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경력정체(career plateau), 경력성장기회, 직무도전성 및 경력정체성 (career identity) 간의 구조적 관계

        남교민,송지훈,김춘주,박은실,주홍주,김지인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4 평생교육 · HRD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구조적 경력정체, 내용적 경력정체, 경력성장기회, 직무도전성 및 경력정체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일반 기업체에 종사하는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49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SPSS 25.0과 AMOS 21.0 등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경력정체, 내용적 경력정체와 경력성장기회, 직무도전성 및 경력정체성의 유의한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내용적 경력정체와 경력성장기회, 내용적 경력정체와 직무도전성, 직무도전성과 경력정체성, 경력성장기회와 경력정체성 사이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구조적 경력정체와 경력정체성의 관계에서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 내용적 경력정체와 경력정체성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와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경력정체 유형에 따른 경력정체성 향상을 위한 조직의 경력개발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uctural career plateau, content career plateau, career growth opportunity, job challenge and career identity in organizational employee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n AMOS 21.0, the study analyzed responses from 349 employee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pecifically, direct effects were observed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growth opportunity, along with content career plateau and job challenge, job challenge and career identity, career growth opportunity and career identity.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hallenge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oth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identity, and between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career identit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as observ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identity.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study further discuss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교수역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A대학교를 중심으로-

        남교민,장유진,오서경,송지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 교수자들의 교수역량 수준별 집단 유형을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대한 개인 특성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자 4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여 328부의 데이터를수집하였으며, 표준화 점수(Z-score)를 활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302부를 잠재프로파일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교수역량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이도출되었고, 전문성 발달 단계를 참고하여 ‘적응형’, ‘성장형’, ‘유능형’, ‘숙달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개인 특성(성별, 계열, 경력)은 교수역량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지속성 있는 교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원은 교수역량의 적응형 집단보다 숙달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프로그램 참여 후 적용한 교원은 적응형, 성장형, 유능형 집단보다 숙달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 차원에서 집단 유형별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해주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가 프로그램 참여 내용을 실제 수업 현장에 반영하도록 권장할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계획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남교민(Nam, Kyo Min),노윤정(Ro, Yun Jeong),김민영(Kim, Min Young),김동희(Kim, Dong Hee),송지훈(Song, Ji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용인 소재 4년제 대학생 345명에게 2020년 10월 28일~11월 30일 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61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했다.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연구모형에 따른 변수 간 실증분석을 위해 Hayes(2017)가 제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계획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의 5가지 하위 요인별 매개효과 분석 실시한 결과 정서적 적응을 제외한 학업적 적응, 신체적 적응, 사회적 적응 그리고 대학 만족도 요인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중단계획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여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심리자본의 높고 낮은 수준에 따라 다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계획의 부적 관계를 대학생활적응이 매개한다는 것과 학습자의 특질인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활 변화의 영향을 고려해 학교차원의 학업중단계획을 관리할 수 있는 학생의 학업적, 심리적 적응을 위한 통합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Learning flow, and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A survey of 345 university students in Yongin was conducted and 161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through SPSS 21.0 and AMOS 21.0. PROCESS Macro presented by Hayes (2017)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learning flow and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for each sub-factor was also confirm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oes not appear.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found significant.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we not only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college students’ drop-out planning but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student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for the college to give integrated assistance for academic and emotional adjustment of students to prevent dropout planning considering the changes in college life through the impact of COVID-19.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수정된 IPA를 활용한 대학생활만족도-중요도 분석: L 대학을 중심으로

        남교민(Kyomin Nam),김동희(Donghee Kim),김민영(Minyoung Kim),노윤정(Yunjeong Ro),송지훈(Jihoon So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의 특수한 상황에서 교육수요자인 대학생들의 관점에서 대학생활만족도를 파악하여 어떤 영역에 우선 투자하고, 유지 강화할지에 대한 검토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소규모 L 대학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만족도-중요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Deng(2007)이 제시한 수정된 IPA 분석 절차를 적용하였고,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상황에서 교육 영역 중 수업내용과 방법은 집중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학협력 영역 중 산학연계 프로그램 및 취업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이 요구에 비해 지원이 부족하여,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영역 중 수업 시스템 및 학습 환경에 대한 충분한 지원이 제공되었으며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구성원, 사회봉사, 국제화, 소통문화 4개의 영역에서 대인관계 형성과 유지, 봉사와 학점교류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 대학 교육의 질 제고에 있어 집중 노력, 유지 강화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life and what to identify which areas need investment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educational end-users in the COVID-19 situation. For this purpose, 130 students from small-sized L-Colleg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for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importance. The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Deng"s (2007) revised IPA analysis with SPSS.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with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e content and methods of less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e “concentrate further” area. Second, a specialized field management is needed because of the lack of support for both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programs and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compared to the students’ needs. Third, the result shown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confirmed that sufficient support for the class system and learning environment is being provided, which then requires continuous maintenance. Fourth, among the areas of “keep up the good work”, it was found that college members need to establish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four areas of social service, internationalization, and communication culture, as well as continuous maintenance of service and unit exchang. This study suggests a continuous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plan to improve the L-college’s education quality through these results.

