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휘의 연결 방식과 패턴에 대한 연구

        나은미 이중언어학회 2007 이중언어학 Vol.34 No.-

        Na Eun-mi. 2006. 6. 30. A Study on Connection Manners and Patterns in Lexicon. Bilingual Research 34, 107-130. This study is to discuss connection manners and patterns in lexicon under the viewpoint of connectionism. In chapter 2, the concepts for discussion are redefined. Connection is used to refer to the existing manner of a language unit, List, to refer to the phenomenon remembered as a language unit in lexicon. listeme is a concept including degrees. In chapter 3, semantic pattern, categorical pattern, patten of syllabic number, sound pattern are proposed. With the help of the viewpoint of connectionism, the unexpected increase of vocabulary on the specific age and relatively increased speed of vocabulary on the specific field are explained and the viewpoint of connectionism is based theoretically on the applied field like word-net.(Hansung Univerity)[Key words] 연결(connection), 어휘 강도(lexical strength), 어휘 연결(lexical connection), 의미 패턴(semantic pattern), 품사 패턴(categorical pattern), 음절수 패턴(patten of syllabic number), 소리 패턴(sound pattern).

      • KCI등재후보

        접미사의 존재론적 의미 분류-명사 접미사를 대상으로-

        나은미 한국어의미학회 2004 한국어 의미학 Vol.14 No.-

        Na, Eun-mi. 2004. The Ontological Meaning Classification of Suffix -based on Noun Suffix-. Korean Semantics, 14.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aning classification standard of derivational suffix, by which noun suffix is classified. The ontological classification standard based on the existence aspect of things is taken for the meaning classification standard. It is classified into <entities> and <mode>, the existence way of entities. And <entities> into the <concrete entities> and the <abstract entities>, the <concrete entities> into <persons> and <things>, <mode> into <event and state of things> and <relation>, <event and state of things> into <events> and <states>, and <relation> into <dimension> and <unit>.

      • KCI등재

        질문을 통한 <사고와 표현> 교육-영화 <가타카>를 대상으로-

        나은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1

        이 논문은 영화 <가타카>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만든 질문을 활용하여사고를 심화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탐색한 것이다. 질문을 활용한 방법은 깊이 있는 작품의 이해와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가능케 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만든 질문에 대해 답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 및 성찰적 사고를경험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영화 <가타카>를 감상한 후 빈센트의 위장 취업인 빌린 사다리의 정당성 여부에 대한 질문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논리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빈센트의 ‘빌린 사다리’ 행위가 정당한지, 그리고 영화 속사회가 정의로운 사회인지에 대해 논리적 사고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유전자 정보에 대한 차별 사회에서 자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와 같은 질문, 제롬의 자살 이유에 대한 질문 등으로 논리적 및 성찰적 사고를 경험하게 된다. 학생들은 스스로 만든 질문에 대해 답을 구성하는 과정과 질문 문제를 공유하고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 및 성찰적 사고를 경험할 기회를 갖게 된다. The paper explores how students experience logical and reflective thinking by using their own questions after seeing <Gattaca>. The method of using questions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film deeply and stimulates self-directed and active learning. Students can foster logic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answers to questions, and they are experiencing reflective thinking on problems of here. In this paper, I helped students experience logical thinking by discussing the validity of Vincent’s camouflaged career, the borrowed ladder. Students experience logical thinking about whether Vincent’s ‘borrowing ladder’ act is legitimate and whether the society in the film is a just society. Students also experience logical and reflective thinking by asking questions about discrimination against genetic information, students’ choices and the reason of Jerome’s suicide.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 logical and a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answers to self-made questions and sharing and discussing questions.

      • KCI등재

        영화 <겟 아웃> ‘함께 보기’를 통한 성찰 교육

        나은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3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education using the film Get Out. With the expansion of OTT services, ‘watching alone’ and ‘quick playback’ are becoming commonpl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film's core message and lead to reflection by watching and discussing the film together. Although racism is publicly prohibited and seems to have been politically resolved to some extent, it is still at the root of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e film Get Ou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is issue of racism and also on identity, which is a major issue during the university years. This paper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stereotypes and prejudicial attitudes by discussing how stereotypes can easily lead to discrimination and furthermore to hatred and conflict. I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identity, such as the students' own values and beliefs, by discussing the problem of identity confusion caused by the transplantation of a black body and a white brain. 이 연구는 영화 <겟 아웃>을 활용한 성찰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OTT서비스가 확대되면서 ‘혼자서 보기’와 ‘빠른 재생 보기’가 일상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영화를 ‘함께’ 보고 ‘토론’함으로써 영화 핵심 메시지를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 성찰로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인종 차별은 공공연하게 금지되고 있고, 정치적으로는 어느 정도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현대 사회의 다양한 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 <겟 아웃>은 이러한 인종 차별의 문제와 함께 대학생 시기의 주요과제인 정체성에 대해서도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스테레오타입에 의한 편견이 다름을 쉽게 차별로, 더 나아가 혐오와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스테레오타입과 편견적 태도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흑인의 신체와 백인의 뇌의 이식에 따른 정체성 혼란의 문제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 등 정체성에 대해서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토론’형 강좌의 현황 분석 및 제언

