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55A1 자주포 급속장전장치의 장전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나라별(Ra-Byeol Na),김병현(Byung-Hyun Kim),이주승(Ju-Seung Lee),김병호(Byeong-Ho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9

        본 연구는 군 포병 전력의 핵심 장비인 자주포의 급속장전장치에 장착된 밀대 시스템 개선을 통해 탄의 장전 안정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종래의 자주포에는 수동 장전장치가 적용되어 있었다. 군에서 운용하는 장비의 현대화와 연속사격 속도 향상을 위해 급속 장전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이러한 급속 장전장치를 통해 탄이 장전되는 과정에서 약실 내부와 간섭되는 현상을 줄이고, 비행시간을 감소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밀대를 통해 탄의 급속장전이 이루어지는 슈팅 방식의 장전시스템에서는 탄 흐름(fall-back)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전 과정의 실제 조건을 반영한 전산모사(C.A.E.)를 통해 탄이 장전되는 과정에서 비행 거리를 감소시키면 탄 흐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이론적으로 확인 하였고, 탄의 비행거리를 줄이는 최적의 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야전에 배치된 자주포에 장착하여 시험한 결과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hooting stability of self propelled artillery by improving the flick rammer system. The flick rammer system is designed to reduce crew fatigue and shorten the movement and loading time of the shell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anual loading system. Basically, in the flick rammer system of the shooting type, fall-back occurs intermittently, which causes problems in the rapid loading. To solve this problem, a detailed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isting rapid loading field was conducted. Through this, we sought a solution that can prevent fall-back by reducing the flying distance. We then optimized the loading station to reduce the flying distance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suppressing the fall-back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 through actual tests in the field.

      • KCI등재

        고장 사례분석을 통한 유도탄고속함 함포체계 사격안전성 개선방안 연구

        나라,김병호,서재현,Na, Ra-Byeol,Kim, Byeong-Ho,Seo, Jae-Hyu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the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gun firing system of patrol killer guided missile from failure mode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breakdown parameter, the examination process of the sources of the problems and the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are analyzed with performance testing data. From this study, the rate of operation and the reliability of 76 mm naval guns will be increase.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data in the naval gun firing system for another failure mode analysis.

      • KCI등재

        SCM을 활용한 군수품 공급업체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연구

        김건태(Keon-Tae Kim),나라별(Ra-Byeol Na),주용원(Yong-Won J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7

        초기의 공급망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 이하 SCM) 모델은 단순히 제품 생산의 제반비용을 관리하는 도구로 인식되었으나, 이제는 기업 내부의 공급 투명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전략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불특정 다수에게 제품을 팔아 이윤을 남기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의 목표인 민수업체와 달리 군수업체의 경우 소요군의 요구사항에 충족하는 제품을 생산하여 약속된 납기에 납품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다. 또한 군수품의 경우 계약시 공급망 변경에 따른 품질 리스크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정부 품질보증 계획 수립시 SCM을 적용하는 경우 충족된 규격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군 운용장비의 신뢰도를 유지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SCM을 활용하여 업체의 부품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업체의 품질보증 메뉴얼 보유여부, 납품 유연성, 계약 이력 등 6가지의 항목을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업체평가 시트를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CM을 활용하여 여러 하위 부품 협력업체의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우수한 군수품 생산업체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하나의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upply chain management model is a strategic tool to secure internal supply transparency and make profits based on the acquired competitiveness. In the case of civilian goods producers, the ultimate goal is to make a profit by selling produc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the case of military goods producers, however, the aim is to produce products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military and deliver them to the military on the promised delivery da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munitions, there is a risk with quality due to changes in the supply chain when contracting is very high. Therefore, when introducing supply chain management (SCM) to a munitions manufacturer, the primary purpose is to maintain the reliability of military operating equipment by producing satisfactory standard products. Thus, seven items, including whether the company has a quality assurance manual, delivery flexibility, and contract history, were selected to manage the parts quality of a company using SCM systematically. Based on these, a company evaluation sheet was produced. This paper established a system that efficiently manages the risks of various sub-part suppliers using SCM. An analysis of the system confirmed that this management system is effective. The case identified in the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future quality improvement of munitions manufacturers.