      • KCI등재

        고몰입작업시스템과 정서적 소진: 개인 및 상사의 일중독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구조적 관계

        주재홍,남교민,박민정,원용호,송지훈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finding the direction for effective institutional operations to curb workaholism and emotional exhaustion through HCWS and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for providing employee psychological safety through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upervisor’s role to alleviat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s employee trait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our research, we collected the 440 employee’s responses through the online survey and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CWS, subordinate and supervisor workaholism,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CWS was insignificantly related to subordinate workaholism and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supervisor workaholism. Second, subordinate workahol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but supervisor workaholism was negatively was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Third, subordinate workaholism onl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CWS and emotional exhaustion. Fourth,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s a significantly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HCWS and emotional exhaustion via subordinate and supervisor workaholism. Finally, we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our findings and present our research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고성과 중심의 제도적 시행의 부정적 측면으로 구성원의 일중독 행동 및 정서적 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제도 시행을 위한 방향성 모색 및 상사의 자기성찰 및 역할 개선의 중요성과 개인의 기질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시키기 위한 상사와 조직 차원에서 구성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국내 직장인 440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몰입작업시스템, 상사 및 개인의 일중독, 개인의 정서적 소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몰입작업시스템은 상사의 일중독과 정적 관계, 정서적 소진과 부적 관계이나 개인의 일중독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개인의 일중독과 정서적 소진과는 정적 관계이나 상사의 일중독과 정서적 소진은 부적 관계로 검증되었다. 셋째, 고몰입작업시스템과 정서적 소진과의 관계에 대하여 개인의 일중독은 매개하였으나, 상사의 일중독은 매개하지 못했다. 넷째, 정서적 소진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의 일중독을 통한 관계에서 고몰입작업시스템과의 조절된 매개효과, 상사의 일중독을 통한 관계에서 상사의 일중독과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경력정체성(Career Identity)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국내·외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김춘주 ( Kim Chunju ),남교민 ( Nam Kyomin ),박은실 ( Park Eunsil ),송지훈 ( Song Jiho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경력정체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HRD 관점에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력정체성을 연구한 국내·외 논문 46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력정체성 연구 시기는 국내와 국외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경력정체성 연구 대상은 기업체 종사자, 전문가 순서로 나타나 경력정체성이 조직에서 직무를 수행하고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력정체성 측정 도구는 인지와 행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경력 목표와 방향이 다른 대상자에게 같은 측정 도구를 사용하고 있어 개념과 연구 대상에 맞는 측정 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력정체성을 중심으로 선행변수, 결과변수, 매개/조절 변수가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정(+)적인 관련이 있는 변수는 직무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정체성 연구 동향을 개괄하고 경력정체성 발달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RD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focusing on Korea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career identity. To meet the purpose, 46 Korea and international articles that studied career identity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iod of career identity research targeting office workers in Korea and abroad. Second, the subjects of the career identity study appeared in the order of corporate workers, and experts, and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forming duties in organizations and growing as experts. Third, career identity measurement tools focus on cognition and behavior, and since the same measurement tool is used for subjects with different career goals and direction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concepts and research subjects. Fourt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ntecedent variables, outcome variables, and mediating/regulating variables focusing on career ident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ly related variables can be used as job resourc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rends in career identity research were outlined,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identity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