        나은미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This thesis is to study and analyze the current position of ‘debate-type’ lecture as a liberal education in college and to propose the solution to supplement the present condition. The ‘debate-type’ lecture of college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presentation and debate> type and <reading and debate> type. The former was again categorized into the debate type upon the overall speech, presentation and debate type, and cognitive training and debate ability under the types and levels of concentration, and the latter was categorized into the reading-concentrated type, composition, and reading and composition interconnected type under the accentuation of lecture. The <presentation and debate> type showed simple theory and practice in parallel. Yet, most of colleges invest about 3~4 weeks on debate itself, and thus the practice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reading and debate> type is concentrated on various functions of language such as reading, composition, and speech, but it is problematic that how activities to improve such roles contribute to achieve the lecture goal is not clarified. As a solution to resolve such criteria, the parallel performance of theoretical contents and practice regarding public speech at the basic stage and in-depth stage for various activities like <reading debate> are established to propose the mutual supplementation. 이 논문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교육으로서 ‘토론’형 강좌의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현재의 운영 실태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대학의 ‘토론’형 강좌는 <발표와 토론> 유형과 <독서와 토론>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전자는 다시 말하기 전반을 다룬 과정에서 토론을 다루는 유형, 발표와 토론에 초점 둔 유형, 사고훈련 및 토론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둔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후자는 읽기에 초점을 둔 유형, 쓰기에 초점을 둔 유형, 읽기와 쓰기를 연계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발표와 토론> 유형은 간략한 이론을 다루고 실습을 병행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대학이 토론의 실습에 3~4주 정도를 할애하고 있어 실습 시간이 부족한 것이 문제이다. 한편 <독서와 토론> 유형은 읽기, 쓰기, 말하기 등 다양한 언어의 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이 어떻게 강의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지가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못한 점이 문제이다. 필자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대학과 사회의 요구를 고려한 방안으로 기초단계와 심화단계를 연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초단계에서 공식적 말하기의 유형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실습을 병행하고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심화단계를 개설함으로서 상호 보완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에 대한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를 대상으로-

        나은미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study considered the necessity of an interated model of text and grammar based on the genus and it suggested a teaching method of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by a case of this model. Writing differs from speaking on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elements due to loose contact between a addresser and a adressee. Loose contact leads to reinforcement of message and context, and message is replaced by structuralization of contents and completeness of sentences. The context is also shown by a verbalized writing convention, and especially the standardized context that occurs repeatedly becomes typicality of a certain genus. Since the adressee restores the context information through such language signs, the usage of conventional context is very important. Writing education that leads to a detailed output should teach context and grammar knowledge on relevant genus in an integrated way based on a certain genus.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s a writing about oneself, but the genus information of 'for employment' demands to show "'me' that satisfies the demands of the company" instead of "revealing me" . Moreover, such genus information affects the context composition by listing important and recent information first and it also influences the usage of specific words such as "Na, Jeo".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he genus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should be a priority, and strategies of text composition and language use should be included in the writing education. 이 논문은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 모형의 사례로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의 지도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쓰기는 발신인과 수신인간의 접촉의 느슨함으로 인해 의사소통 요소의 관계가 말하기와 달라진다. 접촉의 느슨함은 메시지와 맥락의 강화로 이어지는데 메시지는 내용의 구조화 및 문장의 완결성 등으로 대체된다. 맥락 역시 언어화된 쓰기 관습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정형화된 맥락은 특정 장르의 전형성이 된다. 수신인은 이러한 언어 표지를 통해 맥락 정보를 복원하기 때문에 습화된 표지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인 산출물을 이어져야 하는 쓰기 교육은 특정 장르를 기반으로 하되 해당 장르에 대한 텍스트 지식과 문법 지식이 통합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취업 목적의 자기소개서 '는 자신에 대해 쓰는 글이지만 '취업 목적' 이라는 장르지식은 '드러내고 싶은 나' 가 아니라 '기업의 요구에 맞는 나' 를 드러내도록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장르 지식은 중요 정보, 최신의 정보를 먼저 나열하는 등 텍스트 구성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나, 저' 등 특정 어휘의 사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장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텍스트 구성 전략과 언어 사용 전략을 지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人命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나은미 한국사회언어학회 2003 사회언어학 Vol.11 No.1