      • KCI등재
      • HMM 을 이용한 화자의 감정 상태 인식

        나라 ( Na-ra Lee ),한기홍 ( Ki-hong Han ),김현정 ( Hyun-jung Kim ),원일용 ( Il-young W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음성을 통한 자동화된 감정 인식은 중요한 연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앞선 연구에서는 감독학습과 비감독 학습을 결합하여 적용하였지만, 만족할 만한 성능은 얻지 못했다. 이는 음성의 시간성을 고려하지 않은 학습방법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HMM(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하여 학습하고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기존의 방법들 보다 성능이 향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안내공시와 정보성 제고 효과의 차별성

        나라 ( Na-ra Kang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1

        안내공시는 공시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공시이다. 이는 그 자체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정보가 제공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안내공시의 기대효과는 정보가 공개되었지만 이를 놓칠 가능성이 높은 투자자에게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본시장에서는 2005년 실적공시에 대한 안내공시의 제도가 처음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안내공시가 공시로의 가치가 있느냐에서 더 나아가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안내공시의 효과를 이해하는 것에 한 걸음 더 나아가 세부적인 효과의 대상을 이해하는 것은 제도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과 전문투자자로 구분하여 안내가 공시가 있을 때 주식의 초과거래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하였다. 첫째, 안내공시가 있을 때 이익공시일에 일반투자자의 초과거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안내공시의 효과는 정보를 놓칠 가능성이 높은 투자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일반투자자가 그러한 투자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전문투자자의 초과거래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았다. 이들은 어떠한 의미에서 안내를 굳이 필요로 하지 않는 투자자이기 때문이다. 실증분석결과, 안내공시가 선행되었을 때 이익공시일의 일반투자자 초과거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문투자자의 초과거래량은 유의적으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을 보인 것은 안내공시가 정보를 놓치기 쉬운 일반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투자자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고 이들에게 도움이 줄 수 있는 제도로서 안내공시를 조망한 의의가 있다. Announcing announcement is the disclose that notice the cominng disclosure. It does not have information on its own, but rather indicates that information is provided. The expected effects of these announcements will be more helpful to those who are likely to miss them. In 2005, the first public announcement system on performance disclosure was introduced. Bu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i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excess trading volume of stocks changes when the announcement is made by dividing into individual and professional investors. This study expec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the announcement was made, the excess trading volume of individual investors would increase significantly on the disclosure date. The effect of announcements can be helpful to investors who are likely to miss information, because individual investors can see them as such investors. Second, the excess trading volume of professional investors will not increase significantly. This is because they are investors who do not need guidance in any sens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when the announcement is preceded, it is observed that the excess trading volume of individual investors on earnings announcement day increase significantly. However, the excess trading volume of professional investors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This phenomenon has been shown to be helpful for private investors who are likely to miss information.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김하영 ( Hayoung Kim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세계 경제 포럼의 Global Risks Report 2022에 따르면 향후 10년 TOP10 글로벌 리스크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등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였으며, 금년에는 중국, 유럽의 가뭄 심화, 한국, 일본 등에서의 폭우 등 극심한 이상기후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반도의 경우 최근 10년간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고, 극한 강우의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기온은 약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의 진행 속도보다 확연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상기후로 발생하는 농업재해는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농촌지역의 수자원 가용성, 식량안보, 기반시설, 농촌 수익 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기후·기상 변동성의 증가는 농업 수자원 및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취약시설별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후안전도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이수 모델링 분석결과의 해석을 위해 산정된 절대 또는 상대적인 값으로 정의하였다.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시설별 영농여건 변화 등의 현황을 조사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용수부족 및 여유수량을 분석하여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 분석을 통한 이수 기후안전도 평과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 가뭄 영향 평가를 위한 CS-WEF(기후-토양-물-에너지-식량) 넥서스 플랫폼 설계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김하영 ( Hayoung Kim ),유승환 ( Seung-hwan Yoo ),윤푸른 ( Pu Reun Yoon ),최규훈 ( Gyuhoon Choi ),성재훈 ( Jae-hoon Sung ),오부영 ( Bu-yeong Oh ),허승오 ( Seung-oh Hur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지구촌 많은 곳에서 가뭄과 홍수가 빈번하고 있다. 가뭄은 사회기반 시설, 인적 자본 등과 같은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물을 중요한 투입재로 사용하는 농업부분에 피해가 집중된다. 가뭄 재해는 준비와 대응에 따라 피해에 큰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른 재해와는 달리 강도뿐만 아니라 지속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효과적인 가뭄 위험 관리를 위해서는 가뭄의 특징과 가뭄 준비 및 대응 수단에 따른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등의 외부요인을 반영한 물-에너지-식량(Water-Energy-Food, WEF) 넥서스 기반 농업가뭄평가 플랫폼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연계해석 고도화 기술을 개발하고, 생물-물리학적 모델 및 경제학적 모델 연계형 기후-토양-물-에너지-식량 넥서스(CS-WEF NEXUS) 플랫폼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농업부문 가뭄 준비 및 대응 수단의 영향 평가를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플랫폼은 넥서스 연계 해석을 통해 농업 가뭄 대응을 위한 식량 및 에너지 안보 정책에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잇으며, 다양한 물-에너지-식량 정책들이 타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써 활용도가 높을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