        장유진(Youjin Jang),남교민(Kyomin Nam),박현지(Hyeonji Park),송지훈(Ji Hoon So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변화하는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대학에서도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생 만족도 및 요구도를 확인하여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 진행을 위해 K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1,160개의 응답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첫째,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수정된 IPA로 분석한 결과, 단계별⋅수준별 교과목 구성의 만족도와 상대적 중요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융복합, 의사소통, 정보기술활용, 진로탐색 및 경력개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개방형 응답의 주제분석을 통해 스포츠, 공학, 외국어, 심리학, 금융경제 관련 주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창의적 실행능력, 개방적 탐구심, 시민의식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시 교수자, 학과, 대학에서 고려해야 하는 교과목 주제, 교육과정 관련 교육, 중장기 계획 및 로드맵 수립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society changes in its demands of human resources with various competencies, the effort for improving th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is provided by centering the curriculum on a college gene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college students with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list the implication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uch a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tudents at K University using an online survey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involving the responses of 1,160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among student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revised IPA analysis, both the satisfac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urse composition in both stage and level were hig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demand for convergent, communication,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velopment domains were high. Also, we confirmed through open questions with thematic analysis that the demand for sports, engineering, foreign language, psychology, financial and economy-related subjects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demand for creative execution competency, open-minded inquiry, and citizenship was high.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significant implications on what the faculty, the department and the college itself should consider in designing and operating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one that provides curriculum-related education and one that outlines a mid to long-term road map.

      • KCI등재

        마키아벨리즘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관계: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정치지각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연구

        박민정 ( Park Minjeong ),남교민 ( Nam Kyomin ),송지훈 ( Song Ji Ho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machiavellism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rough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To achieve the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288 office workers, and 275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chiavellism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as confirmed. Second, job insecu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avellism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ir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hav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etween machiavellism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rough job insecur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ol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alleviat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 걷기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경로 추천 어플리케이션 제안

        김대현(Daehyun Kim),남교민(Gyomin Nam),심가은(Gaeun Sim),인초윤(Choyun In),한인수(Insoo Han),정원영(Won Young Chung),이재길(Jae-gil Lee)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한국의 장애인 인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 데에 반해, 장애인들의 이동을 간편하게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하여 휠체어를 전반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경로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특히 본 서비스는 이용자가 필터링 기능을 선 적용하여 ‘단일 경로를 추천받느냐’와 일반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방식으로 경로 추천을 먼저 받은 후, 필터링을 후에 적용하여 ‘여러 경로를 확인하느냐’의 차이를 두었다. 전자는 ‘선 필터링’, 후자는 ‘후 필터링’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 필터링 기능은 휠체어 이용자들에게 친화적인, 맞춤형 필터링 기능으로 자리잡아 그들에게 사용성이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후 필터링 기능은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인들도 사용해 볼 수 있게 진입 장벽이 완화되어 설계되었기에, 그들이 경험해봄으로써 휠체어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심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서비스 제안으로 인해 우선 사회적인 갈등 문제가 완화될 것, 그리고 기술적 측면에서 본 서비스 이용자들의 사용성이 증진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서비스를 직접 개발한 뒤,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교 역사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길말선(Kil, MalSun),남교민(Kil, MalSun),김대현(Kim, Dae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에서는 2009 역사과 성취기준에 대해 현장의 중학교 역사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6명의 역사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6년 1월부터 4월까지 3~5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한 뒤 면담결과를 전사하고 기록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09 역사과 성취기준의 이해 측면에서는, 역사과 교사들은 자신들이 늘 가르쳐오던 학습내용으로 익숙하게 받아들여 성취기준에 대해서 크게 의미를 두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활용의 측면에서는 수업과 평가에서 업무에 필요한 문서 작성 위주의 형식적인 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교과서’가 기준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었다.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교사, 교육과정, 문화 및 환경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공감의 범위를 확장시켜야 한다. 둘째, 성취기준의 진술형태를 각각의 역할에 맞게 보다 교사 친화적으로 진술 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수업에 대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교사문화가 형성되도록 학교와 제도 개선이 요구 된다. This study analyzes and states implications on how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understand the 2009 historic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how they use in the actual classe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ith 6 history teachers in 3 to 5 tim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2009 historical department’s achievement standards, teachers do not put a lot of meaning as they are accustomed to the education content. In terms of utilizing, the standard has not been properly used in either for evaluation or teaching. Also, the standard has been used just for the formal documentations and teachers tend to do textbook-teaching.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factors such as teachers, curriculum, culture and environment have great influence. Following 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sympathy on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extended. Second, the formation should be in teachers-friendly way rather than in formal documentation way. Third, school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a way which cultivates the cultures to cooperate between teachers regarding the classes’ methods and contents by reducing the non-teaching work l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