        Na, Eun-Mi. 2003. A Sociolinguistic .study of Personal Names : On the Variation across Generations and Sex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1(1).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into cross-generational and between-sex variations found in personal names and the social standards or values reflected in the variation and chang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generation has its peculiar features and tendencies when' making names. The following are features found in each generation's common names. The Chinese character used most in women's names is '자(子)' in 194Os, '숙(淑)' in 1906, and '지(智/志/之) in 1980s and 1990. The most common Chinese character used for men's names is '창(昌/倉), in 1940s, '상(尙/相)' in 1960s, '현(炫/賢/鉉)'in 1980s, and '준(俊/準)' in 1990s. Consonants ended names in a higher percentage than vowels. 'ㄱ,ㄴ.ㄹ,ㅁ,ㅂ,ㅇ' were used for male names. 'ㅂ' was not used in the women's names and 'ㄴ' was used often both in men's and women's names.

      • KCI등재

        “한국어 밥 인사 표현”의 맥락과 화용 의미

        나은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3 No.-

        모국어 화자는 언어를 습득할 때 긴 시간에 걸쳐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한다. 하지만 외국인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언어 표지가 구체적인 맥락에서 어떤 화용 의미를 갖는지를 분석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 밥 인사 표현’을 미시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밥 인사 표현’은 질문형과 제안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질문형의 경우 처음 보는 사이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안면 정도만 있는 경우에는 ‘당신에게 좋은 느낌의 관심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친밀한 사이인 경우에는 ‘당신의 안위가 걱정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편 제안형의 경우 처음 만나는 사이에서는 ‘당신과 관계를 열고 싶다.’는 의미로, 안면 정도가 있는 사이에서는 ‘당신과 친해지고 싶다’는 의미로, 친밀한 사이에서는 ‘당신과 친밀함을 유지하고 싶다’ 또는 ‘당신과 소원해진 관계를 개선하고 싶다.’는 정도의 의미로 해석된다. When learning a language, native speakers naturally acquire their language in a concrete context ove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such is not the case for a second language learner, so it becomes necessary to analyze and educate in a concrete context which pragmatic meaning comes from which linguistic label. This paper is aimed at making a microscopic analysis of ‘Greeting Expressions for Bab in Korean’. In the study ‘Greeting Expressions for Bab in Korean’, the greetings are divided into question and suggestion types. The question type is used in two different cases. The first is interpreted as meaning ‘I have a good feeling about you.’ where the speaker is acquainted with the listener. The other is interpreted as meaning ‘I am worried about you.’ where the speaker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listener. The suggestion type is used in three different cases. The first case is interpreted as meaning ‘I want to be close with you.’ in which the speaker does not know the listener. The second case is interpreted as ‘I want to be on good terms with you.’ where the speaker is acquainted with the listener. The third case is interpreted as ‘I want to maintain or improve relations with you.’ in which the speaker i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listener.

      • KCI등재

        ‘-만큼’과 ‘-처럼’의 의미 특성과 비교ㆍ비유 표현

        나은미 한국어의미학회 2011 한국어 의미학 Vol.34 N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characterization of ‘-mankeum’ and ‘-cheorum’ and comparative and figurative expression. First, as a preceding element, ‘-mankeum’ has a limitation from an expression that reveals a detailed aspect of existence, and ‘-cheorum’ is restrained from combining with words of measurement. Second, ‘-mankeum’ has a restriction of combination with vocabulary without a grade within the words, however, ‘-cheorum’ does not have the restriction of combination to the predicate. Third, a sentence with ‘-mankeum’ is interpreted that a matching context is equal to a matching object, and a sentence with ‘-cheorum’ is interpreted in two ways―‘expression of determining the fact’ about the predicate’s context and ‘expression of the aspect of existence.’ Fourth, comparative expression is expressing a matching result about a matching context, and figurative expression is expressing matching subject’s aspect of existence. Fifth, on the comparative expression, the matching object and the matching subject are homogeneous, and the matching context should not be a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of matching object. On the other hand, on the figurative expression, the matching subject and the matching object are heterogeneous, and the matching context must be a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of the matching object or a typical characteristic that is generally well kn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