steel production facilities are very obsolete and timeworn, causing their productivity to fall greatly since 1990s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South Korea has made efforts to produce high-quality steel since 1973 when POSCO was constructed. Although South Korea is little endowed with raw material like iron ore, it has imported raw materials and used the skilled labor and high-tech to reprocess and export the steel products. The steel industry acts as an engine of growth for automobile, ship-building and electronic industries. However, South Korea has recently suffered from three kinds of difficulties in steel industry since 2000s, like the global decrease of demand on steel, a increasing barrier of iron ore security and growing import of Chinese steel products. Without the solution to such problems, South Korean steel industry can not survive in the era of world wide competition to secure safely raw materials and export the steel projects. The unique breakthrough of such obstacles will be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in the near future. Of course, it will not be easy for two Koreas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of steel industry without the political reconciliation of Korean peninsula lik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Even though there have recently been some troubles and conflicts between both Koreas, while South Korea has intensive technologies and capitals accumulated for 4 decades, North Korea has huge and rich natural resources like Musan iron mine, one of the biggest strip iron mine in East Asia. Both Koreas should enjoy a positive sum benefit from a viewpoint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benchmark the model of Shanghai Baogang steel project from 1980 to 2000. This results of cooperation will be concrete products of Unification Bonanza expressed in the New Year’s address by President Park Gun Hae in January 2014.

      • KCI등재

        김정일 및 김정은 집권 시기별 북한 대외 정세 인식 변화 분석 : 노동신문 월간국제정세개관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박새암 ( Park Sae Am ),남성욱 ( Nam Sung Wook ) 평화문제연구소 2023 統一問題硏究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대외 정세 인식과 관련해 북한이 내부적으로 형성하는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대외 인식 혹은 태도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대외 정세 인식은 대외정책의 수립과 추진의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 대외정책 변화 양상의 분석을 위한 단초를 제공해 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4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보도된 『노동신문』의 기사 「월간국제정세개관」을 분석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북한의 대외 정세 인식을 김정일, 김정은 시기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대외 정세 인식과 정책방향의 상관관계와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해 김정일 시기 북한의 대외 정세 인식은 한·미·일 연합훈련에 대한 비난, 미국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 공격 규탄, 반미 연대 결속, 이란 핵문제 옹호와 중동문제 비난으로 이루어졌으며, 김정은 시기는 미국의 테러 지원국 재지정에 대한 비난, 사드 배치에 대한 미국 비난, 이란 핵문제 옹호와 중동문제 비난, 자위적 군사력 강화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김정일 시기부터 김정은 시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국제정세의 변화 가운데서도 미국에 대한 북한의 적대의식은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에 대한 북한의 적대의식은 시기와 정세와 무관하게 지속되고 있는 대미 비난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한편, 김정일 시기에는 반미의식을 토대로 국제사회에서의 반미 연대를 적극적으로 주창하며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을 지양하던 양상과 달리 김정은 시기에 들어서는 국제연대보다는 국제정세를 활용하여 핵과 미사일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국방력 강화를 적극 추구하는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North Korea's external perception or attitude by analyzing the discourse formed internally by North Korea in relation to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external situation. The perception of the external situation provides the basis for the analysis of changes in foreign policy in that it i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foreign policy.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s external situation was analyzed by using topic modeling for the analysis of the monthly international affairs Overview of the Rodong Sinmun, which was reported from July 1994 to September 2019.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period, and based on this, the correlation between North Korea's perception of external situations and policy direction and its changes were examin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external situation during the Kim Jong-il period consisted of criticism of South Korea-U.S. and Japan joint attacks on Iraq, anti-American solidarity, Iran's re-designation of a state sponsor of terrori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North Korea's hostile consciousness toward the United States continued among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from the Kim Jong-il period to the Kim Jong-un period. North Korea's hostility toward the U.S. is evident in the ongoing criticism of the U.S. regardless of the timing and situation.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Kim Jong-il era, which actively advocated anti-American solidar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voided isol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ased on anti-American consciousness, it actively sought to strengthen its defense power centered on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